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7, No. 2, pp.95-107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3
Received 30 Apr 2023 Revised 05 Jun 2023 Accepted 21 Jun 2023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3.6.47.2.95

베이비붐 세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정일1 ; 여인성2
1연세대학교 강사
2연세대학교 교수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Baby Boomer Generatio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Lee, Jeongil1 ; Yeo, Insung2
1Yonsei University
2Yonse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Yeo, Insung E-mail: isyeo@yonsei.ac.kr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nts belonging to the baby boomer genera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we analyzed a total of 272 survey responses obtained from individuals belonging to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o participated in leisure sports in Kore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18.0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ection presents the results of our data analysis. First, health concern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Seco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health concern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soci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s and life satisfaction. We anticipate that our findings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healthy aging among the baby boomer generation.

Keywords:

baby boomer generation, leisure sports, health concerns,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키워드:

베이비붐 세대, 여가스포츠, 건강관심도,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

References

  • 곽종형(2018). 노인세대의 여가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경영연구, 5(1), 205-227.
  • 권기남, 박성혜, 임수원(2017). 노인맞춤형 운동서비스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0(1), 85-104.
  • 김남진(2000). 예비노인 집단과 노인집단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행위, 주관적인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7(2), 99-110.
  • 김대권(2010). 여가스포츠 참가가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1), 147-159.
  • 김동진, 현수생(2021). 노인의 가족건강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비전연구, 3, 115-161.
  • 김승화, 오기성(2019). 노인의 스포츠활동 유형에 따른 스포츠참여 및 스포츠관람 선호도 차이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2), 1-11.
  • 김용탁, 이남(2019). 노인의 건강 특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장애노인과 비 장애노인 비교. 노년교육연구, 5(1), 1-19.
  • 김윤정(2022). 베이비부머세대의 과부담 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 484-492.
  • 김이철, 백진아(2016). 가족갈등,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4(7), 279-287.
  • 김정희, 박지영(2015).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210-222.
  • 김태완, 이주미(2022). 노인빈곤과 노후소득보장에 대한 제언. 보건복지포럼, 305, 60-73.
  • 김태호(2015).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 김학권, 윤상영(2015).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대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4(5), 269-281.
  • 김형진, 설수황, 정지해(2017). 골프참여자의 운동재미와 운동열정 및 건강관심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6(5), 427-437.
  • 김혜경, 김지혜(2020). 노인의 노후준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및 죽음 불안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449-457.
  • 나일주, 임찬영, 박소화(2008).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대비를 위한 정책 방향 : 국가인적자원 개발측면에서. 노인복지연구, 42, 151-174.
  • 동영주, 이원미(2021). 노인의 스포츠사회환경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 스포츠참가정도의 차이.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3, 325-341.
  • 박수현, 박주영(2015). 통합형시니어건강힐링프로그램이 건강관심도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4), 523-531.
  • 박엄지, 조민석, 박수희(2022). 노인 인구의 운동 및 신체활동 정도에 따른 우울감과 인지장애 경험에 관한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6(1), 105-115.
  •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배성호(2023년 1월 16일). “경남 사천·의령, 전남 함평 등 시니어 체육센터 전국 곳곳에 들어선다.” 백세시대, Retrieved 2023년 4월 5일 from http://www.100ssd.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823
  • 보건복지부(2015). 2015년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Retrieved 2023년 4월 5일 from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6336
  • 사혜지, 이철원, 김민정(2017). 노인들의 여가참여, 성공적 노화,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5), 511-521.
  • 설수황, 이광용(2021). 베이비붐세대 골프참여자의 건강관심도와 여가몰입 및 가정생활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3, 205-215.
  • 손지영(2017). 여가스포츠 참여 노인의 여가 몰입과 삶의 질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체육과학회지, 26(4), 331-344.
  • 송인욱(2009). 주부양자의 노인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송인욱, 원서진(2020).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근로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1(6), 349-357.
  • 유성열(2017년 5월 3일). “2030년 노인 의료비 年 90조 원 이상 필요…초고령 사회 해법은?” 동아일보, Retrieved 2023년 4월 5일 from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70503/84191419/1
  • 유용식(201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지, 13(12), 738-747.
