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No. 2, pp.53-72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4
Received 07 May 2024 Revised 08 Jun 2024 Accepted 20 Jun 2024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4.6.48.2.53

노인 1인가구의 여가 스포츠 참여 특성과 활성화 방안

배재윤1
1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연구위원
Characteristics and Encouragement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in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Bae, Jae-Yoon1
1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Correspondence to: Bae, Jae-Yoon E-mail: baejaeyoon@kordi.or.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among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and how to promote it. In this stud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elderly (n=27) aged 65 or older who regularly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from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interviewed in depth to confirm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 group of senior leisure sports experts (n=9) was organized to explore ways to revitalize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among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among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are "flexibility in time use and variety of sports participation", "distinct preferences and common tastes", "interest in improv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and "fear of loneliness and interaction orientation". Second,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identified to promote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by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considering personal circumstances and cultural diversity", "specialized exercise programs and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improving and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leisure sports facilities for the elderly",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and exchange platforms", and "promoting tailored policies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create a social support bas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eisure sports policies for the elderl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of the super-aged society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r capital, reflecting social changes and the specificity of policy target.

Keywords: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 leisure, sports, sports for all

키워드:

노인, 1인가구, 여가, 스포츠, 생활체육

References

  • 고재욱(2011). 노인여가복지측면에서의 여가스포츠 정책과 법적검토.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4(2), 67-93.
  • 권욱동(2005). 노인의 삶과 여가 스포츠 문화.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13(2), 41-62.
  • 김가원, 허준수(2021). 노인 1인가구의 자기돌봄유형화 및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6(2), 159-188.
  • 김가원, 황혜신(2021). 노인 1인가구의 연령대별 행복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6(1), 45-70.
  • 김다영, 김보성(2022). 노년기의 내러티브 경험 서사 활동 참여를 통한 사회·문화적자아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질적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상담심리교육복지, 9(6), 229-245.
  • 김리영, 박길환(2023). 청년 1인가구와 노인 1인가구의 주거입지 특성 비교 연구. 주택도시연구, 13(2), 75-92.
  • 김명숙, 고종욱(2013). 여가활동이 노인건강에 미치는 영향과가족지지의 매개역할. 노인복지연구, 60, 35-54.
  • 김미혜, 원형중, 권지혜, 황선영(2018). 여성노인1인가구의 여가스포츠 참여특성과 여가만족 및 행복.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4, 449-458.
  • 김민희(2005). 댄스스포츠를 통한 여가활동 참여가 노인의 신체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451-462.
  • 김병석, 이동성(2021). 노인 1인가구의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거환경, 19(3), 349-360.
  • 김영갑(2014). 고령화 사회와 스포츠.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22(2), 55-67.
  • 김예성(2018). 여가스포츠 참여 형태에 따른 노년기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 5년간의 종단적 변화추이 비교.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6(3), 113-125.
  • 김정현, 전미애(2018). 노년기 연령집단에 따라 사회활동 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8(2), 329-349.
  • 김태형, 왕시제, 윤상문(2020). 지역사회 노인들의 여가스포츠 활동이 문화적 가치성향 및 사회적 연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8(3), 205-215.
  • 김학령, 옥진(2023). 1인 가구 노인을 위한 AI 안부전화 서비스 이용 경험 연구. 인문사회 21, 14(2), 1129-1144.
  • 김형수(2004). 노인 여가와 스포츠활동에 관한 소고. 코칭능력개발지, 6(2), 123-129.
  • 남순현(2024). 은퇴노인의 여가참여 빈도,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 분석. 노인복지연구, 79(1), 9-32.
  •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6 국민여가활동조사. 세종시: 문화체육관광부.
  • 박민진, 김성아(2022). 1인가구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및 정신건강 문제의 특성과 유형: 서울시 1인가구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2(4), 127-141.
  • 박순호(2016). 여가스포츠 활동 노인의 신체적자기개념과 삶의 질. 한국체육과학회지, 25(3), 307-321.
  • 배재윤(2020). 한국 노인의 건강 및 사회참여 특성: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9(3), 291-301.
  • 배재윤(2023).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여가 스포츠 활동과 액티브 에이징 (Active aging). 한국체육학회지, 62(6), 351-366.
  • 배재윤(2024a). 노인 여가 스포츠와 액티브 에이징(Active aging). 여가학연구, 22(1), 153-179.
  • 배재윤(2024b). 코로나19와 노인체육: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노인 여가 스포츠 참여 양상의 변화와 전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7(1), 34-51.
  • 배재윤(2024c). 초고령사회 노인 여가 스포츠와 삶의 질 : 노인의 여가 스포츠 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3(2), 41-58.
  • 백민소, 신준섭, 신유선(2021). 독거노인의 ICT 기반 돌봄 보조 기기 사용의향 및 필요 기능인식에 대한 기술적 연구. 한국노년학, 41(1), 25-48.
  • 서지원, 송혜림, 김정은, 박정윤(2024). 1인가구의 특성에 따른 생애주기별 건강성 결정요인.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8(1), 13-25.
  • 선한이, 조윤오(2020). 노인 1인 가구의 취약성과 범죄ㆍ차별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교정담론, 14(3), 315-339.
  • 손지영(2019). 여가스포츠 참여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 인식 및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4), 17-34.
