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 노인에서 밴드를 활용한 복합훈련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건강관련체력 및 노인 우울감 차이 분석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complex training program using bands for elderly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derly women in their 60s living in Gyeonggi-do. Of the 20 people in total, 10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were the experimental group(EG), and 10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training were the control group(CG). Train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60 minutes each time for 10 weeks from February 202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G significantly improved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flexibility in elderly women. This suggests that EG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han CG, supporting the practicality of complex training in improving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the elderly women. Second, E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omen. This shows that complex training can contribute to improving not only physical health but also mental health, an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elderly women.
Keywords:
combind training program, elastic band, elderly wome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depression.키워드:
복합훈련, 탄성밴드, 노인 여성, 건강관련체력, 우울감References
- 고숙자, 정영호, 김혜윤, 차미란(2019). 건강수명연장을 위한 사회문제 해결형 보건의료 기술과 정책과제- 고령자의 의료-돌봄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ISBN 978-89-6827-601-9 93510.
- 강현정, 이종현, 윤용진(2022). 노인의 스포츠 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7, 243-254.
- 기백석(1996).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35(2), 298-307.
- 김경태, 조지훈(2013). 탄성밴드운동 및 유산소성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체력, 혈중지질 및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5(2), 129-138.
- 김규민, 김재학, 이현실(2020). 노인의 우울 수준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3), 286-314.
- 김남수, 이진석, 강민정(2024). 규칙적인 단관절 후 다관절 탄성 밴드 운동이 여성 노인의 신체구성 및 기능 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8(1), 89-103.
- 김소민, 김대경(2018). 도시 노인의 성별 및 연령별 기초신체활동 측정 평가. PNF and Movement, 16(2), 239-248.
- 김영미, 오세숙, 안근희(2024). 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유연성 훈련의 효과 차이 검증. 여가학연구, 22(1), 21-39.
- 김용, 한명일, 박종일, 정상근(2021). 노인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노인정신의학, 25(2), 120-127.
- 김용발 (2015). 꽃보다 노인! 건강의 열쇠는 근력. http://www.medipharmhealth.co.kr/news/article.html?no=23873
- 김주현, 현혜진, 안미향, 최은영, 고가연, 박복순. (2013). 세라밴드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골밀도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3),147-153, .
- 문명훈, 장명훈, 윤라유, 정다휘, 채다솜, 이은이, 신명준(2018).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신체 기능에 대한 단면 연구. 대한노인재활의학회지, 8(1), 34-42.
- 박성태(2024). 노인의 신체활동과 우울증과의 연관성. 산업융합연구, 22(11), 113-122.
- 박순미, 문수열(2019).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별, 가구유형별 집단 비교.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3(4), 191-200.
- 박휴경, 정원정(2022). 지역사회연계 노인운동 적용 사례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6(1), 51-71.
- 배종진, 박현철(2014). 운동이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3), 549-567.
- 양승경, 이수정, 이은주(2022). 지역사회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우울, 외로움,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중심으로. 글로벌 건강과 간호, 12(1), 78-87.
- 양승민, 최재성(2021).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이 건강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존분석: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 13년간 분석. 한국노년학, 41(4), 547-566.
- 엄석주, 유인영(2021). 필라테스 매트운동이 여성노인의 기능적 체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6(5), 213-222.
- 오민욱, 안홍준, 박혁, 김대열(2024). 아쿠아백 저항운동이 노인 여성의 건강체력, 낙상위험도 및 코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9(2), 149-160.
- 유경석(2023). 연령에 따른 근력감소가 악력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93, 325-333.
- 유대현, 여인성(2013).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 및 운동능력, 사회적 관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2(1), 351-361.
- 이경희, 문보영, 이지원(2023). 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 19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9(2), 163-176.
- 이선미, 김수정, 백종환, 배경의(2019). 여성 노인의 운동교실 참여에 따른 정신건강 변화.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11), 705-713.
- 이수민(2020). 노인의 심폐지구력 측정을 위한 걷기 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평가. 미간행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유미, 박찬호, 천지언(2017). 지면 형태에 따른 밴드운동이 노인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2(3), 469-478.
- 이진석, 김남수, 안지영(2024). 탄성밴드와 인지기능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신체 구성, 기능 관련 체력, 우울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8(2), 49-68.
- 이창석(2009). 탄성밴드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고령자의 신체조성과 생활체력 및 균형감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이향범, 정원정(2017). 밴드 트레이닝이 노인여성의 노인체력과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4), 155-16
- 장기연, 이은진, 강미영(2020). 국내 노인들의 신체적 활동 유형별 참여와 건강 관련 요인 연구.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10(2), 47-61.
- 전계형, 류근관(2014). 생명과 생명연장의 경제적 가치: 이론 모형. 응용경제, 16(2), 101-124.
- 정영호(2012).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여명 및 건강수명. 보건복지포럼. N193_02
- 정인과, 곽동일, 조숙행, 이현수(1997). 한국형 노인우울검사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표준화 연구. 노인정신의학, 1(1), 61-72.
- 조인숙(2020). 여가활동이 노인의 우울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11), 269-282.
- 주지용, 황연희, 김영관(2020). 노인 체력 측정 결과와 보행 특성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208-215.
- 최봉길, 윤형기(2021). TRX 운동이 여성노인의 등 속성 근력 및 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30(4), 995-1002.
- 최혜정, 김석희, 김사엽, 이병근, 강현주(2013). 근력 운동 형태의 차이가 고령자의 신체조성, 기능성 체력 및 족압 균형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5(3), 11-24.
- 통계청(2024). 건강수명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5067
- 허안식(2024). 탄력 밴드를 이용한 운동이 여성 노인의 근감소증 요인 개선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6(7), 107-115.
- 황혜선, 이윤석. (2021). 노인 1 인가구의 여가활동유형 및 여가동반자 유형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의 탐색. 한국보건사회연구, 41(4), 88-107.
-
Granic, A., Jagger, C., Davies, K., & Adamson, A.(2016). Effect of dietary patterns on muscle strength and physical performance in the very old: findings from the newcastle 85+ study. journals plos org, 11(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49699]
-
Jones, C. J., Rikli, R. E., Max, J., & Noffal, G. (1998).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chair sit-and-reach test as a measure of hamstring flexibility in older adult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9(4), 338-343.
[https://doi.org/10.1080/02701367.1998.10607708]
-
Rikli, R. E., & Jones, C. J. (199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unctional fitness test for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7(2), 129-161.
[https://doi.org/10.1123/japa.7.2.129]
-
Steen, B. (1988). Body composition and aging. Nutrition Reviews, 46(2), 45-51.
[https://doi.org/10.1111/j.1753-4887.1988.tb05386.x]
-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et al. (198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