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3, pp.27-43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30 Jul 2020 Revised 03 Sep 2020 Accepted 17 Sep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9.44.3.27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적용한 사용후기에 따른 여행 앱 사용의도 분석에 대한 연구

이연정1 ; 이민석2 ; 이철원3
1연세대학교 석사과정
2연세대학교 강사
3연세대학교 교수
A Study on Intention of Using Travel Apps of Travel Applications Review by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Lee, Yeon-Jung1 ; Lee, Min-Seok2 ; Lee, Chul-Won3
1Yonsei University
2Yonsei University
3Yonse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Lee, Chul-Won Yonsei University, Yonsei-ro 50, Seodeamoon-gu, Seoul, Korea E-mail: wakeford@yonsei.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using travel apps by travel apps review using the extended theory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study targeted users in their various age groups who have experienced using a travel app. Three hundred and one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data cleaning, and SPSS and AMOS software were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outcomes reveal that, firstly, except for perceived usefulness to using intention, all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Travel apps’ review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ing intention. Secondly, the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and using intention. In conclusion, travel apps review draws attention to increasing travel app users’ intention to use travel apps, these findings can serve as a significant discussion point for companies developing travel apps.

Keywords:

leisure, travel applications-review,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using intention

키워드:

여가, 여행 앱, 사용후기,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인지된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의도

