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4, pp.25-36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1
Received 29 Oct 2021 Revised 03 Dec 2021 Accepted 16 Dec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12.45.4.25

언택트 여가 활동 참여자의 재미요인, 여가열의와 생활만족의 관계

사혜지1 ; 한지훈1
1연세대학교 강사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un, Leisure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Non-contact Leisure Participation
Sa, Hye Ji1 ; Han, Jee-Hoon1
1Yonse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an, Jee-Hoon E-mail: lv010@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un, leisure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for ‘zero contact leisure participation’, a new leisure paradigm after the pandemic.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304 non-contact leisure participants.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validity test, confri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fun factor of the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engag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 engagement of participants did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un factor of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fun factor is a major variable in the continuously expanding participation in zero contact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aradigm shift toward zero contact leisure activities in the future and conduct continuous research on related zero contact leisure activities.

Keywords:

non-contact, leisure participation, fun factor, leisure engagement, life satisfaction

키워드:

언택트여가, 재미요인, 여가열의, 생활만족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2021년 제59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을 토대로 작성되었음.

References

  • 강승우, 김영재(2018). 여가유형에 따른 여가열의와 진지한 여가의 관계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16(4), 1-11.
  • 권기일, 양대승, 김우원(2014).국민체력 100 프로그램 차여자의 재미요인이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303-314.
  • 권순재(2021). 여가활동으로서 가상현실(VR) 컨텐츠 재미요인이 여가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2), 51-60.
  • 김난도,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최지혜, 서유현, 이수진(2018). 트렌드코리아 2018. 미래의 창. 서울.
  • 김병준, 성창훈(1977). 청소년 스포츠 참가자 심층이해(1): 스포츠 재미거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8(2), 43-60.
  • 김영남, 홍성화(2020).뉴노멀(New Normal) 2.0 시대의 관 광: 코로나19 유행 기간 제주방문 관광객 IPA 결과를 중심으로. MICE 관광연구, 20(2), 143-161.
  • 김영미, 한혜원(2005). 여성 댄스스포츠 동호인의 운동환경 요인과 여가몰입 및 즐거움 기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4(6), 193-202.
  • 김영재(2012). 한국형 여가몰입척도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49(2), 343-355.
  • 박세혁(2021). 코로나19로 인한 테니스장 폐쇄가 교수테니스 동호인들의 삶에 주는 의미.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3) & 특별호, 170-186
  • 박연지, 김영재(2019). 한국무용의 재미요인이 여가열의에 미치는 영향: 생활무용 여성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8(5), 731-746
  • 박원임, 김길양(1999). 여가속의 즐거움(Enjoyment)과 재(Fun)에 대한 고찰.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12, 134-141.
  • 박재형, 이철원, 김민정(2021).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적용한 홈트레이닝 기기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3) & 특별호, 13-24.
  • 사혜지, 이철원, 김민정(2017).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액티브 시니어 여성의 재미, 여가 만족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2),93-108.
  • 사혜지, 김민정, 이철원(2021). 비대면 스포츠 활동참여에 따른 재미, 스포츠몰입과 생활만족의 관계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5(2), 25-38.
  • 사혜지, 한지훈(2021). 코로나19와 여가제약: 위계적 여가제약 모델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60(1), 387-400.
  • 서미래(2014). 여가스포츠 참여유형에 따른 참여자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 관계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성창훈, 백성수(2000).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7(2), 99-116.
  • 송기헌 (2009). 인라인스케이트 마니아의 재미요인과 운동몰입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교육 대학원.
  • 오정희, 오재우, 조광민(2019).후기수용모델을 적용한 1인 미디어 유튜브 홈 트레이닝의 지속의도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2), 183-193.
  • 우종필(2016).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서울.
  • 윤승욱, 김건(2021). 유튜브 기반 홈 트레이닝 콘텐츠 이용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9(2), 345-355.
