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4, pp.37-50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1
Received 29 Oct 2021 Revised 02 Dec 2021 Accepted 16 Dec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12.45.4.37

중년의 여가유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태중1 ; 박상현2 ; 정지명3
1연세대학교 강사
2한국방송통신대학교 조교수
3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책임연구위원
The Effect of Leisure Competence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 Ag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Kim, Taejung1 ; Park, Sanghyun2 ; Jung, Ji-Myung3
1Yonsei University
2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3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Correspondence to: Jung, Ji-Myung E-mail: myung811@kspo.or.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leisure competence on the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between leisure competence and the quality of life. For this, total 241 questionnaire were used after removing 9 questionnaire which have insufficient answer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tata 14.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First, leisure competence of the middle-age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positively. Second, only boding social capital had moderating effect between leisure competence and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results, leisure competence of the middle age ha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positively and the effect would be increased when they have bonding social capital. Namely, leisure participation based on bonding social capital which can give psychological comfort contribute on high level of quality of life.

Keywords:

leisure competence, quality of life, social capital, middle age

키워드:

여가유능감, 삶의 질, 사회적 자본, 중년

References

  • 강효민, 박기동(2008). 지역사회에서 스포츠클럽 활동과 사회적 자본 형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1(4), 845-863.
  • 국민건강보험(2019). 2019년 1인당 월평균 보험료 93,789원, 혜택은 106,562원으로 1.14배, 보도자료, 국민건강보험.
  • 김갑수(2000). 사회체육 참가와 여가유능감·여가권태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 김난주, 권태희(2009).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균형과 삶의 질의 상호관계. 여성연구, 0(1), 43-70.
  • 김동아(2020).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열의가 지각된 신체적 유능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9(1), 25-35.
  • 김명자(1998). 중년기 발달. 서울: 교문사.
  • 김민종(2008). 군대내의 집단 여가활동과 자기 결정성 및 집단 응집력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김범수, 권동호(2010). 중장년 신체활동 참여자의 건강신념, 자기효능감과 건강실천행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2(1), 595-604.
  • 김선희, 김창현(2009).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별 참여정도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1), 425-436.
  • 김성수(2001). 스포츠산업, 경영: 표적마케팅을 위한 골프소비자의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0(2), 335-345.
  • 김송희(2007). 여가활동참여자의 생활만족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김송희(2008). 여가활동참여자의 여가유능감, 여가경험 및 몰입경험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3), 257-265.
  • 김신영, 김영은(2021). 중년후기 나이듦의 인식에 관한 문헌연구. 부부가족상담연구, 2(1), 41-55.
  • 김영미, 한혜원(2009).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몰입 경험이 자기효능감과 무용활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19, 1-17.
  • 김영범, 박준식(2004).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1), 169-185.
  • 김영준(2015). 여가유능감을 매개로 한 여가스포츠 참가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9(4), 23-35.
  • 김옥태, 이승희(2011). 여가스포츠 노인참여자의 생활양식과 건강증진행동 및 웰니스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4), 19-33.
  • 김우석(2018). 뉴노멀 중년(New Normal Middle Age)의 삶속에서 나타난 스포츠의 상징적 의미 탐색. 한국스포츠학회지, 16(4), 73-84.
  • 김재희(2021). 제주지역 노인의 비공식 사회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비교. 보건과 복지, 23(2), 7-33.
  • 김현성, 이기영, 김강민, 이교창, 안준형, 황재건 (2019).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사회관계망 및 여가생활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17(1), 73-94.
  • 노은정, 고계성, 박은경(2019). 대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여가만족과 자아존중감, 삶의 질간의 관계: 여가활동 참여주기를 고려한 비교분석. 관광학연구, 43(3), 43-64.
  •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전신의학, 39(3), 571-579.
  • 박성복(2003). 노년 삶의 질 만족도 대한 주관적 요인의 평가. 한국행정논집, 15(2), 359-376.
