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3, pp.199-211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07 Aug 2021 Revised 06 Sep 2021 Accepted 17 Sep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9.45.3.199

COVID-19와 백패킹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30대 진지한 여가참여자를 중심으로

연분홍1 ; 김종순2 ; 오세숙3
1숭실대학교 강사
2경기대학교 연구교수
3경기대학교 교수
An Exploratory Study on backpacking experience and COVID-19: Focused on serious leisure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30s
Yeon, Boonhong1 ; Kim, Jongsoon2 ; Oh, Saesook3
1Soongsil University
2Kyonggi University
3Kyongg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Kim, Jongsoon E-mail: sdivertido@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serious backpacking participation has faced a new leisure culture amid COVID-19. A survey by wa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ut targeting 7 backpackers aged between 20s and 30s, and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serious backpackers experienced both an empathy and discomfort on the changes of backpacking during COVID-19. Second, novice backpackers who began backpacking in the wake of COVID-19 did not have required packing,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afety technique which should be optimized hard skills, in other words technological competence and skill level. It was found that serious backpackers were proud of their hard skills in general. Third, the backpacking culture of serious leisure participants could be summarized as their thoughtfulness including the LNT(Leave No Trace) movement for nature and consumption for the local community for instance. In the final analysis, serious backpackers experienced the gap between an illusion and reality of backpacking due to COVID-19, and they attempted to prove themselves as a serious backpacker with their backpacking hard skills and manner. It could be asser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preliminary data of changed outdoor recreation experience caused by COVID-19. It is also expected that they could be utilized as a useful evidence to conjecture about the post-coronavirus leisure environment.

Keywords:

COVID-19, backpacking, outdoor recreation, LNT(Leave No Trace) movement

키워드:

코로나19, 백패킹,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LNT(흔적남기지 않기)운동

References

  • 고동우, 정소정(2015). 정신건강의 측면에서 본 진지한 여가활동과 가벼운 여가활동의 비교. 관광학연구, 39(10), 217-237.
  • 권민정(2019). 지역사회 연계 참관실습을 통한 예비 체육교사의 반성과 교수 효능감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6(3), 89-110.
  • 김경식, 한승백, 한승진, 이연주(2019). 미디어 빅데이터를 통해 본 캠핑 트렌드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2), 79-92.
  • 김경주, 서광봉, 이철원(2015). 아웃도어 캠핑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분석. 여가학연구, 13(1), 29-45.
  • 김민규(2015). 진지한 여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및 여가중독의 관계. 여가학연구, 13(1), 89-104.
  • 김연정, 이천희, 이병찬(2015). 여가로서의 캠핑 참여자의 활동유형, 캠핑장 선택속성, 이용만족도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4(4), 155-167.
  • 김은수, 한혜지, 황선환, 김태환(2021). 진지한 여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에 의해 조절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여가학연구, 19(2), 67-84.
  • 김종순(2016).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미디어 프레임 분석: 캠핑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2), 58-72.
  • 김진옥, 김남조(2013). 오토캠핑 참여자의 동기, 가치, 만족도,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지 28(5), 45-70.
  • 김하얀, 이동환, 김동한(2016). 캠핑 참가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캠핑 속성 개선 방안: 2015년 경기도 공정캠핑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관광레저연구, 28(1), 261-275.
  • 김현정, 박근수(2018).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비판적 재구성-캠핑 전문화의 방향성과 경로다양성. 관광학연구, 42(6), 101-126.
  • 김형룡, 박순문, 장은정(2004). 친환경적 여가스포츠활동과 환경의식 및 친환경적 소비행동의 관계. 한국학교체육학회지, 14(1), 57-67.
  • 김형종(2020). 코로나19 감염병 사태와 신남방정책: 아세안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연구, 30(3), 21-54.
  • 김형훈(2017). 캠핑참여자들의 여가촉진과 진지한 여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4), 511-521.
  • 박정열, 손영미(2015). 일상재구성법을 통한 경력단절 여성의 일상생활과 정서경험 분석. 여가학연구, 13(2), 89-120.
  • 변홍준, 김남조(2020). 캠핑 유형에 따른 코로나(COVID-19)대처 행동의도 연구-일반캠핑과 오토캠핑 차이분석.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 88, 95-101.
  • 서울관광재단(2021, 4. 5). 코로나19로 인한 여가관광 활동 제약으로 서울시민 대다수 코로나 블루 겪는다. 서울관광재단 보도자료.
  • 손수곤, 김인형(2015). 캠핑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경험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4(5), 167-178.
  • 신은희, 최경희(2015). 글로벌 서베이: 착한소비의 국가 간 비교.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8, 178-178.
  • 윤지인, 원형중, 김지혜(2018). 캠핑 참여자의 여가방해요인과 대처행동의 관계에 대한 행동적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조절효과 검증. 여가학연구, 16(1), 55-75.
  • 윤지인, 전진희(2014). 수상 스포츠 참여자의 활동 방해요소에 대한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행동 선택: 장소귀속감의 조절효과 검증. 여가학연구, 11(3), 1-17.
  • 이남인(2014).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파주: 한길사.
  • 이철원(2014). 중년 남성의 여가 제약과 여가권태에 관한 질적 탐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2), 1-16.
  • 임영삼, 이상덕(2015). 캠핑 참가동기와 선택속성, 참가지속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9(1), 83-93.
  • 전정아(2020). 빅데이터를 통한 캠핑 트랜드 변화 연구. 한국관광사업학회지, 45(3), 443-463.
  • 정대영, 이수진(2020). 코로나19, 여행의 미래를 바꾸다. 경기연구원 이슈&진단, 419, 1-25.
  • 최성욱(2013). 캠퍼를 위한 가변형 백팩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최연화, 정찬인, 이승곤(2014). 오토캠핑 참여동기 유형에 따른 행태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지, 29(1), 41-60.
  • 홍일영(2013). 오토캠핑장의 공간분포와 공간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2), 65-74.
  • 황선환, 김도운, 이문진(2013).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규범준수의식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7(4), 45-56.
  • Bryan, H. (1977). Leisure value systeams and recreational specialization: The case of trout fisherm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9(3), 174-187. [https://doi.org/10.1080/00222216.1977.11970328]
  • Creswell, J. (201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 s(4th). CA: SAGE Publications, Inc.; 정종진, 김영숙, 성용구, 성장환, 류성림, 박판우, 유승희, 임남숙, 임청환, 허재복 옮김. (2017). 연구방법: 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4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2(4), 1143-1168.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67.x]
  • Hammitt, W. E., & McDonald, C. D. (1983). Past on–site experience and its relationship to managing river recreation resources. Forest Science, 29(2), 262-266.
  • Hammitt, W. E., & Backlund, E. A., & BiXler, R. D. (2004). Experience use history, place bonding and resource substitution of trout anglers during recreation engageme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6(3), 356-378. [https://doi.org/10.1080/00222216.2004.11950028]
  • Jenkins, J., & Pigram, J. (2003). Encyclopedia of leisure and outdoor recreation. London: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203647394]
  • Salz, R. J., & Loomis, D. K. (2005).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anglers attitudes towards restricted fishing areas. Human Dimensions of Wildlife, 10(3), 187-199. [https://doi.org/10.1080/10871200591003436]
  • Stebbins, R. A. (1997). Serious leisure. In E. Jackson &T. Burton(Eds.). Leisure studies: Prospects for the twenty-first century(pp. 69-79). State College, PA: Vent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