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선수 여가인식과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leisure experiences among adolescent student-athletes by analyzing their perceptions, environments, and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adolescents registered as student-athletes in the Korean Sports & Olympic Committe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hich led the derivation of core categories and paradigms. The central phenomenon identified was "seeking change for a better state," which encompasses three detailed pursuits: ‘recovery’, ‘development’, and ‘pleasure’. The causal conditions triggering this central phenomenon were identified as ‘physical and mental fatigue’, as well as an ‘instinctive desire for fun’, contextualised by the ‘student-athletes’' statuses and situations.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concerns about future career and education’, ‘social networks’, and ‘significant performance-related event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leisure experiences of student-athletes. ‘coping’, ‘enhancement’, ‘escapade’, and ‘deferral’ strategies were identified as key actions/interactions that shaped their leisur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Ultimately, these processes and behaviors led to a state of happiness characterised by the stages of initiation-execution-integration’. The study concludes that student-athletes' leisur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ir emotional well-being and happiness.
Keywords:
student-athletes, adolescent, leisure perception, leisure experiences, happiness키워드:
학생선수, 청소년, 여가인식, 여가경험, 행복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5B5A17047029)
References
- 강현욱, 전태준(2012). 대학 운동선수의 여가활동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3), 36-48.
- 김기형, 박중길(2009). 대학 운동부 선수의 학업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적용과 효과 탐색: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1), 87-107.
- 김보람, 박진훈, 최영준(2015). 대학 학생선수의 여가태도와 지각된 스트레스 그리고 스트레스대처 방식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4), 469-481.
- 김태한(2012). 소방공무원의 업무행위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색 –인식패턴 규명 및 성찰시 고려요인 탐색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 김한별(2012).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에서 학습경험 탐색: 근거이론 접근. 교육문제연구, 0(44), 1-35.
- 남승미(2019). 중년기의 여가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 남은영, 이재열, 김민혜(2010).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요인: 사회성 여가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1107-1108.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보도자료(2017.09.28). 개개인의 삶을 실질적으로 바꾼다.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148843154
- 명왕성(2024). 대학 학생선수의 여가제약에 관한 주관성 유형화. 체육과학연구, 35(1), 061-071.
- 민왕식(2013).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열정, 신체적 자기효능감, 운동정서 및 심리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박금숙(2020). 대학 골프선수의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골프연구, 14(3), 145-154.
- 박명기(2005). 학교체육의 현실과 미래.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대토론회. 한국체육학회 자료집, 3-44.
- 박영찬, 박영우, 한건수(2015). 체육고등학교 학생 선수들의 여가제약과 운동생활 만족도 및 자기통제력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0), 6575-6583.
- 박준응(2000). 고교생의 여가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대학원.
- 박진화 (2017). 청소년의 체험활동참여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활동연구, 3(1), 29-50.
- 박찬, 서희진(2013). 대학 골프선수들의 하위문화로서 여가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2(4), 377-387.
- 선혁규(2018). 학생선수의 학습권을 위한 주말리그제도 운영 실태 및 발전 방안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성호진(2010).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실태와 참여 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송대현(2011). 창의적 지성을 위한 중학교 철학 교육방법. 동서철학연구, 61(-), 489-514.
- 양선정(2001). 청소년의 여가활동 분석을 통한 여가활용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 양진영, 임태희, 김동현(2016).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6, 533-546.
- 윤성엽, 임진선, 이철원(2011). 남자대학생 운동선수가 경험하는 여가 제약. 여가웰니스학회지, 2(1), 13-25.
- 윤혜진 김영문 김은희 (2016). 세대별 여가 인식, 활동 그리고 행복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8(12), 353-370.
- 이계영(2015). 노자철학에 있어서 여가문화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3), 221-228.
- 이근모, 김찬룡, 이재형(2003).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 및 여가태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2(4), 235-246.
- 이만석, 신형교, 이한주, 권자연(2009).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경험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48(2), 67-77.
- 이명우, 홍윤미, 윤기웅(2016). 여가 활동이 국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30(2), 264-287.
- 이양주(2009). 고교 육상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선수생활만족과 운동지속 및 포기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유진, 황선환, 김재운(2020).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자원 요인. 여가학연구, 18(1), 19-33.
- 이학준(2008). 학생선수의 생활세계: 공부, 운동, 여가. 스포츠인류학연구, 3(1), 17-34.
- 이학준(2011). 구술로 만나는 학생선수 : 대학 여자 테니스선수의 일상과 고민. 스포츠인류학연구, 6(1), 27-49.
- 장훈(2014). 여가활동의 효과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정병수, 이윤호(2012). 여자청소년의 일탈적 생활양식과 성범죄피해의 관계 -일반청소년과 시설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6(1), 91-129.
- 정용철, 정윤수, 박정준(2016). 스포츠 인권을 만나다. 서울: 나녹.
- 조남흥(2011). 여가스포츠 사회화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3), 83-102.
- 지명원, 조태영(2012).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6(6), 145-165.
- 한학진, 강혜숙, 오평석(2011). 직장여성의 여가활동 참여동기 요인과 여가활동특성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6(5), 495-513.
- 허중욱, 김흥렬(2016).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도 결정요인. 관광연구저널, 30(3), 227-240.
- 허진선, 구민(2021). 코로나-19로 인한 학생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사 및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9(2), 477-488.
- 홍나미 (2015). 청소년 봉사활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 문화포럼, 44, 157-180.
- 홍덕기, 류태호(2007). 인권으로 바라본 학생선수: 교육적 담론.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4(4), 131-154.
- Chun, S., Lee, Y., Kim, B., & Heo, J. (201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stress-related growth. Leisure Sciences, 34(5), 436-449. [https://doi.org/10.1080/01490400.2012.714704]
- Easterlin, R. A. (1974). Dos economic growth improve the human lot? Some empirical evidence.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89, 89-125. [https://doi.org/10.1016/B978-0-12-205050-3.50008-7]
-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 Huang, C. Y. (2003). 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participa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Taiwa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he Incarnate Word).
- Kimball, A., & Freysinger, V. J. (2003). Leisure, stress, and coping: The sport participation of collegiate student-athletes. Leisure sciences, 25(2-3), 115-141. [https://doi.org/10.1080/01490400306569]
- Hoggard, L. (2006). 행복(이경아 역). 서울: 예담.
- Mcguire, F. A., Mihalik, B. J., & Pope Jr, J. R. (1985). Leisure attitudes of varsity athletes vs. nonvarsity athlete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6(3), 291-293.
-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Merriam, S. B., & Tisdell, E. (2015).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 Seligman, M. E. (2004). 완전한 행복(곽명단 역). 서울: 물푸레.
- Stambulova, N. B., Ryba, T. V., & Henriksen, K. (2021). Career development and transitions of athletes: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sport psychology position stand revisited.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9(4), 524-550. [https://doi.org/10.1080/1612197X.2020.1737836]
-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 Vacher, P., Sondt, N., Levillain, G., Bossard, C., Prost, M., & Bernier, M. (2022). What If Leisure Time Activities Were a Solution for Athletes' Long-Term Development and Health?. Frontiers in Psychology, 13, 926419. [https://doi.org/10.3389/fpsyg.2022.926419]
- Wilson, G., & Pritchard, M. (2005). Comparing sources of stress in college student athletes and non-athletes. Athletic Insight,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