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3, pp.63-76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05 Aug 2021 Revised 02 Sep 2021 Accepted 30 Sep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9.45.3.63

여가 스포츠 참여와 주관적 의료비 절감의 관계: 베이비부머 및 노인 세대를 대상으로

전성범1
1연세대학교 강사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time sport participation and health care costs among: Korean Baby boomers and older people
Chun, Sungbum1
1Yonse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Chun, Sungbum E-mail: bumbumbum1@naver.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time sport participation and health care costs among Korean Baby boomers and older people, and also to compare the two generations. Data from ‘2019 National survey on participation sport’ was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A total of 2614 participants (1218 Baby boomers and 1396 older people)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for the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perience in taking sport-related lessons, Sport club participation,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The dependent variable was subjective effect of sport participation on health care costs.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method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result was drawn by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hypotheses. As a result, the effects of Experience in taking sport-related lessons, Sport club participation,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on health care cos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samples analyz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Baby boomers and older people in the analyzed hypotheses in this study.

Keywords:

leisure-time sport participation, health care costs, baby boomers, older people

키워드:

여가스포츠 참여, 의료비 절감, 베이비부머, 노인

References

  • 곽선행 (2010). 중년 여성의 스포츠참가와 LOHAS 성향,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삶의 질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21(3), 1368-1383.
  • 권욱동, 고의석 (2016). 지역주민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직접 의료비 지출의 차이.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6), 106-112.
  • 김권일, 김미량, 이제홍. (2010). 소외계층을 위한 스포츠복지의 개념과 스포츠복지모델 개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1), 197-205.
  • 김경숙, 김선희, 허현미 (2006). 생활체육 동호회 운영의 장애 요인과 대안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8, 125-138.
  • 김경원 (2007). 사회의료비용 절감을 위한 체육정책에 대한 소고.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9(1), 133-146.
  • 김남희, 오치옥 (2018). 여가전문화, 여가정체성, 협상효능감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전거 라이딩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1), 39-51.
  • 김미량, 이제홍 (2009). 여가스포츠에 참여하는 노인의 심리적 운동지속요인에 대한 질적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1), 799-809.
  • 김보람, 김매이, & 윤소영. (2020).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를 이용한 성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9(1), 253-266.
  • 김상겸, 김은자 (2016). 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법적 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9(2), 1-19.
  • 김성국 (2009). 지역유형별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건강증진행위 및 의료비 지출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1), 755-765.
  • 김양례 (2006).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건강상태 및 의료비 지출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17(4), 125-137.
  • 김재운, 김한범, 임새미, 박찬우 (2018). 테니스 동호회 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4), 67-82.
  • 김종순, 오세숙, 윤소영 (2017). 생활체육동호인의 가입종목과 규칙적 체육활동 특성. 여가학연구, 15(4), 21-36.
  • 김현지 (2012). 테니스 동호회 활동을 통한 사회관계 형성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3(1), 13-20.
  • 김희정, 천혜정 (2016). 1 차 베이비붐세대, 2 차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간 일 가치관, 여가태도 및 은퇴준비행동 비교. 여가학연구, 14(3), 17-41.
  •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년 국민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 박래영, 김백윤, 이예승 (2009). 댄스스포츠 동호인들의 참여동기, 여가유능감 및 여가활동 후 행동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4), 77-87.
  • 박태정 (2013).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13(3), 29-57.
  • 송명근, 이원석, 문준호 (2021). 고령화 패널 자료를 이용한 노인 우울증의 선행요인에 대한 탐구. 관광레저연구, 33(1), 411-426.
  • 신혜리, 이혁준, 임진섭 (2018). 지역사회고령친화성이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베이비부머와 노인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8(4), 189-210.
  • 양지명, 정영금, 윤소영 (2017). 베이비부머 세대와 노인 세대의 여가활동 특성과 여가만족도 영향요인 비교: 두 세대의 경제활동 여부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5, 1-20.
  • 유진선, 임지은, 조시울, 신혜리, 박설우 (2017). 노인의 건강과 의료비 간의 관계 – 운동과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0(3), 1-18.
  • 이미경, 남창현 (2015). 스키, 스노보드 참여자의 강습 전, 후 관여도가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리듬운동학회지, 8(1), 41-50.
