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7 , No. 2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7, No. 2, pp. 67-80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3
Received 30 Apr 2023 Revised 07 Jun 2023 Accepted 21 Jun 2023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3.6.47.2.67

치매예방 운동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운동지속에 관한 연구
현재민1 ; 김지유2
1이화여자대학교 박사
2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The Meaning of Search for Exercise Adherence of the Elderly Participants in the Dementia Prevention Exercise Program
Hyun, Jae-Min1 ; Kim, Ji-Yoo2
1Ewha womans University
2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Hyun, Jae-Min E-mail: asdhjm1004@gmail.com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xercise adherence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enior center ba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the Mapo-gu dementia prevention exercise program as a qualitative study. In this study, 10 participants in the senior center program aged 60 or older were explored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was recognized and the program was intended to continue to improve health. Second, it found out participants tried to learn new things continuously. Third, it was found that increased in life satisfaction with the confidence gained from participating in the exercise program. Fourth, it was intended to continue for unusual vitality and enjoyment in the life of the elderly. Fifth, it was found that it was intended to continue for the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eans of social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exercise adherence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dementia prevention exercise program and provided basic data for activating leisure for the elderly for successful aging.


Keywords: dementia, dementia prevention, the elderly, the senior center, exercise program, exercise adherence
키워드: 치매, 치매예방, 노인, 운동프로그램, 운동지속

References
1. 강미희(2020). 여가활동이 노년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관광진흥연구, 8(4), 171-187.
2. 강현욱(2014). 성별의 조절효과를 고려한 노인의 신체활동이 사회적지지, 주관적 건강 및 삶의 질의 관계: 사회인지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315-330.
3. 김미량, 이동현(2009). 노인의 운동행동지속을 위한 운동심리상담 프로그램 효과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3), 49-60.
4. 김석일(2012).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지지 경험과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1), 333-344.
5. 김옥주(2012). 노인 여가복지관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자의 운동지속이 운동몰입과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1(6), 343-355.
6. 김우석(2018). 뉴노멀 중년(New Normal Middle Age)의 삶속에서 나타난 스포츠의 상징적 의미 탐색. 한국스포츠학회지, 16(4), 73-84.
7. 김흥태(2003). 현대체육의 신경향성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지, 20(2), 3-14.
8. 김흥태.(2004). 지속가능한 노인여가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2, 221-237.
9. 노인숙, 조선희(2016). 노인복지관 여가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경험에 대한 질적내용분석. 동서간호학연구지, 22(2), 138-147.
10. 사혜지, 이철원, 김민정(2017). 여가 활동에 참여하는 액티브 시니어 여성의 재미, 여가 만족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2), 93-108.
11. 서민화, 임수아, 허진무(2022). 노인의 실버태권도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지속효과 및 제약사항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61(2), 379-392.
12. 우예신, 박다솔, 신가인, 박혜연(2019). 노년기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 및 여가만족도의 차이분석. 한국노년학, 39(2), 199-211.
13. 유미경, 이기표(2017). 생활체육참여 노인의 심리적 자본이 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2), 363-376.
14. 유미경, 이기표(2018). 여가활동 참여노인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7(2), 467-477.
15. 이경임, 은영(2016). 경로당 고령 여성의 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Pender 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근관절건강학회지, 23(2), 71-83.
16. 이남인(2014).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파주: 한길사.
17. 이순복, 곽종형(2022). 노인복지회관 프로그램 참여가 여가생활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경영연구, 9(1), 166-188.
18. 이양주, 김아람, 안근옥(2015). 마라톤 참가자의 참여정도와 운동자각도, 몰입 및 운동지속참가와의 관계.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17(3), 7-15.
19. 이창일, 박경남(2020). 노인의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Education & Learning, 10(1), 303-325.
20. 중앙치매센터(2022).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1. 서울: 디자인멘토.
21. 채수원(2023). 걷기 운동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여가유능감이 운동만족, 운동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2(1), 333-346.
22. 최덕환, 김백윤, 박래영(2010). 레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인식, 여가유능감, 여가지속 및 삶의 질에 관한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1), 47-56.
23. 최모나, 정덕유, 양유리(2014). 운동 자기효능감과 운동 기대감 도구의 성인대상 타당도 검증. 성인간호학회 학술대회, 116.
24. 최영희, 백영주, 이지숙.(1990). 한국노인의 정신ㆍ정서적 건강상태 도구개발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1), 5-29.
25. 통계청(2022), 인구총조사.
26. 홍성희(1998).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16(1), 107-123.
27. 황체리, 전찬수, 신승호. (2021). 비대면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홈트레이닝 참여자를 대상자로. 한국스포츠학회지, 19(4), 323-335.
28. Abourezk, T., & Toole, T. (1995). Effect of task complex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reaction time in older women.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3(3), 251-260.
29.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30. Cummings, J. L., Vinters, H. V., Cole, G. M., & Khachaturian, Z. S. (1998). Alzheimer's disease: etiologies, pathophysiology, cognitive reserve, and treatment opportunities. Neurology, 51(1 Suppl 1), 2-17.
31. Garabrant, A. A., & Liu, C. J. (2021). Loneliness and activity engagement among rural homebound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self-reported depressio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5(5).
32. Haskell, W. L., Lee, I. M., Pate, R. R., Powell, K. E., Blair, S. N., Franklin, B. A., ... & Bauman, A. (2007).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16(9), 1081.
33. Kanfer, R. (1994). The blackwell dictionary of organizational behavior. Oxford, UK: Blackwell Publishers.
34. Moul, J. L., Goldman, B., & Warren, B. (1995).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the older population.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3(2), 135-145.
35. Resnick, B., & Spellbring, A. M. (2000). Understanding what motivates older adults to exercis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6(3), 34-42.
36. Teri, L., Logsdon, R. G., & McCurry, S. M. (2002). Nonpharmacologic treatment of behavioral disturbance in dementia. Medical Clinics, 86(3), 641-656.
37. Weinberg, R. S., & Gould, D. (1995). Foundation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champaign, Human Kinetic.
38. World Health Organization(2017). 10 facts on aging and health.
39. Yan, T., Silverstein, M., & Wilber, K. H. (2011). Does race/ethnicity affect aging anxiety in American baby boomers?. Research on Aging, 33(4), 361-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