References

  • 김소현(2013). 온라인 구전정보는 소비자 설득을 위한 정보인가? 가치있는 정보인가?: 온라인 구전정보에 의해 소비자의구매의사가 형성될 때 조절 초점이 행하는 역할. 광고연구, (96), 7-46.
  • 김수연, 이상훈, 황현석(2011). 스마트 기기 상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사용자 수용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6(5), 173-184.
  • 김영준, 장경로(2016).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적용한 스포츠 O2O서비스 소비자 이용의도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1(6), 1-14.
  • 김지영, 서응교, 서길수(2008). 상품후기 작성자에 대해 상품후기 독자가 느끼는 유사성이 상품후기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8(3), 67-90.
  • 김지영, 윤영민(2010). 온라인 구전커뮤니케이션: 사용후기 평가에 미치는 댓글의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한국방송학보, 24(1), 7-45.
  • 김태문, 한진수(2009). 인터넷 여행상품의 고객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4(1), 185-204.
  • 김현경, 조현진(2007). 고객 만족과 결속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쇼핑을 중심으로. 유통정보학회지, 10(2), 81-102.
  • 김현룡(2018). 외식 배달 앱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85(0), 443-464.
  • 나윤규(2010). 확장된 기술수용모형(ETAM)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패션상품 구매행동 연구: 지각된 가치와 위험 및 신뢰의 영향을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0(3), 27-49.
  • 노미진, 김명숙(2009). 서비스 유형에 따른 u-서비스 특성이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1), 335-347.
  • 문재학(2014). 온라인 사용후기 방향성이 정보 신뢰성과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쇼핑경험과 제품유형의 조절적 역할. 경영과 정보연구, 33(4), 49-62.
  •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 박은아(2007). 온라인 사용후기가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후기방향성, 브랜드인지도, 제품유형에 따른 차이. 광고학연구, 18(5), 7-22.
  • 박일우(2012). 기술수용모델(TAM)의 확장을 통한 여행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수용과 확산.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박지혜(2017). 기능성 화장품의 온라인 사용 후기 신뢰도가 브랜드 선호도, 광고 신뢰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외선 차단제의 긍정적 사용 후기를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25(6), 831-846.
  • 박현주(2018). 문체부, '휴식있는 삶' 기본권. 뉴시스. 2018. 06. 05. https://newsis.com/view/?id=NISX20180605_0000327602&cID=10701&pID=10700, .
  • 배정섭, 원도연, 조광민(2015). 기술수용모델(TAM)의 확장을 통한 프로야구 팬들의 구단 SNS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4(2), 237-251.
  • 백선혜, 임희랑, 김학건(2019).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커피전문점 고객의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스타벅스 모바일앱을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25(4), 146-155.
  • 백주아(2016).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통한 환대산업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지속사용 행동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31(3), 357-373.
  • 성혜진, 고재윤(2013). 외식기업의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특성이 고객만족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7(2), 187-211.
  • 손정기, 박영아(2013). 스마트폰 앱 서비스품질과 사용후기가 이용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맛집 앱 이용자를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21(3), 1-26.
  • 신수지(2015). '스마트 여행으로 힐링 관광' 시대. 데일리한국. 2015. 07. 08.http://daily.hankooki.com/lpage/life/201507/dh20150708114723138860.htm
  • 안시준(2010). 프로슈머 유형에 따른 디지털카메라의 수용의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TAM)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 유로, 손증군, 심홍범(2016). 모바일 여행상품 앱(App) 특성이 이용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31(1), 253-272.
  • 유순호(2019). 모바일 여행상품 앱 특성이 용이성, 유용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3(5), 743-759.
  • 유재현, 박철(2010).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9(2), 31-50.
  • 윤종찬, 하동희, 손영아(2017). 스마트폰 배달 어플리케이션의 관계 효익이 사용후기 정보성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전환비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1(7), 221-238.
  • 이경중, 이철원, 한지훈(2018). 기술수용모델 (TAM)을 통한 골프참여자의 경기수행능력과 골프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2), 1-10.
  • 이경훈, 박재옥(2004).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의류제품 구매경험에 따른 의류제품 및 웹 서비스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5), 603-614.
  • 이민석, 조민근, 이철원(2020).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한 대학생들의 레저시설 앱 사용의도 분석: 정보품질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9(1), 103-114.
  • 이민석, 홍순범, 서광봉(2019).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한 액티브시니어의 레저스마트기기 사용의도 분석: 여가열의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183-194.
  • 이승신, 류미현(2014). TV홈쇼핑의 소비가치가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기반으로. 소비자학연구, 25(6), 133-156.
  • 이정실(2019). 온라인 사용후기 신뢰도가 브랜드 태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1(4), 351-365.
  • 이태민, 박철(2006). 온라인 구전정보의 방향성과 유형이 구매영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 미국의 국제비교, 마케팅연구, 21(1), 29-56.
  • 이호근, 곽현(2013). 온라인 소비자 리뷰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 정보화정책, 20(3), 3-17.
  • 전성률, 박현진(2003). 부정적 구전정보의 유형에 따른 구전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4(4), 21-44.
  • 전성범, 이명철, 이철원(2017). 기술수용모델 (TAM) 을 통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제약협상과 O2O (Online to offline) 스포츠 매칭 플랫폼 수용 관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6(4), 523-535.
  • 전은하, 석해민, 정민지, 고은주(2017). 뷰티 모바일 앱에서의 제품 사용후기의 유형, 지각된 정보의 진정성,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및 온라인 구전의도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9(2), 180-193.
  • 정도범 , 장진혁 , 신현수 , 한규하 , 김동관 , 윤형석(2009). 모바일 환경에서 USIM 카드 기반 부가서비스의 이용의도: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25(4), 105-144.