  • 손석정(2014). 노인체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7(1), 133-154.
  • 송영신(2015). 여성 노인 1인 가구의 실태 및 정책적 개선방안. 이화젠더법학, 7(2), 33-72.
  • 신서우, 민소영(2023). 1인 노인가구 우울에 미치는 지역환경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분석 : 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84, 75-114.
  • 안재신, 정진욱, 송기민(2024). 가족 없이 혼자 사는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에 따른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과 삶의 질 비교 연구. 보건과복지, 26(1), 65-89.
  • 염혜실, 권오정(2014). 노인 1인가구를 위한 시니어 쉐어하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5(6), 123-132.
  • 오세숙(2022). 노인 1인가구의 건강행태가 건강상태 및 체력상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20(2), 67-84.
  • 오세숙, 김종순, 전상우(2016). 여가활동유형별 노인여가정책 연구동향. 여가학연구, 14(1), 63-82.
  • 이경석, 이은희, 이지희(2023). 노인 1인가구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7(1), 171-192.
  • 이경희, 문보영, 이지원(2023). 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 19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9(2), 163-176.
  • 이광욱(2008). 노인의 여가스포츠참가와 신체적 건강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9(3), 33-44.
  • 이민규(2017). 남성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신체 여가활동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6(5), 73-89.
  • 이상구, 신승호, 장호중, 주석범(2008).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전망. 한국체육학회지, 47(6), 141-157.
  • 이유미, 최윤희, 최귀선(2024). 여성 노인의 사회적 관계, 건강정보 리터러시 및 신체 건강에 관한 연구: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4(2), 192-213.
  • 이은진(2022). 활동적 노화 유형과 예측 요인 연구: 노인1인가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5), 3403-3418.
  • 이종운, 김연심, 남정희(2024). 여성 독거노인의 심리적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자연치유연구, 8(2), 190-219.
  • 이종운. 이미애(2024). 도시거주 고령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2), 497-506.
  • 이지희, 이은희(2022). 경기도 노인1인가구의 고독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26(1), 207-228.
  • 이태호, 허순임(2021). 사회자본이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41(4), 128-146.
  • 이현민, 최미선(2022). 노인1인가구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 요인. 보건사회연구, 42(2), 262-279.
  • 1인 가구 '1000만 시대'. (2024.4.11).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4/04/10/TDJB6DDDNRBF3IN2BC6EDJSQCU/, . 조선일보.
  • 전진호, 이성규(2023). 1인 노인가구의 사회참여와 지역사회 요인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층모형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86, 161-190.
  • 전형상(2017). 노인 여가정책 수립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노인정책 분석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1), 553-571.
  • 정경자, 박정근, 김성문(2014). 효과적인 노인 여가스포츠 프로그램을 위한 질적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3(6), 151-166.
  • 정경환(2023). 노인체육 정책에 관한 소고(小考): 실제와 한계. 한국융합과학회지, 12(4), 75-90.
  • 정영금, 윤소영(2018). 1인 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4), 1-15.
  • 조경환(2022). 코로나19 시대 건강증진을 위한 노인체육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141-160.
  • 조경환(2024). 노인의 「스포츠권」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발전 방안. 한국융합과학회지, 13(4), 51-78.
  • 조명희, 허준수(2020). 규칙적인 여가활동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신체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4), 77-91.
  • 조성미(2024). 노인의 생산적 여가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구조, 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22(1), 181-202.
  • 최성헌(2020). 도시 거주 노인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40(2), 244-282.
  • 통계청(2023).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 대전: 통계청.
  • 한혜원(2005). 노인의 여가 스포츠 참여유형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4(5), 713-725.
  • 행정안전부(2024). 행정동별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 검색일: 2024.4.10. https://jumin.mois.go.kr/
  • 황혜선, 이윤석(2021). 노인1인가구의 여가활동 유형 및 여가동반자 유형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의 탐색. 보건사회연구, 41(4), 88-107.
  • Candela, A. G. (2019). Exploring the function of member checking. The qualitative report, 24(3), 619-628. [https://doi.org/10.46743/2160-3715/2019.3726]
  • Carlson, J. A. (2010). Avoiding traps in member checking. Qualitative Report, 15(5), 1102-1113.
  • Etikan, I., Musa, S. A., & Alkassim, R. S. (2016). Comparison of convenience sampling and purposive sampling. American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statistics, 5(1), 1-4. [https://doi.org/10.11648/j.ajtas.20160501.11]
  • Hennink, M., Hutter, I., & Bailey, A. (2020).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age.
  • Legard, R., Keegan, J., & Ward, K. (2003).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A guide for social science students and researchers, 6(1), 138-169.
  • Marshall, C., & Rossman, G. B. (2014).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Sage.
  • McLafferty, I. (2004). Focus group interviews as a data collecting strate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2), 187-194.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4.03186.x]
  • Mears, C. L. (2012). In-depth interviews. Research methods and methodologies in education, 19, 170-176.
  • Milena, Z. R., Dainora, G., & Alin, S. (2008).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 comparison between focus-group and in-depth interview. Annals of the University of Oradea, Economic Science Series, 17(4), 1279-1283.
  • Parker, L. (2004). Qualitative research. In Surviving your thesis (pp. 169-187).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203299975-17]
  • Suri, H. (2011). Purposeful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synthesis.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11(2), 63-75. [https://doi.org/10.3316/QRJ1102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