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 No. 2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No. 2, pp. 23-37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4
Received 07 May 2024 Revised 08 Jun 2024 Accepted 20 Jun 2024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4.6.48.2.23

시각장애인의 낚시 참여를 통한 여가활동 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분석: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박경실1 ; 황수영2
1경기대학교
2가천대학교

Analysis of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isure Activity Experiences Through Fishing Participation of Visually Impaired People: Focusing 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ocial Relationships
Park, Kyung-Sil1 ; Hwang, Suyoung2
1Kyunggi University
2Gacho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Hwang, Suyoung E-mail: harriett0059@gmail.com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experienced by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through fishing activities. A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utilized to deeply analyze the diverse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as conveyed by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shing activities provided participants with new experiences beyond their daily routines, facilitated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interaction with nature, and served as opportunities for self-realization. Additionally, these activities enhanced social interactions and reduced feelings of isolation. The study proposes necessary conditions and improvements for sustaining the participation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in fishing activities. Suggested improvements include enhancing program design, increasing the professionalism of instructors, and focusing on participant-centered program operat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eveloping strategies that enable not only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but all disabled individual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leisure activities.


Keywords: Visual Impairment, Fishing Experience, Social Interaction, Narrative Inquiry
키워드: 시각 장애, 낚시체험, 사회적 상호작용, 내러티브 탐구

