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3, pp.45-57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30 Jul 2020 Revised 03 Sep 2020 Accepted 17 Sep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9.44.3.45

노인의 여가생활 특성과 여가자원이 여가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민경선
인천연구원 연구위원
Effects of Leisure Resources on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the Elderly: Focusing on analysis of difference by household types
Min, Kyungsun
The Incheon Institute

Correspondence to: Min, Kyungsun Incheon Institute, 98 Simgok-ro, Seo-gu, Incheon, Korea E-mail: ksm@ii.re.kr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o analyze whether the leisure time and leisure cost, which are representative leisure resources, have a differentiated effect on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y household type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isure time of the elderly increases compared to those of age 64 and under, but the expenditure on leisure decreases drastically, which indicates the leisure time and cost are not directly proportional. Second, the leisure activities the elderly engage in the most are concentrated in relaxing activities, but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hobby activities, sports activities and cultural art performance viewing activities is very low. Third,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and leisure cos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of single-person household, but they have a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of two and more people household. Fourth, the increase of leisure cos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of single-person household and two and more people household, but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lowers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of single-person househol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 results show that the elder have enough leisure time, which is a core leisure resource, but it cannot be used as meaningful tim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for the elderly of single-person household.

Keywords:

the elderly, leisure life satisfaction, happiness, one-person household

키워드:

노인, 여가생활만족도, 행복감, 1인 가구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인천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 강희엽, 이철원, & 이민석. (2017). 노인들의 진지한 여가, 스트레스 관련 성장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1), 1-14.
  • 김경식 & 이루지. (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 424-433.
  • 김수봉, 권중돈, 조한종, 문병윤, & 김지연. (2011). 고령친화 여가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승권, 장영식, 조흥식, & 차명숙. (2008). 한국인의 행복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진원 & 임구원. (2019). 노인의 친교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4), 1-15.
  • 문경원. (2014). 대전시민의 여가의식과 문화관광 수요 조사연구. 대전발전연구원.
  •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민경선. (2016). 한국인의 여가생활과 만족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연지 & 김영재. (2019). 노인들의 신체적 여가활동 체험공간 의미: 콜라텍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1), 113-124.
  • 서인석. (2017). 지방행정서비스와 개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웰빙의 6개 자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DI 도시연구, 12, 67-103.
  • 손지영. (2017). 여가활동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536-548.
  • 심수진. (2018).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기초연구. 2018년 상반기 연구보고서 제Ⅱ권, 통계청.
  • 윤소영. (2009). 생애주기별 여가활동 모형 개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이경미. (2019.9.18.). 2037년에 1인 가구 중 60살 이상이 절반 넘어. 한겨례. 검색일: 2020.7.10.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09950.html, .
  • 이귀옥. (2010). 노인들의 여가활동에서 여가몰입이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19(6), 117-133.
  • 이규은, 염영희, & 한정희. (2012). 노인의 건강상태, 여가 만족 및 외로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9(4), 483-492.
  • 이명선, 송현종, & 김보영. (2018). 1인 가구의 신체적 건강수준, 건강행태와 주관적 우울감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5(2), 61-71.
  • 이영숙 & 박경란. (2009). 노인의 여가제약,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12.
  • 이율. (2019.9.2.). 한국, 2045년에 노인비중 세계 최고.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902080800002, . 검색일: 2020년 4월 24일.
  • 통계청. 독거노인가구비율. KOSIS. 자료 추출일: 2020년 7월 10일.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18~2047. 자료 추출일: 2020년 4월 24일.
  • 황명진 & 심수진. (2007). 행복지수의 개발: 지표체계 구성안. 통계개발원 연구보고서.
  • 황영호, 김매이, & 윤소영. (2018). 1인 가구 성인과 다인 가구 성인의 규칙적 체육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3), 109-120.
  • DeLeire, T. & Kalil, A. (2010). Does Consumption Buy Happiness?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Review of Economics, 57, 163-176. [https://doi.org/10.1007/s12232-010-0093-6]
  • Lu, L. & Argyle, M. (1994).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s a Function of Leisure Activity. The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10(2), 89-96.
  • Neal, J. D., Sirgy, J. M. & Uysal, M. (1999). The Role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Travel/Tourism Services and Experiences in Satisfaction with Leisure Life and Overall Lif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4(3), 153-64. [https://doi.org/10.1016/S0148-2963(97)00197-5]
  • Ragheb, M. G. & Griffith, C. A. (198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4), 195-306. [https://doi.org/10.1080/00222216.1982.11969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