  • 유주희, 주운현(2016). 베이비부머들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분석. 정책개발연구, 16(1), 75-111.
  • 윤은자, 권영미, 윤미선(2008). 노인의 우울, 기분상태와 생활만족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6), 3091-3106.
  • 이대주, 조성제(2020).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직무 특성과 삶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아시아태평양융합 연구교류논문지, 6(6), 97-110.
  • 이민석, 이지열, 사혜지(2019). 시니어 대상 여가이벤트 참여 액티브 시니어의 여가촉진,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및 생활만족의 관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7, 449-459.
  • 이수진, 허선희, 홍순영(2011). 베이비붐세대 은퇴에 따른 여가소비문화 활성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기본연구, 2011(12), 1-230.
  • 이숙현(2013). 음악중심 통합예술치료가 장기요양 시설거주 노인의 고독감, 우울, 생활만족도와 Cortisol 및 NK-cell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 이순영, 손명세, 남정모(1995). 한국인의 건강관심도, 건강실천행위 및 건강수준간의 구조분석. 대한예방의학회지, 28(1), 187-206.
  • 이승원, 김동배, 이주연(2008).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2(1), 107-125.
  • 이영라, 이숙종(2018). 고령층의 자산빈곤과 소득빈곤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베이비붐 세대와 해방전쟁 세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7(2), 111-156
  • 이은주(2014).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4), 51-63.
  • 이정일(2022).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health concern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uccessful aging in leisure Sports among Baby Boomer.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이정일, 설수황(2021). 1차, 2차 베이비붐 세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건강관심도와 여가몰입 및 사회적 역할상실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2), 125-136.
  • 이지용, 김태준, 문재용, 김연주, 양연호(2020년 6월 28일). “베이비부머 26만명, 코로나發 강제은퇴.” 매일경제, Retrieved 2023년 4월 5일 from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6/660953/
  • 이철수(2009). 사회복지학 사전. 서울: 블루피쉬.
  • 이학권, 강수진, 김영호(2020). 성인들의 신체활동과 물리적 환경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9(6), 265-273.0
  • 전성범(2021). 여가 스포츠 참여와 주관적 의료비절감의 관계: 베이비부머 및 노인 세대를 대상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3), 63-76.
  • 정경환, 김로빈(2021). 베이비부머 세대와 노인 세대 비교 : 체육활동 참여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30(6), 133-147.
  • 정대조, 이민석, 이철원(2020). 액티브 시니어 테니스 참여자의 여가열정, 건강관심도 및 생활만족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9(4), 87-98.
  • 정연성(2013).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여정도와 사회적 지지 및 생활만족의 PLS 경로모형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2(6), 309-319.
  • 통계청(2021). 인구총조사. Retrieved 2023년 4월 5일 from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parentId=A.1&vwcd=MT_ZTITLE&menuId=M_01_01
  • 통계청(2022). 2022 고령자 통계. Retrieved 2023년 4월 5일 from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60500&bid=10820&act=view&list_no=420896
  • 한윤희, 이형일(2021). 성인여성의 스포츠참여가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 사회적 젠더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4, 405-416.
  • 한창근, 맹성준(2021). 베이비부머 가구주의 빈곤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15차 복지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한국복지패널학술대회논문집, 14, 201-215.
  • 허원구(2017). 노인의 삶의 만족도 발달궤적과 건강특성요인. 사회복지정책, 44(2), 297-318.
  • Bauman, A., Merom, D., Bull, F. C., Buchner, D. M., & Singh, M. A. F. (2016). Updating the evidence for physical activity: summative reviews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prevalence, and interventions to promote “Active Aging”. The Gerontologist, 56(Suppl 2), S268-S280. [https://doi.org/10.1093/geront/gnw031]
  •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Psychological Bulletin, 88, 588-606. [https://doi.org/10.1037/0033-2909.88.3.588]
  •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 Duda, J. L., & Hall, H. (2001). Achievement goal theory in sport: Recent extensions and future directions. Handbook of Sport Psychology, 2, 417-443.
  • Ferreira, L. N., Pais, S., Ilchuk, K., & Santos, M. (2022). Age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Activity – Evidence Based on the EQ-5D-5L. Ageing International, 47(4), 705–723. [https://doi.org/10.1007/s12126-021-09445-7]
  • Kleiber, D. A., & Linde, B. D. (2014). The case for leisur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transition. Journal of Park & Recreation Administration, 32(1), 110-127.
  • Kline, R. B. (2023).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Press.
  • Ku, P. W., Fox, K. R., & Chen, L. J. (2016).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lder adults: An eight-year longitudinal research. Social Indicators Research, 127(3), 1349-1361. [https://doi.org/10.1007/s11205-015-1005-7]
  • Newsom, J. T., McFarland, B. H., Kaplan, M. S., Huguet, N., & Zani, B. (2005). The health consciousness myth: implications of the near independence of major health behaviors in the North American populat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0(2), 433-437.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4.05.015]
  • Steiger, J. H., & Lind, J. M. (1980).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Psychometric Society, IA, Ju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