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Archives | About | For Contributors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 Article ] |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7, No. 2, pp. 29-42 | |
Abbreviation: KSLRP | |
ISSN: 1598-0413 (Print) | |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3 | |
Received 30 Apr 2023 Revised 03 Jun 2023 Accepted 17 Jun 2023 | |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3.6.47.2.29 | |
생활체육으로서 컬링의 가치 탐색 | |
스위야오1 ; 김미향2
| |
1국민대학교 박사과정 | |
2국민대학교 교수 | |
Exploring the Value of Curling as Sports for All | |
Shi, Yu-Yao1 ; Kim, Mee-Hyang2
| |
1kookmin University | |
2kookmin University | |
Correspondence to : Kim, Mee-Hyang E-mail: mhkim@kookmin.ac.kr |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ources of enjoyment and the value of curling as sports for all 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amateur curling player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amateur curling players from the 2020 Korean-Chinese celebrity curling compet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llustrated that there were three enjoyment sources of curling at the beginner stage newness, curiosity, and excitement. Also another three enjoyment sources existed at the stage of basic skills acquisition: adaptation of ice rink, understating of stone movement, and target hitting. In the strategy acquisition level, competition management strategy, situation strategic planning, and strategy execution were included as sources of enjoyment. Lastly at the stage of the competition sharing of achievement, uncertainty of stone movement and opportunity of reversal were verified. In terms of the value of curling as sports for all various factors such as health enhancement, interaction, self-development were identified in three components of value: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Keywords: sports for all, enjoyment, curling, value of curling 키워드: 생활체육, 재미, 컬링, 컬링의 가치 |
1. | 국민체육진흥공단(2007). 규칙적인 체육활동 참여의 경제적 효과. |
2. | 김경룡, 신영국, 길태오, 방현석(2013). 고교 컬링선수들의 동계훈련 및 훈련중지가 호흡순환 기능 및 등속성근·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1), 901-913. |
3. | 김동환, 이진영(2016).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스포츠체험 참가자의 참여동기와 운동재미, 관람재미,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929-941. |
4. | 김미연(2014). 컬링 종목의 여가활동으로써 가능성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5. | 김성배(1991). 생활체육. 서울: 21세기 교육사 |
6. | 김수연, 이동옥, 함우택(2013).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이 생활만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4(1), 887-898. |
7. | 김영숙(2019). 컬링 선수들의 경기 중 역경상황과 대처전략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0(1), 93-102. |
8. | 김은애(2002). 운동참여, 운동중단 및 운동지속에 대한 요인분석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9. | 김지선(2016). 국가대표 컬링선수들의 심리상태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대학원. |
10. | 김형원(2008). 스포츠소비행동과 관여도 분석을 통한 대학생 시장세분화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11. | 노예영, 김기한(2020). 트위터에 반영된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사회적 시청 이슈 분석: 구조적 주제 모형(Structural Topic Modeling)의 적용.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5(6), 1-17. |
12. | 문화체육관광부(2022a). 2022 국민생활체육조사. |
13. | 문화체육관광부(2022b). 국민여가활동조사. |
14. | 박성건, 윤형기, 이수원(2016). 컬링 경기력 지표를 이용한 컬링 경기의 순위 예측. 한국체육과학회지, 25(2), 1097-1107. |
15. | 서광석(2009). 남자 중학생 컬링 초보자의 발목강화 훈련이 스톤컨트롤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16. | 성창훈, 김병준(1997).청소년 스포츠 참가자심층 이해.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8(2), 43-60. |
17. | 소재석, 김혁출(2008). 생활체육총론. 숭실대학교 출판부. |
18. | 스포츠지원포털(2023). 컬링등록현황. https://g1.sports.or.kr/stat/stat01.do |
19. | 안동수, 양희원, 강현욱(2010). 레크레이션관점에서의 뉴스포츠 정체성 제고.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4(4), 51-66 |
20. | 안재성, 채재성(2016). 컬링 믹스더블 경기 전략 연구. 한국스포츠학회지, 14(3), 129-137. |
21. | 안진원(2007).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
22. | 양재봉, 안길영, 김유진(2013). 컬링선수의 집단상호작용과 조직유효성 및 사회성의 인과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1(2), 133-146. |
23. | 오윤선, 이우경(2005). 에어로빅 프로그램 참가노인의 서비스만족, 사회적 관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683-694. |
24. | 위성식(1990). 사회체육학개론. 서울: 대경북스. |
25. | 유근직(2005). 동계올림픽 종목 컬링. 서울: 북스힐. |
26. |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2).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도서출판 박영사. |
27. | 유정인, 김성규, 임용택(2014).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운동지속을 위한 호기심의 역할.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4), 139-154. |
28. | 육영숙(2015). 컬링선수의 스포츠심리재활을 위한 마음챙김 근거 집단상담 단일 팀 사례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4(3), 187-204. |
29. | 이경렬(2018.03.16.). 컬링에 대한 관심, 생활체육으로 이으려면... 오마이뉴스. https://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414463 |
30. | 이윤미, 백승희(2018). 여자 주니어 컬링선수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및 보행능력 평가. 한국체육과학회지, 27(6), 1305-1312. |
31. | 이은아(2022).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필라테스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32. | 임번장(1991). 생활체육의 의의 및 필요성. 스포츠과학, 36. |
33. | 임번장(1993). 생활체육개론.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3. |
34. | 임번장(2000). 스포츠 사회학 개론. 서울: 동지출판사. |
35. | 최재경, 정혁, 류호상(2009). 생활체육 참가자의 목표성향에 따른 참여동기와 운동정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2), 1179-1190. |
36. | 하일성(2007). 인생은 1%의 싸움이다. 서울: 생명의 말씀사. |
37. | 한국성(2011). 팀 스포츠 참여자들의 스포츠 재미요인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38. | 한승완, 최경훈(2020). 관광승마체험 참여 동기와 몰입, 만족 및 재방문의도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스포츠학회, 18(1), 123-132. |
39. |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
40. | Csikszentmihalyi, M. (1993). The evolving self. NY: Harper & Row. |
41. | Iso-Ahola, S. E. & Ellen, W. (1984). Leisure and Wellbeing : Is there Connection?. Journal of Parks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19, 40-44. |
42. | Iso-Ahola, S. E.(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A: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
43. | Kanter, R. M.(1972). Commitment and community: Communes and Utopias in Sociological perspective, Harvard Univ., Press, 32-54. |
44. |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45. | Newman, R., & Schager, M.(1992). Student perception and academic help-seehing. In D. Schunk J. Meece(Eds). Student perception in the classroom(123-146), Hillsade, NJ: Lawrence Erlbaum. |
46. | Rossman, J. R.(1989). Recreation programming: Designing leisure experience. Champaign, IL: Sage Publishing. |
47. | SBS뉴스(2018.02.24.). "영미! 오늘은 모두 함께 울자" 여자컬링 준결승 한일전 경기/SBS/2018 평창올림픽.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v9LhAGvuzY&t=50s. |
48. | Spradley, J. P.(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
49. | Stainback, S., & Stainback, W.(1988). Understanding and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Dubuque, IA: Kendall/Hu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