  • 이경우, 신연지, 오경록(2018). 아이스하키 동호인의 재미요인이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0(72), 353-361.
  • 이동수, 권판근(2003).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도 여가몰입도 및 고독감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2(3). 227-238.
  • 이선희, 곽정현(2020). 스포츠 관련 유튜브 채널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9(2), 149-157.
  • 이윤구, 서광봉(2018). 대학생의 여가태도, 운동몰입, 주관적 행복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7(2), 257-266.
  • 이재주, 김준희(2011). 생활체육동호인의 여가정체성 요인에 따른 신체적 존중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2), 49-65.
  • 이창호(2019). 대학생들의 교양 체육 수업 참여에 따른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2), 689-697.
  • 이혜희(2014). 댄스스포츠의 재미요인이 여가열의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임재홍, 김영재(2018). 주짓수 참여자의 여가열의가 진지한 여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7(5), 281-291.
  • 임진선, 최아론(2021). COVID-19시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여가제약협상의 관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8, 587-594.
  • 위승완,남광우(2019). 해군사관생도의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자아존중감 및 생도생활 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7(3), 379-388.
  • 장정정(2017). 생활체육 배구 동호인들의 여가열의, 여가몰입, 및 생활만족의 인과관계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6(2), 441-450.
  • 장형준, 김광호(2018). VR특성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5), 420-431.
  • 전승화(2019). 포노 사피엔스 경제학. 새로운 현재.
  • 전승화, 김정호(2020). 언택트(Untact)산업 확산의 이론적 배경과 전망. 신산업경영저널, 38(1), 96-116.
  • 전정아(2021). 차박캠핑 제약요인과 캠핑객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캠핑차량 소유여부의 조절효과-. 호텔리조트연구, 20(4), 125-142.
  • 조보성(2007). 전문형 여가참가자의 스포츠 재미와 행복의 관계.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조선일보(2020. 04. 17). 코로나로 뜬 단어 언택트(untact)가 이사람 작품이었어? retrieved from.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16/2020041602083.html?utm_source=naver&u%20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 조태수(2020). 홈트레이닝 어플리케이션 서비스품질이 운동만족 및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9(4), 223-234.
  • 최혜선, 김승인(2020). 국내외 OTT 서비스의 사용자경험 연구- 넷플릭스와 왓챠, 웨이브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425-431.
  • 한승엽, 김흥렬, 윤설민, 장윤정(2007).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연구: 문화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2(3), 323-340.
  •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산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 홍순범, 서광봉, 이지열(2019). 복지관 참여 노인들의 여가열의와 사회적응 및 생활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5, 359-367.
  • 황선환, 김미량, 이연주(2011). 진지한 여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mediation effect)검증. 여가학연구, 9(2), 1-16.
  •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 Bordoloi, S., Fitzsimmons, J., & Fitzsimmons, M. (2019). Service Management: Operations, Strategy, Information Technology, 9e.
  •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 424-453. [https://doi.org/10.1037/1082-989X.3.4.424]
  • Lutzin, S. G., & Story, E. H., “Managing Municipal Leisure Services”, Washington, DC. The International City Management Association, 25-37.
  •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 [https://doi.org/10.1037/1082-989X.1.2.130]
  • Nadirova, A. & E. L. Jackson(2000). Alternative criterion variables against which to assess the impacts of constraints to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2(4): 396-405. [https://doi.org/10.1080/00222216.2000.11949923]
  • PwC(2018). Perspectives from the Global Entertainment & media Outlook PwC.
  • Scanlan, T. K., & Simons, J. P. (1992). The construct of sport enjoyment.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199-215.
  • Schaufeli, W. B., Salanova, M., González-Romá, V., & Bakker, A. B. (2002).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1), 71-92. [https://doi.org/10.1023/A:1015630930326]
  • Van de Ven, A. H., & Ferry, D. L. (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 Wankel, E. M., & Kreisel, P. S. (1985). Factors underlying enjyoment of youth sports: Sports and age group comparison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7, 51-64. [https://doi.org/10.1123/jsp.7.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