  • 박은선(2014). 중년 남성의 나이듦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 박정미, 천성문, 박남순, 황선민(2020). 중년기 삶의 의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재활심리연구, 27(1),89-113.
  • 박종석(2015). 소비자의 삶의 질이 자국이미지와 자국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사혜지, 이철원, 김민정(2017). 여가 활동에 참여하는 액티브 시니어 여성의 재미, 여가 만족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2), 93-108.
  • 서동균(2008). 대학생의 여가스포츠에 대한 의사결정균형과 여가기능, 여가몰입, 여가유능감 관계의 구조모형분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서병세, 김찬룡(2010). 한국사회에서의 스포츠 참여와 사회자본. 한국체육학회지, 49(6), 79-89.
  • 서우석(2017). 청소년의 여가 활동에 사회경제적 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 연구, 18(1), 273-302.
  • 설수황, 최석환(2021).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중년 골프참여자의 지도자신뢰와 적응유연성 및 주관적 건강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3, 287-297.
  • 성미현(2020).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어논문지. 10(3), 39-55.
  • 신상식, 최수일(2010). 노년기 여가활동과 사회자본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 호텔관광연구, 12(3), pp.173-189.
  • 신희진, 김증임(2019). ERG 이론에 근거한 한국 중년여성의 행복에 관한 구성요인 도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5(3), 315-328.
  • 심인옥(2015). 중년여성이 행복한 삶을 위해 배우자에게 기대하는 행동유형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1(2), 139-149.
  • 심홍진, 이연경, 김지현, 김용찬(2014). 지역민의 사회자본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8(4), 484-506.
  • 안병욱, 황선환(2012).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유능감, 여가몰입, 여가만족,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여가학연구, 9(3), 1-19.
  • 안진석(2002). 중년남성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강남대학교 대학원.
  • 양외금, 정민자(2021). 부부 대상 성공적 노화 연구동향 분석. 부부가족상담연구, 2(1), 1-13.
  • 윤상문, 이진, 문태영(2003). 생활체육참가자의 여가유능감과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6(2), 377-392.
  • 윤옥종, 하주영(2010). 노인의 여가태도와 여가유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7(3), 400-408.
  • 이경은(2012). 중년기의 스트레스와 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기홍(2005).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한국노년학, 25(3), 1-21.
  • 이동준, 황지현(2017). 스포츠센터 이용자의 여가인식, 여가경험과 여가유능감, 몰입경험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6(3), 149-162.
  • 이석민(2021). 중년기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1(4), 197-224.
  • 이숙정(2011).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2), 235-253.
  • 이재구(2014). 운동이 행복이다. : 뇌신경생리학적 이해. 한국체육학회지, 53(6), 27-38.
  • 이정규(2009). 삶의 만족감과 사회적 자본: 시민적참여, 신뢰, 사회적 자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2, 5-40.
  • 이정화, 김경혜, 김경덕(2014).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5(7), 4439-4448.
  • 임사라, 박세영(2012). 직장인의 개인 및 집단 여가활동에 따른 여가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1). 171-193.
  • 장새밀(2015).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전양진(2019). 신중년 소비자의 외모와 여가활동, 삶의 질 인식에 관한 연구. 복식, 69(4), 181-198.
  • 정재용, 최영래(2010).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 측면과 체육특기자 입시 비리 -KBS 시사기획쌈 “코트의 마피아” 사례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9(5), 49-59.
  • 조명희, 허준수(2020). 규칙적인 여가활동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4), 77-91.
  • 주동범, 전은순(2011).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 경험 및 자기주도 학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0(1), 15-28.
  • 최덕환, 김백윤, 박래영(2010). 레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인식, 여가유능감, 여가지속 및 삶의 질에 관한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1), 47-56.
  • 하태희(2016).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구축. 디지털융복합연구, 14(5), 125-135.
  • 홍윤오(2019). 중고령층의 사회자본으로서 커뮤니케이션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0(54), 153-195.
  • Alexander, J. L., & Willems, E. P. (1981). Quality of life: Some measurement requirem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2(6), 261-265.
  • Alguezaui, S., & Filieri, R. (2010). Investigating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innovation: Sparse versus dense network.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14(6), 891-909. [https://doi.org/10.1108/13673271011084925]
  • Bourdieu, P.(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241-258. New York: Greenwood.
  • Burckhardt, C. S. (1985). The impact of arthritis on quality of life. Nursing Research, 34(1), 11-16. [https://doi.org/10.1097/00006199-198501000-00003]
