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직장인의 여가활동 트렌드 변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by examining how the leisure activity patterns of Korean workers are changing.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leisure activities of Korean workers using the 2012 and 2019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Compared to 7 years ago, the participation rate in sports, tourism, hobbies, social-related leisure activities increased, while cultural and art-related leisure activities decreased.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se leisure activities mostly consisted of active leisure activities decreased.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ose whose leisure activities mostly consisted of passive or social leisure activities also decreased. In contrast, the proportion of those whose leisure activities consisted of both active, passive and social leisure activities increase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 activities of Korean workers are actively changing.
Keywords:
worker, leisure, type of leisure activity, trend analysis, active leisure activity, passive leisure activity키워드:
직장인, 여가, 여가활동 유형, 트렌드 분석, 적극적 여가, 소극적 여가References
- 강상, 류경희(2017). 유아교사의 여가활동과 교사의 행복수준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 161-17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0). 2020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권민혁(2012).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 참여와 가족 기능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7(1), 519-526.
- 김민혜, 김주현(2020). 한국 고령자의 여가 활동 트렌드: 국민여가활동조사 7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0(5), 871-894.
- 김영연, 조수연, 김매이(2012).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여가만족도와 직무몰입과의 관계.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7, 1-18.
- 김희수, 빈기범, 윤세목(2019). 근로시간 단축이 소비지출 및 관광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ourism Research, 44(4), 171-187.
- 김희수, 정광민(2019). 노동시간 단축이 관광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노주란, 최은아(2018). 간호사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6(1), 207-215.
-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2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2014). 2014 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2014). 여가정책 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2018).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2019a).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2019b).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서헌, 공윤주(2015).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여가 유형에 관한 연구: Kelly의 이론을 적용하여. 관광레저연구, 27(12), 463-477.
- 신은주, 조영득, 조현철(2015). 금융 사무원의 여가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9(2), 1-10.
- 양진연(2017). 호텔기업 종사원의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복지만족,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연구. Tourism Research, 42(1), 65-84.
- 이국희(2018). 여가는 사이에 있다: 사회적 배제, 적극적 여가, 그리고 소극적 여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3), 1-11.
- 이명우, 홍윤미, 윤기웅(2016). 여가 활동이 국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30(2), 266-289.
- 이민석, 김민정, 이철원(2020). 테니스 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태도와 삶의 질의 관계 분석: 스트레스 관련 성장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2), 17-29.
- 이혜미, 이충기, 이채은, 이진경(2012). 카지노 딜러의 여가유형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세분시장별 직무스트레스 수준 차이 규명. 호텔경영학연구, 21(2), 207-221.
- 최승묵(2020a). 주 52시간 상한제 실시 여부에 따른 여가 활동 참여 실태 및 만족도 분석: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2(4), 389-406.
- 최승묵(2020b). 실제 근무시간에 따른 여가 활동 참여 실태 및 만족 분석: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32(2), 167-183.
- 캠핑아웃도어진흥원(2020). 캠핑산업현황 통계조사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 Gerold, S., & Nocker, M. (2018). More leisure or higher pay? A mixed-methods study on reducing working time in Austria. Ecological Economics, 143, 27-36. [https://doi.org/10.1016/j.ecolecon.2017.06.016]
- Lepinteur, A. (2019). The shorter workweek and worker wellbeing: Evidence from Portugal and France. Labour Economics, 58, 204-220. [https://doi.org/10.1016/j.labeco.2018.05.010]
- OECD. (2019). OECD Better Life Index.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topics/work-life-balance/
- OECD. (2020). OECD.Stat. http://stats.oecd.org/LabourForceStatistics
- Pullinger, M. (2014). Working time reduction policy in a sustainable economy: Criteria and options for its design. Ecological Economics, 103, 11-19. [https://doi.org/10.1016/j.ecolecon.2014.04.009]
- Shin, K., & Yo, S.(2013). Leisure type, leisure satisfaction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being. Journal of Pacific Rim Psychology, 7(2), 53-62. [https://doi.org/10.1017/prp.2013.6]
- Spiegelaere, S. D., & Piasna, A. (2017). The why and how of working time reduction. Brussels: European Trade Union Institute.
- Yamashita, T., Bardo, A. R., & Liu, D. (2019). Experienced subjective well-being during physically active and passive leisure time activities among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The Gerontologist, 59(4), 718-726. [https://doi.org/10.1093/geront/gny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