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2차 베이비붐 세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건강관심도와 여가몰입 및 사회적 역할상실감의 구조적 관계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concern, leisure commitment and social role loss for the first and second baby boom generations leisure sport participant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 total of 265 data were collected online and offlin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Frequency analysis among methods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health concern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commitment & behavioral commitment. Second, health concern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role loss. Third, cognitive commitment had a no effect on social role loss, but behavioral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role loss. Fourth, Behavioral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 and social role lo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finding out when leisure commitment decreases social role loss for the first and second baby-boom generations to participant in leisure sports.
Keywords:
first and second baby-boom generations, health concern, leisure commitment, social role loss키워드:
1차, 2차 베이비붐 세대, 건강관심도, 여가몰입, 사회적 역할상실감References
- 김규엽(2019). 노인의 여가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협성대학교 대학원.
- 김남진(2000). 예비노인 집단과 노인집단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행위, 주관적인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7(2), 99-110.
- 김남진(2000). 예비노인 집단과 노인집단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행위, 주관적인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7(2), 99-110.
- 김미량(2009).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상실감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3(3), 75-87.
- 김미원(2011).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탐색적 연구: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15, 211-231.
- 김상대(2009). 노인의 활동성 여가참여가 사회적 역할상실감 및 삶의 질적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69-83.
- 김상훈(2021, 3, 4). 포스트 코로나 시대엔 ‘은퇴창업’이 대세. 시사저널.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496
- 김석일, 박정은(2016). 노인 여가스포츠참여자들의 여가기능, 사회적 역할상실감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3, 573-584.
- 김석일, 박정은(2016). 노인 여가스포츠참여자들의 여가기능, 사회적 역할상실감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3, 573-584.
- 김석일, 박정은(2016). 노인 여가스포츠참여자들의 여가기능, 사회적 역할상실감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3, 573-584.
- 김성수(2009). 여가만족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전공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대학원.
- 김용하, 임성은(2011). 베이비붐 세대의 규모, 노동시장 충격, 세대간 이전에 대한 고찰. 보건사회연구, 31(2), 36-59.
- 김정우, 신용석(2015). 독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상실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노년학회지, 35(3), 689-708.
- 김지원, 강정구, 마강래(2020). 베이비붐 세대의 귀향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지, 36(3), 17-27.
- 김형진, 설수황, 정지해(2017). 골프참여자의 운동재미와 운동열정 및 건강관심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6(5), 427-437.
- 노은이, 김선자(2009). 서울시 노인 여가스포츠 활성화 방안. 서울도시연구, 10(3), 53-68.
- 박순주, 이영혜(2016). 성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태도, 건강관심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6(12), 192-202.
- 박차은(2013). 노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사회적 역할상실감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설수황, 안병욱(2019). 시뮬레이션골프 참여자의 건강관심도와 여가스포츠열정 및 심리적 행복감의 간의 구조적 관계.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지, 9(7), 317-326.
- 설수황, 이광용(2021). 베이비붐 세대 골프참여자의 건강관심도와 여가몰입 및 가정생활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3, 205-215.
- 손지영, 전선영(2016). 여가스포츠 참여 노인의 신체적자기개념과 심리적복지감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3), 1-18.
- 윤경지, 임주영(2011). 베이비붐세대 분거가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193-208.
- 윤훈, 이순철, 오주석(2007). 고령자의 상실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3(2), 1-15.
- 이문숙, 권인선(2020). 노인의 스포츠스태킹 참가에 따른 재미와 여가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8(3), 63-76.
- 이상민(2021, 2, 3).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기 만성질환자 면역 관리 신경써야.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3587
- 이성철(2000). 노인들의 사회체육활동 참여가 여가몰입, 여가권태, 그리고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12, 59-76.
- 이순영, 손명세, 남정모(1995). 한국인의 건강관심도, 건강실천행위, 및 건강수준간의 구조분석. 대한예방의학회, 28(1), 187-206.
- 이원지(2018). 게이트볼 참여활동이 노인들의 고독감 및 역할상실감 극복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인환(2008).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여가기술, 여가인지에 따른 스포츠소비행동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이춘희(1993). 남자노인의 역할활동과 생활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태형(2020, 10, 19). 고령화 시대 주목받는 헬스케어 리츠 시장.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1019000196
- 임도원(2018, 8, 27). 일본이 24년 걸린 '고령사회'⋯ 한국, 17년밖에 안 걸렸다.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8082723501
- 정대조, 이민석, 이철원(2020). 액티브 시니어 테니스 참여자의 여가열정, 건강관심도 및 생활만족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9(4), 87-98.
- 정미경, 이규미(2009).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구성 및 타당도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1(2), 397-416.
- 정용각(1997).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의 요인이 스포츠 몰입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최석환, 김범준(2013). 교양체육참여대학생의 건강관심도와 웰빙지향행동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2(5), 211-220.
- 최석환, 김범준(2015). 여가스포츠참여대학생의 건강관심도와 여가스포츠열정 및 여가활동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4(4), 1079-1088.
- 최석환, 설수황(2019). 액티브 시니어 골프참여자의 여가열정과 건강관심도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353-363.
- 최석환, 설수황(2019). 중년 골프참여자의 여가기능과 사회적 역할 상실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7), 440-447.
- 하주영, 최은영(2013). 노인의 건강지각과 건강관심도 및 건강증진행위. 노인간호학회지, 15(3), 277-285.
-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246.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 [https://doi.org/10.1037/0033-2909.88.3.588]
- Breslow, L., & Enstrom, J.E.(1980). Persistence of health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motality. Preventive Medicine, 9, 469-483. [https://doi.org/10.1016/0091-7435(80)90042-0]
- Csikszentmihalyi M.(1995). Optional Experience: Psychology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ew York: Guilford.
- Newsom, J. T., McFarland, B. H., Kaplan, M. S., Huguet, N., & Zani, B. (2005) The health consciousness myth: implications of the near independence of major health behaviours in the North American populat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0(2), 433-437.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4.05.015]
- Scanlan, T. K., Carpenter, P. J., Simons, J. P., Schmidt, G. W., & Keeler, B. (1993). An introduction to the sport commitment mode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5(1), 1-15. [https://doi.org/10.1123/jsep.15.1.1]
- Steiger, J. H., & Lind, J. C. (1980). Statistically-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Spring Meeting of the Psychometric Society. Iowa City.
- Stravynski, A., & Boyor, R. (2001). Loneliness in relation to suicide ideation and parasuicide: A population-wide study.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31(1), 32-40. [https://doi.org/10.1521/suli.31.1.32.2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