  • Burt, R. S. (2001). Attachment, decay, and social network.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22(6), 619-643. [https://doi.org/10.1002/job.106]
  •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https://doi.org/10.1086/228943]
  • Cosco, T. D., Prina, A. M., Perales, J., Stephan, B. C., & Brayne, C. (2014). Operational definitions of successful ag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6(3), 373-381. [https://doi.org/10.1017/S1041610213002287]
  • Dalkey, N., & Rourke, D. (1973). The quality of life concept.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2), 109-134. [https://doi.org/10.1016/0092-6566(85)90023-6]
  • Diener, E. (1995).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 Dubos, R. (1976). The state of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25(1), 8-9.
  • Ellis, G. D., & Witt, P. A. (1994). Perceived freedom in leisure and satisfaction: Explor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erceived freedom components of the leisure diagnostic battery. Leisure Sciences, 16(4), 259-270. [https://doi.org/10.1080/01490409409513236]
  • Gottlieb, B.(1983). Social support strategies: Guidelines for mental health practice.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23-24.
  • Helliwell, J. F. (2006). Well‐being, social capital and public policy: what's new?. The Economic Journal, 116(510), 34-45. [https://doi.org/10.1111/j.1468-0297.2006.01074.x]
  • Iso-Ahola, S. E., & Allen, J. R. (1982). The dynamics of leisure motivation: The effects of outcome on leisure need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3(2), 141-149. [https://doi.org/10.1080/02701367.1982.10605240]
  • Iwase, T., Suzuki, E., Fujiwara, T., Takao, S., Doi, H., Kawachi, I. (2012). Do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self-rated health? A community based study in Japan.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66(6), 557-562. [https://doi.org/10.1136/jech.2010.115592]
  • Johnson, J. P., McCauley, C. R., & Copley, J. B. (1982).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and transplant patients. Kidney International, 22(3), 286-291. [https://doi.org/10.1038/ki.1982.167]
  • Kim, Y. C., Lim, J. Y., & Park, K. (2015). Effects of health literacy and social capital on health information behavior.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9), 1084-1094. [https://doi.org/10.1080/10810730.2015.1018636]
  • Mitchell, J., C. (1969). The concept and use of social networks. In J. C. Mitchell(ed). Social networks in urban situations: Manchester Univ. Press.
  • Putnam, R. D. (1995). Tuning in, tuning out: The strange disappea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 Political Science & Politics, 28(4), 664-683. [https://doi.org/10.2307/420517]
  • Stephenson, J., & Yorke, M. (2013). Capability and quality in higher education.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1315042046]
  • Tsuka, K., & Yamamoto, S. (2010). Influence on social capital of the festival event: The case of Kenka Tanabata Festival in Kesen Cho, Rikuzentakata City, Iwate [Japan] Prefecture. Journal of Rural Planning Association. 28, 231-236. [https://doi.org/10.2750/arp.28.231]
  • Vemuri, A. W., Morgan Grove, J., Wilson, M. A., & Burch Jr, W. R. (2011). A tale of two scales: Evaluating the relationship among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incom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t individual and neighborhood levels in metropolitan Baltimore. Environment and Behavior, 43(1), 3-25. [https://doi.org/10.1177/0013916509338551]
  • Wellman, B., Haase, A. Q., Witte, J., & Hampton, K. (2001). Does the Internet increase, decrease, or supplement social capital? Social network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mmitment.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5(3), 436-455. [https://doi.org/10.1177/00027640121957286]
  • Witt, P. A., & Ellis, G. D. (1982). The leisure diagnostic battery remediation guide. North Texas State University, Leisure Diagnostic Battery Project.
  • Yessick, J. T.(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disposition and total well-being in middle-aged adults.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Ut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