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지식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형 스포츠클럽 정착 방안 개발
2강남대학교 교수
2Kangnam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academic knowledge related to public sports club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type of perception of the Korean club system settlement plan for experts related to public sports club research, and further derive its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Q methodology was adopted, and 25 Q samples were selected through the Q population. The P sample adopted 20 experts empathize with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public sports clubs and conducted Q classification. PQ method 2.35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centroid method was applied for factor analysis, and the varimax method was applied for rot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4 types appeared,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all types was 58%. The first type was named as the pursuit of internalization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 the second type was named as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with related institutions, the third type was named as the growth of public institutions for local sports welfare, and the fourth type was named as securing areas for activation of education.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tasks that public sports clubs and related institutions should pursue in the near future to establish the Korean sports club system.
Keywords:
sports club, Korean-styled sports club, public sports club, Q methodology키워드:
스포츠클럽, 한국형 스포츠클럽, 공공스포츠클럽, Q방법론Acknowledgments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093625)
References
- 김선희, 전형상(2014).공공스포츠클럽 사례를 통해 본 협력적 거버넌스 가능성과 한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3(4),81-98.
- 김성하(2020). 공공스포츠클럽 사업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8(3), 161-177.
- 김성하(2020). COVID-19로 인한 공공스포츠클럽 운영 애로사항 및 극복 노력 사례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9(4), 111-130.
- 김성하, 전원재(2020). 공공스포츠클럽을 통한 전문선수 육성의 장애요소와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55, 207-224.
- 김양례(2014). 종합형 스포츠클럽 사업 육성방안 연구. 한국스포츠개발원.
- 남상우(2017). 성공적인 스포츠클럽 운영모델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스포츠개발원.
- 남상우(2019). 조직역량 관점에서 분석한 공공스포츠클럽 운영의 난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8, 323-335.
- 대한체육회(2019). 2019년 스포츠클럽 사업지침. 대한체육회.
- 서원재, 박성희, 한승진(2016). 스포츠 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종합형 스포츠클럽 발전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39, 217-232.
- 성문정(2009). 유럽국가의 학교 · 생활 · 엘리트 체육간 연계운영 실태분석-영국, 독일, 프랑스를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원.
- 성문정(2017).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한국스포츠개발원.
- 송명근(2021). 대한체육회 공공스포츠클럽 정책사업의 성과 분석. 한국체육정책학회지, 59(0), 33-48.
- 신상현(2021). 공공스포츠클럽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서비스품질 및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6, 83-91.
- 신재진(2021. 11. 25). 공공스포츠클럽의 성공사례 발표. 공공스포츠클럽 발전방안 토론회 자료집. 경향신문사.
- 이동원(2021. 11. 25). 공공스포츠클럽의 성공사례. 공공스포츠클럽 발전방안 토론회 자료집. 경향신문사.
- 이창하(2021). 공공스포츠클럽으로 국민의 여가와 건강을 동시에!. SPORT SCIENCE, 157(0), 58-68.
- 이혁기, 신석민, 김인형, 전원재, 장승현(2021). 공부하는 학생선수상의 정립을 위한 공공스포츠클럽의 가치체계분석: 수단–목적 사슬이론 관점에서. 한국체육학회지, 60(3), 341-352.
- 전원재, 이혁기(2021). 공공스포츠클럽 사업 실효성 재고찰: Q 방법론을 통한 인식분석과 시사점. 한국체육정책학회지, 57, 87-103.
- 전원재, 임수원(2017). 한국 스포츠시스템의 선진화를 로컬 거버넌스 구축 방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0(1). 149-173.
- 전원재, 임수원(2018). 공공스포츠클럽 사업의 정책적 정당성에 관한 연구: 운영시스템과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4, 291-308.
- 전원재, 정기홍(2021). “위드 코로나 (With COVID-19)” 시대, 어린이전용수영장 운영 실효성 재고찰.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3), 153-167.
- 정철우, 김재준(2012).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건설분야 트랜드 분석.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12(2), 53-60.
- 주성택(2011). 일본의 종합형지역스포츠클럽 시책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235-246.
- 최철호(2010). 일본 스포츠정책에 관한 고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3(1), 251-274.
- 황수현, 김민, 서희진(2015). 종합형스포츠클럽의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웰니스학회지, 10(4), 73-82.
- Baker, R. M. (2006). Economic rationality and health and lifestyle choices for people with diabetes. Social Science & Medicine, 63(9), 2341-2353.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6.06.007]
- Goldsmith, S., & Eggers, W. D. (2004). Governing by Network: The New Shape of the Public Sector. Brookings Institution Press.
- Kim, H. K. (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 Communication books.
- Kim, S. H. (2021, 11, 29). "It's hard to stand alone because of limited facilities and finances...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in dire need of continuous support.". The Kyunghyang Shinmun. https://m.khan.co.kr/sports/sports-general/article/202111292134025#c2b
- Mckeown, R. & Thomas, D. (1988). Q methodology. Newbury Park (CA): SAGE. [https://doi.org/10.4135/9781412985512]
- Stephenson, W. (1953). The study of behavior;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Chicago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5-122.
- Watts, S. (2015). Develop a Q methodological study. Education for Primary Care, 26(6), 435-437. [https://doi.org/10.1080/14739879.2015.1101855]
- Watts, S., & Stenner, P. (2012). Doing Q method 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Los Angeles: SAGE. [https://doi.org/10.4135/978144625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