  • 이성철, 한상일 (2013). 한국베이비부머와 기존노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행상품선택속성에 대한 영향. 상업교육연구, 27(5), 219-244.
  • 이수진, 허선희, 홍순영 (2011). 베이비붐세대 은퇴에 따른 여가소비문화 활성화 방안.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1-230.
  • 이영임 (2019a). 가상패널 자료를 이용한 생활체육 참여 결정요인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지, 50, 61-75.
  • 이영임 (2019b). 강습 경험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 행태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28(6), 643-651.
  • 이은주 (2014).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4), 51-63.
  • 장호중, 김정묵 (2011). 노인복지관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참가정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309-322.
  • 정문미, 원영신 (2011). 신 노년 세대에 대한 고찰.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1(2), 49-65.
  • 정순둘, 김성원 (2013).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 Andersen 과 Newman 모델의 적용. 노인복지연구, 59, 237-256.
  • 정정희, 유병열, 한수아, 박세혁 (2018). 싸이클동호인의 관여도가 지속적 참여의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4, 349-358.
  • 조방현 (2009). 인터넷 동계여가 스포츠 동호회 구성원의 활동만족이 소속감, 활동몰입,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97-107.
  • 최병진, 조준호 (2009). 주부들의 볼링 동호회 참가 동기와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4(1), 137-149.
  • 최성범, 한태용 (2012).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전략, 여가관여도와 여가참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1(2), 175-187.
  • 통계청(2019). 2019 고령자 통계.
  • 황향희, 이하나, 김보람, 이유진 (2017). 줌바 참여 성인여성의 진지한 여가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및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3), 223-235.
  • 호남지방통계청 (2016). 여수시 베이비부머 통계.
  •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2). ACSM's resource manual for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Andersen, L. B., Schnohr, P., Schroll, M., & Hein, H. O. (2000). All-cause mortality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during leisure time, work, sports, and cycling to work.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0(11), 1621-1628. [https://doi.org/10.1001/archinte.160.11.1621]
  • Caspersen, C. J., Powell, K. E., & Christenson, G. M. (1985).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or health-related research. Public health reports, 100(2), 126.
  • de Boer, W. I., Dekker, L. H., Koning, R. H., Navis, G. J., & Mierau, J. O. (2020). How are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health care costs? Evidence from full population data in the Netherlands. Preventive medicine, 130, 105929. [https://doi.org/10.1016/j.ypmed.2019.105929]
  • Deci, E. L., & Ryan, R. M. (2008). Self-determination theory: A macrotheory of human motivation, development, and health. Canadian psychology / Psychologie canadienne, 49(3), 182. [https://doi.org/10.1037/a0012801]
  • Furukawa, M. (2018).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the Frequency of and Medical Expenses Incurred for Treating Diabetes and Hypertension in Japan. Health Econ Outcome Res Open Access, 4(151), 2. [https://doi.org/10.4172/2471-268X.1000151]
  • Holtermann, A., Hansen, J., Burr, H., Søgaard, K., & Sjøgaard, G. (2012). The health paradox of occupational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6(4), 291-295. [https://doi.org/10.1136/bjsm.2010.079582]
  • Jang, S. S., & Ham, S. (2009). A double-hurdle analysis of travel expenditure: Baby boomer seniors versus older seniors. Tourism Management, 30(3), 372-380. [https://doi.org/10.1016/j.tourman.2008.08.005]
  • Khan, K. M., Thompson, A. M., Blair, S. N., Sallis, J. F., Powell, K. E., Bull, F. C., & Bauman, A. E. (2012). Sport and exercise as contributors to the health of nations. The lancet, 380(9836), 59-64. [https://doi.org/10.1016/S0140-6736(12)60865-4]
  • Lee, B. K. (2018). Comparison of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Medical Expen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Korean Adults. 운동학 학술지, 20(4), 43-49. [https://doi.org/10.15758/ajk.2018.20.4.43]
  • Martin, M. Y., Powell, M. P., Peel, C., Zhu, S., & Allman, R. (2006).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care utilizat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4(4), 392-410. [https://doi.org/10.1123/japa.14.4.392]
  • Tomioka, K., Kurumatani, N., & Hosoi, H. (2017).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f social participation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aged 65–70 years: a crosssectional study in Japan. BMC geriatrics, 17(1), 1-13. [https://doi.org/10.1186/s12877-017-0502-8]
  • Warburton, D. E., Nicol, C. W., & Bredin, S. S. (2006). Health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the evidence. Cmaj, 174(6), 801-809. [https://doi.org/10.1503/cmaj.05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