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그 하위 변인의 매개효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ffice workers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its sub-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office workers.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210 office workers were us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post-test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Using Process Macro 4.0 Model 4,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its sub-variables was verified.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 satisfaction of office workers and the aesthetic and psychological factors among its sub-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of office worke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mong the sub-variables of leisure satisfaction, aesthetic factors and social factors affected job stress. Third, among the sub-variables of job stress, relational stress such as relational conflict, organizational culture, job autonomy, organizational system, and inappropriate compensa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However, job demand and job anxiety, which are direct pressures from the job,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office workers who enjoy leisure, pursue well-being will reduce job stress and maintain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field of work and life.
Keywords:
leisure, leisure satisfaction, job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키워드:
여가, 여가만족, 직무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제1 저자의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 자료를 기초로 작성하였음.
참고문헌
- 권성연(2009). e-Learning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시간 계획 실천 수준에 따른 학습참여, 학습지연, 학습시간, 학업성취 차이 분석.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화교육연구, 9(3), 61-86.
- 김명소 , 김혜원 , 차경호(2010).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 15(2), 19-39.
- 김미량, 이연주, 황선환(2010). 여가만족척도 (LSS-short form)의 타당도 검증과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1), 435-445.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435]
- 김성수(2009). 장애인생활체육 예비지도자들의 기대직업만족도와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성태(2009). 주 5일 수업제 실시 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여가시간 변화가 학업스트레스,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유식, 이솔잎, 김아름(2012). 직장인들의 여가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6), 401-410.
- 김종윤(2020). 진지한 여가활동이 여가만족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기아자동차 직장인 동호회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정수(2020.01.23.). 노동시간단축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매일노동뉴스,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2677
- 김창원(2015). 직장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 의용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년 국민여가활동 조사보고서.
- 박은진(2018). 미혼 직장인의 여가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금란(2017). 기혼 직장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정덕(2015).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 지혜 및 자기조절의 조절효과. 성심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나연(2016). 카지노 직원의 여가활동 만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병훈(2008). 공무원의 여가활동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삶의 질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석, 진명숙(2016). 지각적 주의 환기 전략이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24(1), 323-324.
- 위종희(2012).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연실, 서인균(2015). 학업성취감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지역사회 평생교육 이용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297-323.
- 이위정(2012). 일 몰입과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임사라, 박세영(2012) 직장인의 개인 및 집단 여가 활동에 따른 여가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1), 171-193.
- 임현석(2020.04.23.). 대졸 신입사원 평균 나이 30세 넘었다.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0423/100770160/1
-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조정진, 손미아, 채창호, 김정원, 김정일, 김형수, 노상철, 박재범, 우종민, 김수영, 김정연, 하미나, 박정선, 이경용, 김형렬, 공정옥, 김인아, 김정수, 박준호, 현숙정, 손동국 (200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 정영숙, 조설애(2013). 삶의 의미 원천과 의미에 대한 노력이 대학생과 중년 성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32(3), 507-531.
- 조명기(2016). 여가활동이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 간호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영민(2011). 민간경비원의 여가활동참여가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혜연(2022.05.11.). 경제 성장의 주역, 산업화 세대를 말하다...영화 국제시장. 산업일보. https://kidd.co.kr/news/227017
- 통계청(2022). 1인당 국민총소득.
- 표준국어대사전(2022.09.07.). 직장인.
- 한경혜, 윤성은(2009). 도시노인의 여가공간과 생활세계. 한국지역사회 생할과학회지. 20(1), 103-121.
- 한승곤(2020.11.16.). “저녁 있는 삶 살아야죠” 직장관 1위는 돈보다 ‘워라밸’. 아시아경제. https://cm.asiae.co.kr/article/2020111315545198884
- Beard, J. G., & Ragheb, M. G.(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https://doi.org/10.1080/00222216.1980.11969416]
- Etzion, D., Eden, D. & Lapidot, Y.(1998). Relief from job stressors and burnout: Reserve service as a respit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4), 577-585. [https://doi.org/10.1037/0021-9010.83.4.577]
- Iso-Ahola, S.(1980). The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isure and recreation. Springville, IL: Thomas.
- Kaplan, S.(1987). Aesthetics, affect, and cognition environmental preference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Environment and Behavior, 19(1), 3-32. [https://doi.org/10.1177/0013916587191001]
- Keller, J. M.(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1(1983), 383-434.
- Lazarus. R. S.(1993).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4, 1-22. [https://doi.org/10.1146/annurev.ps.44.020193.000245]
- More K. D.(2014). An ecological framework of place: situating environmental gerontology within a life course perspectiv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79(3), 183-209. [https://doi.org/10.2190/AG.79.3.a]
- Parkers, D. F., & Decotiis, T. A.(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2), 116-166. [https://doi.org/10.1016/0030-5073(83)90145-9]
- Ryan, R. M., & Deci. E. L.(2001).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7-78.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80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 Ryff, C. D., & Keyes, C. L. M.(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549-559.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19]
- Soja, E.(1997).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이무용 역). 서울: 시각과 언어. (원전은 1989에 출판)
- Woran, B. & Arnberger, A.(2012).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Recreation Specialization, Restorative Environments and Mountain Hikers' Flow Experience. Leisure Science, 34(2), 95-114. [https://doi.org/10.1080/01490400.2012.652502]
- Yalom, I. D., & Leszcz, M.(2008). 최신 집단정신 치료의 이론과 실제. (최해림, 장성숙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은 2005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