References
1. 곽미리, 문한식(2023).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심리기술 및 경기력과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8(4), 183-190.
2. 구교만, 오아라(2012). 시· 청각장애인의 생활체육참여 제약 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1(2), 423-430.
3. 구교만(2010). 지체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 기간과 자아존중감 및 자립생활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1), 463-471.
4. 구자영, 양재원, 최용규, 조소현, 김범식. (2019). 시각장애인의 Blind Golf 참여를 통한 여가 경험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8(2).
5. 국철승, 강민정(2024). 원예치유프로그램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비즈니스융복합연구, 9(1), 93-100.
6. 권선근, 이해열(2023). [힐링 여행] 14 번 도로따라 느릿느릿, 거제 여행 _ 유정한, 남쪽 해안로에서 힐링하다. 여행스케치, 21(10), 62-67.
7. 권순재(2021). 여가활동으로서 가상현실 (VR) 컨텐츠 재미요인이 여가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2), 51-60.
8. 권현진, 양한나(2020).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발달장애인 신체활동 중재에 관한 문헌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8(4), 129-140.
9. 김경숙, 구교만(2017).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 제약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체육과학회지, 26(1), 93-103.
10. 김경희, 간기현(2023).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및 사회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우울, 행복감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33(1), 81-109.
11. 김민, 여인성, 김신혜(2023). 유튜브 콘텐츠 시청을 통한 여가열의, 여가몰입 및 생활만족의 관계: 여가스포츠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32(5), 111-122.
12. 김순영, 김지영(2021). 장애 특성에 따른 장애인의 운동 참여, 태도 및 운동 제약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30(4), 37-48.
13. 김순영, 김지영(2021). 장애 특성에 따른 장애인의 운동 참여, 태도 및 운동 제약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30(4), 37-48.
14. 김연산(2022). 지체장애인의 여가생활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상담연구, 6(2), 81-107.
15. 김정혜, 김지태(2021). 신체활동 참여 장애인의 정신적 웰빙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체육학회지, 60(4), 85-99.
16. 김지태(2016). 자연과학편: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5(1), 763-771.
17. 김춘종, 김경진, 김재화, 서건우, 오아라, 윤석민, 구교만(2022). 성인 지적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제약요인과 극복을 위한 지원 요소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30(2), 47-56.
18. 김환, 김지태(2023). 시각장애인을 위한 생활체육참여 제약요인 및 지원방안 탐색. 한국웰니스학회지, 18(1), 15-21.
19. 문화체육관광부(2022). 국민여가활동조사 보고서.
20. 민솔희(2021). 여성 장애인이 체육활동에서 경험한 인권 인식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9(2), 35-54.
21. 박현호(2023). 낚시동호회의 동기분위기가 낚시대회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개인주의 성향을 조절효과로. 관광연구논총, 35(1), 157-184.
22. 서은철, 백재근, 전태준(2017). 시각장애인복지관현황조사를 통한 스포츠 접근성 탐색. 한국웰니스학회지, 12(4), 167-178.
23. 송진영(2021).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 41(1), 146-159.
24. 신진호, 홍서윤(2022). 장애인의 여가활동 유형화와 유형별 특성 연구: 여가제약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9(2), 225-253.
25. 안진호, 최재성(2022). 사회자본이 청년의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취업여부 비교를 통한 종단연구. 청소년문화포럼, 105-137.
26. 연은모, 최효식(2021). 성인 장애인의 자아존중감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탐색: 장애수용, 삶의 만족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2(8), 394-402.
27. 유정인, 김성규(2020). 생활체육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운동열정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211-222.
28. 윤지인, 한진욱, 이지원(2021). 야외 여가활동 참여자의 코로나 관련 위험인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행동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1), 89-101.
29. 이성모, 진주연(2021).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신체활동 촉진을 위한 MGB 기반 부모지원의 이해.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9(2), 85-98.
30. 이한우, 신정택(2020). 신체 활동을 활용한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8(2), 159-167.
31. 전근성(2022). 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 생활만족도, 행복의 관계: COVID-19 전후 시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3), 560-566.
32. 정희정, 김동민, 조가람, 이용호(2016). 발달장애인의 지속적 체육활동 참여 과정 탐색: 발달장애인 부모 포커스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4(4), 133-149.
33. 최귀정, 이현수(2020).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지체장애인의 스포츠태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마인드셋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9(1), 481-493.
34. 최수정, 이현수(2020). 생활체육 참여 지체장애인의 자기격려가 사회성 향상 및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9(4).
35. 최희철, 김영미, 김혜리(2023). 지체장애인의 행복성장이 장애수용, 자기효능감,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보건사회연구, 43(2), 89-111.
36. 한국장애인개발원(2021). 장애인삶 패널조사. 한국장애인개발원. 3(1), 1-199.
37. 황수영, 장덕선(2020). 사격선수의 대인관계와 운동지속 및 중단 관계 연구-코치-선수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스포츠사이언스, 38(2), 91-104.
38. 황신영, 성지민, 여소담, 김유정, 조승희. (2023).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과 성장 경험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사회적 포함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5(3), 155-188.
39. Ames, C.(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
40. Baker, S. M., & Kennedy, P. F. (1994). Death by nostalgia: a diagnosis of context-specific cas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1(1).
41. Bavlı, B., Korumaz, M., & Akar, E.(2020). Visually impaired mentally sighted: An inclusive education cas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gressive Education, 16(6).
42. Bruner, J.(1987). Life as narrative. Social research, 11-32.
43. Clandinin, D. J., & Connelly, F. M.(2004).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hn Wiley & Sons.
44. Coles, R. (1989). The call of stories: Teaching and the moral imagina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45. Connelly, F. M., & Clandinin, D. J.(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19(5), 2-14.
46. Dyson, A. H., & Genishi, C. (1994). The need for story: Cultural diversity in classroom and community.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1111
47. Infantes-Paniagua, Á., Palomares Ruiz, A., Fernández-Bustos, J. G., & Contreras Jordan, O. R. (2022). Physical activity and self-concept in gifted students: A comparison with non-gifted students. High Ability Studies, 33(2), 211-226.
48. Nicholls, J. G.(1989). The competitive ethos and democratic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49. Park, Y.(2011). A pedagogical framework for mobile learning: Categorizing educational applications of mobile technologies into four type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12(2), 78-102.
50. Polkinghorne, D. E.(1989).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Existential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in psychology: Exploring the breadth of human experience (pp. 41-60). Boston, MA: Springer US.
51. Puce, L., Okwen, P. M., Yuh, M. N., Akah Ndum Okwen, G., Pambe Miong, R. H., Kong, J. D., & Bragazzi, N. L. (2023).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practicing sports,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Para-athletes: insights from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Frontiers in Psychology, 14, 1071656.
52. Treasure, J., & Ward, A.(1997). A practical guide to the use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in anorexia nervosa.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The Professional Journal of the Eating Disorders Association, 5(2), 102-114.
53. Wildschut, T., Sedikides, C., Arndt, J., & Routledge, C.(2006). Nostalgia: content, triggers, func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5), 975.
54. Webster, L., & Mertova, P.(2007). Using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 An introduction to using critical event narrative analysis in research on learning and teaching.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