Browse Archives | About | For Contributors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 Article ] |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No. 3, pp. 71-81 | |
Abbreviation: KSLRP | |
ISSN: 1598-0413 (Print) | |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4 | |
Received 31 Jul 2024 Revised 05 Sep 2024 Accepted 18 Sep 2024 | |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4.6.48.3.71 | |
중·노년 남성 단원들이 인식하는 커뮤니티 합창의 심리사회적 혜택 | |
양혜정1 ; 강현정2
| |
1커뮤힐 음악치료 스튜디오 | |
2뉴욕주립대학교 프레도니아 캠퍼스 | |
Middle-aged and Older Male Participants’ Perceived Socio-Psychological Benefits of Community Choir | |
Yang, Hye-Jung1 ; Kang, Hyun-Jung2
| |
1CoMuHeal Music Therapy Studio | |
2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Fredonia | |
Correspondence to : Kang, Hyun-Jung Music Therapy, School of Music, Mason Hall, 280 Central Ave, Fredonia, NY 14063, USA Tel:+1-716-673-3209, Fax:+1-716-673-3154, E-mail: hyunjung.kang@fredonia.edu |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o-psychological benefits of Korean community choir participation as a leisure activity for middle-aged and older male participants. A total of 224 men were surveyed: 122 middle-aged and 102 older adults, recruited in the greater Seoul area, Republic of Korea. The 42 items of the survey were developed from two domains: sociodemographic/musical backgrounds and socio-psychological benefits. The socio-psychological benefits were categorized in three areas: personal, relational, social/community. Results from descriptive and t-test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both middle-aged and older men overall recognized the benefits of choir participation. Among the personal-area benefits, middle-aged men perceived achievement as the greatest whereas for older men the greatest benefit was stress relief. In the relational area, intimacy was perceived by the middle aged group as the greatest benefit while strengthen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was the older group’s greatest. Within the social and community area, both groups reported membership as their greatest benefit. Second, the overall level of perceived benefits within the personal area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older group than the middle-aged group. Third, in terms of sociodemographic/musical backgrounds, retired men perceived a higher level of benefit related to role-playing through choir participation. Additionally, the middle-aged group reported stronger personal benefits with longer duration of participation and increased frequency of on-stage performances. The finding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ocio-psychological benefits of participating in community choirs for Korean middle-aged and older men, reflecting the evolving dynamics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Keywords: Korean middle-aged and older men, community choir, community leisure participation, socio-psychological benefits 키워드: 중노년남성, 커뮤니티합창, 커뮤니티여가참여, 심리사회적혜택 |
1. | 강현정(2017).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구성요소에 대한 고찰. 인간행동과음악연구, 14(2), 91-105. |
2. | 강희엽, 이철원, 이민석(2017). 노인들의 진지한 여가, 스트레스 관련 성장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1), 1-14. |
3. | 고혜영, 장민호(2020). 중년여성의 합창활동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와융합, 42(1), 109-134. |
4. | 김나연, 조항(2024). 은퇴자의 은퇴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취업진로연구, 14(2), 165-186. |
5. | 김남희(2022). 남녀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위기관리논집, 18(2), 147-159. |
6. | 김영범(2023). 노년기 나이와 삶의 만족: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3(4), 463-479. |
7. | 김민희, 최은실(2018). 중년기 남성의 직무만족, 부부만족,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2), 84-97. |
8. | 김진원, 임구원(2019). 노인의 친교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4), 1-15. |
9. | 김진원, 임구원(2020). 노인의 다양한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4), 11-24. |
10. | 김태현, 김양호(2003). 중년남성의 남성의식, 직장생활 및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8(1), 99-120. |
11. | 김희정, 최한나, 김진희(2023). 중년 남성의 행복에 관련된 변인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24(3), 61-85. |
12. | 남순현(2024). 은퇴노인의 여가참여 빈도,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 분석. 노인복지연구, 79(1), 9-32. |
13. | 노수림, 최원일, 김주현(2024). 중고령 성인의 자기 통제력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9(1), 127-156. |
14. | 박언수, 김영미(2020). 아마추어 합창단 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부산광역시 강서구 여성합창단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28, 161-181. |
