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 공공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운동 경험 : 산, 공원, 놀이터에 있는 야외 운동기구 이용자를 중심으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ercise experiences of older adults utilizing outdoor public fitness facilities, including Sansjang (mountain-based fitness areas), Gongsjang (park-based fitness areas), and Nolsjang (playground-based fitness area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A total of 27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regularly used these facilities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involve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ansjang offered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restor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natural environments. Gongsjang, characterized by its accessibility, served as a convenient venue for regular physical activity. Meanwhile, Nolsjang emerged as a multifunctional space fostering both physical exercise and social interaction, enhancing social cohesion among older adults an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support networks. These exercise experiences reflected the distinct environmental features of each facility and demonstrated a positive impact on promoting the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of older adults while strengthening their social connec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critical role of outdoor public fitness facilities in supporting the health and social integration of older populations. It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policy interventions and sustained research to leverage the potential of these facilities. By establishing outdoor public fitness facilities as vital resources for senior health, welfare, and community cohesion, this study provides actionable insights for creating environments that facilitate healthy and active aging in contemporary society.
Keywords:
older adults, senior fitness, sports for all, exercise experience, outdoor public fitness facilities키워드:
노인, 노인체육, 생활체육, 운동 경험, 야외 공공 체육시설References
- 김동일, 이동훈, 김동현, 박지혜, 원영신, 이해동, 고재욱, 이초애, 전용관(2013). 노인을 대상으로 한 야외운동기구의 운동효과 검증연구: A pilot study.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3), 299-308.
- 김미정, 임승엽(2024). 야외형 노인 놀이터 시범사업 정책성과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9(3), 199-216.
- 김용진, 안건혁(2011).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노인의 건강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도시설계, 12(6), 89-99.
- 김정인(2024). 노인의 사회적 고립 인식 영향요인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8(2), 163-188.
- 김지훈, 원영신, 고대선(2012).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노인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이용만족, 지속적 이용의도의 관계. 한국노년학, 32(1), 341-351.
- 박휴경, 정원정(2022). 지역사회연계 노인운동 적용사례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6(1), 51-71.
- 배재윤(2024a). 노인 여가 스포츠와 액티브 에이징(Active aging). 여가학연구, 22(1), 153-179.
- 배재윤(2024b). 등산하는 노인의 운동 경험과 활동적 노화 사례연구. 여가학연구, 22(2), 15-37.
- 배재윤(2024c). 초고령사회 노인 여가 스포츠와 삶의 질 : 노인의 여가 스포츠 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3(2), 41-58.
- 서현보(2020). 노인 커뮤니티 케어를 위한 소규모 비공식 이웃관계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보건사회연구, 40(1), 297-330.
- 신아름, 정의태(2019).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야외운동기구 사용설명 사인 디자인 가이드라 인 제안.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9), 271-279.
- 양가현, 정경환, 원영신(2021). 산속 헬스장에서 운동하는 노인의 경험 탐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4(2), 87-104.
- 양대중, 박희석(2018). 야외운동기구를 이용한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건강관련체력과 혈당 및 말초동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7(4), 979-991.
- 양상훈, 김종식(2014). 야외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노인들의 활동체력,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3(3), 229-240.
- 양상훈, 박희석(2014). 야외운동기구를 이용한 8주간의 복합운동이 노인들의 노화호르몬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1), 397-408.
- 윤문구, 송가섭, 김후성(2017).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근력운동기구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1), 403-415.
- 윤종영, 안혜신(2015). 노인을 위한 친환경 야외 운동기구 및 편의시설물 디자인 개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4), 465-475.
- 이형숙, 안준석, 전승훈(2011). 도시 노인들의 걷기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요인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2), 65-72.
- 임유영, 장영호, 이현성(2023). 세대화합을 위한 초세대놀이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8(4), 573-588.
- 장휘양, 이예진, 김은영, 장상우(2013). 24 주간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노인의 신체활동이 혈액변인,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4), 1113-1124.
- 전영신, 송초롱, 박범진, 연평식, 이윤정(2024). 도시 숲길 걷기 운동이 노인의 건강관련 혈액변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8(2), 75-90.
- 정희재, 원영신(2010). 은퇴한 남성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동기가 재사회화 및 행복한 삶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3), 209-220.
- 조성원, 원영신(2013). 야외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노인들의 운동 능력과 신체적 자기개념, 주관적 행복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2(1), 551-561.
- 하범만, 김지순, 김선호(2023).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고립과 우울의 연속다중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10), 617-628.
- 허윤구, 정원상, 이만균(2014). 13 주간의 야외 그룹 걷기운동이 노인 여성의 우울증 및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2), 1351-1364.
- 황영란, 김묘경(2023). 재가노인의 사회적 고립 예측요인: 2018년, 2020년 고령화패널 자료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40(1), 45-59.
- Barriball, K. L., & While, A. (1994). Collecting data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a discussion pap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Institutional Subscription, 19(2), 328-335.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4.tb01088.x]
- Candela, A. G. (2019). Exploring the function of member checking. The qualitative report, 24(3), 619-628. [https://doi.org/10.46743/2160-3715/2019.3726]
- Carlson, J. A. (2010). Avoiding traps in member checking. Qualitative Report, 15(5), 1102-1113.
- Cooper, J., Lewis, R., & Urquhart, C. (2004). Using participant or non-participant observation to explain information behaviour. Information Research, 9-4.
- Clarke, V., & Braun, V. (2017). Thematic analysi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2(3), 297-298. [https://doi.org/10.1080/17439760.2016.1262613]
- Gammelgaard, B. (2017). The qualitative case stud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28(4), 910-913. [https://doi.org/10.1108/IJLM-09-2017-0231]
-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 Guest, G., MacQueen, K. M., & Namey, E. E. (2012). Introduction to applied thematic analysis. Applied thematic analysis, 3(20), 1-21. [https://doi.org/10.4135/9781483384436.n1]
- Horton, J., Macve, R., & Struyven, G. (2004).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in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The real life guide to accounting research (pp. 339-357). Elsevier. [https://doi.org/10.1016/B978-008043972-3/50022-0]
- Legard, R., Keegan, J., & Ward, K. (2003).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A guide for social science students and researchers, 6(1), 138-169.
- Mears, C. L. (2012). In-depth interviews. Research methods and methodologies in education, 19, 170-176.
- Njie, B., & Asimiran, S. (2014). Case study as a choice in qualitative methodology. Journal of research & method in Education, 4(3), 35-40. [https://doi.org/10.9790/7388-04313540]
- Patton, M. Q. (2014).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 Spall, S. (1998). Peer debriefing in qualitative research: Emerging operational models. Qualitative inquiry, 4(2), 280-292. [https://doi.org/10.1177/107780049800400208]
- Suri, H. (2011). Purposeful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synthesis.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11(2), 63-75. [https://doi.org/10.3316/QRJ1102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