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4, pp.11-24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0
Received 30 Oct 2020 Revised 02 Dec 2020 Accepted 17 Dec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12.44.4.11

노인의 다양한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분석

김진원1 ; 임구원2
1건양사이버대학교 교수
2건양사이버대학교 교수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Various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on Quality of Life
Jin-Won Kim1 ; Koo-won Lim2
1Konyang Cyber University
2Konyang Cyber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Lim, Koo-Won Konyang Cyber University, 158, Gwanje-dong-ro, Seo-gu, Daejeon E-mail: limkw9@kyc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leisure activities in later life on the quality of life over time.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 longitudinal data on older adults aged 60 to 80 in 2008, and 70 to 90 in 2018 were analyzed as potential growth models. The final analysis target was 3,071 older adults who responded to follow-up from 2008 to 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value of Various leisure activities among older adul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quality of life. This means that the more Various leisure activitie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Various leisure activities in later life can be interpreted as an influencing factor that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slope of quality of life more steepl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policy implications and practical measures to continuously support Various leisure activities policies and programs were discussed.

Keywords:

Longitudinal analysis, latent growth model, Leisure activities, Quality of life, elderly, KLoSA

키워드:

노인, 여가활동, 삶의 질, 다변량잠재성장모형

References

  • 강유진(2015). 부부 단독가구 노인의 가사분담, 평등감, 의사소통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6(2), 361-374.
  • 강은나(2016).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보건복지포럼, 232, 29.
  • 고보선, 유용식(2004). 노인학대 유형별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3, 83-105.
  • 권오균(2008).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9(39), 7-31.
  • 김계수(2017). 잠재성장모델링과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 김계수, 송태민(2012).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한국복지패널 활용방안: 교차타당성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187, 61.
  • 김미령(2006).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2), 197-222.
  • 김미숙, 박민정(2000).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20(2), 29-47.
  • 김미혜, 남순현(2014). 베이비부머의 여가중심 라이프스타일, 은퇴준비 및 부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4(1), 183-203.
  • 김숙경(2004). 농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23), 179-202.
  • 김익기, 김동배, 모선희, 박경숙, 조성남(1999). 한국 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서울: 미래인력연구센터 :생각의 나무.
  • 김자영(2019). 고령 장애인의 빈곤과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9(3), 148-178.
  •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진원(2020). 노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김진원, 이금룡(2020). 노인의 여행 및 관광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종단연구. 관광레저연구, 32(7), 49-68.
  • 김춘옥(2015). 노인의 여가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6(2), 78-99.
  • 김태현, 김양호, 임선영(2011). 노인복지론. 서울: 구상.
  • 김희경, 이현주, 박순미(2010).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0(2), 279-292.
  •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 민경선(2020). 노인의 여가생활 특성과 여가자원이 여가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3), 45~57.
  • 민경진, 황진수(2007).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36), 223-248.
  • 박기남(2004).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Gender) 차이.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4(6), 111-118.
  • 배종욱(2010). 노인들의 건강상태에 따른 신체기능 및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건복지융합연구(구 노인의료복지연구), 1(1), 149.
  • 보건복지부 (2018).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 신동관, 한영호(2011). 노인공동주거시설의 공용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노인 여가활동 유형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6(1), 31-41.
  • 신학진(2010).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통합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51-565.
  • 오창석(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2), 179-191.
  • 이금룡, 강은경, 박준기, 구재관, 조봉실, 이기백, 박상욱(2009). 노인자원봉사실천론 = Volunteer management. 서울: 학지사.
  • 이금룡, 박상욱, 유은경(2013). 노년기 생성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3(2), 365-379.
  • 이금룡, 홍성태, 이윤경(2004).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년층의 인터넷 사용 행태 : 미래 노인계층의 인터넷 활성화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4), 215-237.
  • 이하늬(2017). Genetic and functional dissection of the hippo pathway in caenorhabditis elegans.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현지(2014). 동거유형에 따른 재가 노인의 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8(-), 269-290.
  • 이형룡, 이혜영, 이금룡(2008). 노년기 여가활동과 라이프스타일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17(2), 149-165.
  • 임광빈(2018). 주거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임승희, 노승현(2011).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연구: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1), 1-14.
  • 전영갑, 이재근(2006).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3(3), 243-272.
  • 정경희(2018). 노인의 가족 현황과 전망. 보건복지포럼, 264, 6.
  • 정순둘(2003).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복지학, 11, 59.
  • 조경욱, 이동기, 이중섭(2011). 100세 시대 도래, 노인의 삶의 질 준비 필요하다. 전북발전연구원.
  • 조순점, 최명옥(2013). 노인의 여가문화와 삶의 질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10(1), 67-91.
  • 주경희(2011).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 객관적 및 주관적 삶의 질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0(39), 231-264.
  • 주민경, 송선희(2012).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여부와 활동유형에 따른 성공적 노화 지각차이 분석. 사회과학연구, 31(1), 135-155.
  • 최용민, 이상주(2003). 사회적 지원망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2, 193-217.
  • 최현식, 하정철(2012). 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3), 559-568.
  • 통계청(2018). 고령자 통계.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18~2047.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고령층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한상미(2011). 노인의 사회적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여가만족과 고독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3), 157.
  • 허준수(2002).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2), 227-247.
  • 허준수(2004).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4, 127-151.
  •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 Arbuckle, J. L. (1996). Full information estimation in the presence of incomplete data. In G. A. Marcoulides & R. E. Schmacker (Eds.), Advanc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s and techniqu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 Atchley, R. C. (1975). Adjustment to loss of job at reti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6(1), 17-27. [https://doi.org/10.2190/EHU3-VCRV-VCRJ-04NU]
  • BLI, OECD(2017). Better life Index-Edition 2017. http://stats.oecd.org
  • DeCarlo, T. J. (1974). Recreation paricipation patterns and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29(4), 416-422. [https://doi.org/10.1093/geronj/29.4.416]
  • Duncan, B. (1999). Modeling charitable donations of time and money. Journal of Public Economics 72(2): 213-242. [https://doi.org/10.1016/S0047-2727(98)00097-8]
  • Duncan, T. E., & Duncan, S. C.(2004). An introduction to latent variable growth curve modeling. Behavior Theory, 35, 333-363. [https://doi.org/10.1016/S0005-7894(04)80042-X]
  • Gabriel, Z., & Bowling, A. (2004). Qualit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s of older people. Ageing & Society, 24, 675-691. [https://doi.org/10.1017/S0144686X03001582]
  • Havighurst, R. J. (1961). Successful ageing. The Gerontologist. 1 : 8–13. [https://doi.org/10.1093/geront/1.1.8]
  • Hooyman, N. R., and Kiyak, H. A. (2011).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9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ew York, NY: Guilford Publications.
  • Meredith, W., &Tisak, J. (1990). Latent curve analysis. Psychometrika, 55(1), 107-122. [https://doi.org/10.1007/BF02294746]
  • Neugarten, B., Havighurst, B. J., and Tobin, S. S.(1968),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In B. L. Neugarten(ed.), Middle age and aging, Chicago:University of Chicago Press.
  • Tinsley, H. E. A., Tinsley, H. E. A., Tinsley, H. E. A., Colbs, S. L., &Colbs, S. L. (1987). The relationship of age, gender, health and economic status to the psychological benefits older persons report from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Leisure Sciences, 9(1), 53-65. [https://doi.org/10.1080/0149040870951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