15. | 백승률, 이미숙(2023). 직장인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그 하위 변인의 매개효과.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7(1), 11-23. |
16. | 송시영(2024). 중고령 남성 은퇴자의 은퇴만족도 변화궤적 유형과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 44(2), 176-191. |
17. | 양서진(2015). 합창중심 음악치료가 은퇴한 남성 노인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내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석사논문. |
18. | 연분홍(2023). 액티브시니어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촉진, 자아실현 및 웰에이징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7(2), 55-66. |
19. | 유선이(2021). 커뮤니티 음악 공동체 경험에 관한 조사 연구. 음악응용연구, 13, 33-52. |
20. | 윤영배, 유준호(2015).한국의 시니어 합창 활동이 건강, 여가태도, 여가만족 및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 음악교육공학, 24, 17-31. |
21. | 이경재, 최희진, 송현주(2022). 고경력 중년 남성 퇴직자의 연령주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미래사회복지연구, 13(1), 103-132. |
22. | 임영신, 김매이(2024). 노년기의 여가목적, 여가만족 및 행복: ‘시간보내기’ 여가목적을 중심으로 한 예측요인 탐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8(1), 17-29. |
23. | 임윤정(2017). 합창활동에 참여한 시니어의 자기 효능감과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24. | 정정희, 이순현, 조수현(2022).중년기 남성의 은퇴 불안과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9(3), 211-234 |
25. | 정현주, 김정희, 김수지(2014). 예술교육에서 예술 인성교육의 개념. 교육과학연구, 45(1), 53-72. |
26. | 추경란(2022). 고령화 시대의 사회적 합창단이 나아갈 역할의 방안 연구. 이화음악논집, 26(3), 101-140. |
27. | 최지영, 곽금주, 전숙영, 민하영, 김경은(2012). 한국 중년 남성의 집합주의, 직무만족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9(2), 251-267. |
28. | 한수진(2017). 75세 이상 노인이 지각하는 노래부르기의 혜택과 삶의 질. 인간행동과음악연구, 14(1), 63-84. |
29. | Ansdell, G., & Stige, B. (2016). Community music therapy. In J. Edwards (Ed.),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Therapy (pp. 595–621). Oxford University Press. |
30. | Bruscia, K. E. (2014). Defining music therapy (3rd ed.).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
31. | Chanda, M. L., & Levitin, D. J. (2013). The neurochemistry of music.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7(4), 179-193. |
32. | Clift, S., Hancox, G., Morrison, I., Hess, B., Kreutz, G., & Stewart, D. (2010). Choral singing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indings from English choirs in a cross-national survey. Journal of Applied Arts and Health, 1(1), 19-34. |
33. | Davidson, J. W., McNamara, B., Rosenwax, L., Lange, A., Jenkins, S., & Lewin, G. (2014). Evaluating the potential of group singing to enhance the wellbeing of older people.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33(2), 99-104. |
34. | Dingle, G. A., Brander, C., Ballantyne, J., & Baker, F. A. (2013). ‘To be heard’: The social and mental health benefits of choir singing for disadvantaged adults. Psychology of Music, 41(4), 405-421. |
35. | Erickson, E. (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a review. New York: Norto. |
36. | Hendry, N., Lynam, D. S., & Lafarge, C. (2022). Singing for Wellbeing: Formulating a Model for Community Group Singing Intervention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32(8-9), 1399–1414. |
37. | Higgins, L. (2012). Community music: In theory and in practice.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38. | Kang, H-J. (2019). Participation in amateur orchestra and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 The Arts in Psychotherapy 65. |
39. | Lamont, A., Marray, M., Hale, R., & Wright-Bevans, K. (2018). Singing in later life: The anatomy of a community choir. Psychology of Music, 46(3), 424-439. |
40. | Overy K. (2012). Making music in a group: synchronization and shared experience. The Neurosciences and Music IV Learning and Memory, 1252, 65-68. |
41. | Park, H. Y., Chong, H. J., & Kim, S. J.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Attitude and Uses of Music by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hose Who Are Sighted.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09(4), 303-316. |
42. | Stige, B. (2010). Caring for Music: The Senior Choir in Sandane, Norway. In B. Stige, G. Ansdell, C. Elefant, & M. Pavlicevic (Eds). Where music helps: Community music therapy in action and reflection (pp. 245-274). Surrey, UK: Ashgate. |
43. |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Press. |
44. | Zhi Lan Yue, 전종우(2023). 노인의 문화가치, 사회활동, 미디어 이용이 심리적 안정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태평양융합 연구교류논문지, 9(10) 247-2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