  • 정새봄, 원도연, 정유미(2015). 모바일 스포츠뉴스의 플로우 경험에 따른 이용지속성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과 합리적 행동이론의 적용.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0(6), 35-53.
  • 정일권, 김영석(2006).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 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론동 향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4), 302-328.
  • 정종일(2017). ‘여행도 디지털’. 아이티데일리. 2017. 05. 05.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83151, .
  • 정지연, 노태우(2017).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 수정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205-212.
  • 제갈주(2006).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이 상품평판의 신뢰와 온라인 쇼핑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조민근(2019).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여행서비스앱의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조정형(2015).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통한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수용.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 진천천, 박현정(2018).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VR기기 수용관련 소비자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6(6), 117-126.
  • 차재빈, 이훈영(2015). 관광지 스토리텔링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TAM)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0(1), 69-89.
  • 한광석(2011). 온라인 사용후기가 접근성과 진단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용후기 방향성 및 사전지식에 따른 차이. 광고연구, 88(1), 273-304.
  • 한국관광공사(2013). 2013 국민 여행 실태조사.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2018). 4차산업혁명 초연결 기반을 만드는 기술, 스마트 나노센서 산업동향 .
  • 현용호, 박영아(2013). 확장된 TAM모형 적용을 통한 사용후기 특성과 스마트폰 맛집 앱 수용의도간의 영향관계 검증: 정보품질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6(1), 2851-2871.
  • Agarwal, R., & Karahanna, E.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24(4), 665-694. [https://doi.org/10.2307/3250951]
  • Ajzen, I.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ur. In Action Control (pp. 11-39). Springer, Berlin, Heidelberg. [https://doi.org/10.1007/978-3-642-69746-3_2]
  •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gress, 50,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 Bagozzi. R. P., Davis. F. D., & Warshaw. P. R. (1992). Development and test of a theory of technological learning and usage, Human Relations, 45(7), 659-686. [https://doi.org/10.1177/001872679204500702]
  • Chatterjee, P. (2001). Online reviews: Do use them?. Advances in Research, 28(1), 129-133.
  • Cheung, M. S., M. M. Anitsal, & I. Anitsal. (2007). Revisiting word-of-mouth communications: A cross-national exploration.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5(3), 235-249. [https://doi.org/10.2753/MTP1069-6679150304]
  • Davis, F. D. (1986).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Doctoral Dissert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assachusetts Cambridge.
  • Davis Jr.,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 Delone, W. H., & McLean, E. R. (1992).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3(1), 1-95. [https://doi.org/10.1287/isre.3.1.60]
  •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 Wesley.
  • Fishbein, M., & Ajzen, I. (1981). Attitudes and voting behavior: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Progress in applied social psychology, 1(1), 253-313.
  • Herrera-Viedma, E., G. A. Pasi., A. G. López-Herrera., & C. Porcel. (2006). "Evaluating the information quality of web sites: A methodology based on fuzzy computing with word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4), 538-549. [https://doi.org/10.1002/asi.20308]
  • Holbrook, M. B. (1978). Beyond attitude structure: Toward the informational determinants of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 545-556. [https://doi.org/10.1177/002224377801500404]
  •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 Lei-da Chen., Mark L. Gillenson., & Daniel L. Sherrell. (2002). Enticing online consumers: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Perspective. Information & Management Elsevier, 39(8), 705-719. [https://doi.org/10.1016/S0378-7206(01)00127-6]
  • Pham Michel Tuan., & Tamar Avnet. (2004). Ideals and oughts and the reliance on affect versus substance in persuas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4), 503-518. [https://doi.org/10.1086/380285]
  • Schepers, J., & Wetzels, M. (2007). A meta-analysi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vestigating subjective norm and moderation effects. Information & management, 44(1), 90-103. [https://doi.org/10.1016/j.im.2006.10.007]
  • Seddon, P., & Kiew, M.-Y. (1996). A Partial Test and Development of Delone and Mclean’s Model of IS Success. Australasi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4(1). [https://doi.org/10.3127/ajis.v4i1.379]
  • Soh, H. Reid L., & King K.(2009). Measuring trust in advertisi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DTRUST scale. Journal of Advertising, 38(2), 83-103. [https://doi.org/10.2753/JOA0091-3367380206]
  • Steiger, J. H., & Lind, J. C. (1980).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In annual meeting of the Psychometric Society, (pp. 424-453). Iowa City, IA 758.
  • Venkatesh, V., &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 Yi, M. Y., & Hwang, Y. (2003). Predicting the use of web-based information systems: self-efficacy, enjoyment,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9(4), 431-449. [https://doi.org/10.1016/S1071-5819(03)001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