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1, pp.29-46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0
Received 03 Feb 2020 Revised 13 Mar 2020 Accepted 23 Mar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3.44.1.29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가산업 인식 분석

김경식1 ; 이연주2 ; 한승진3 ; 한승백4
1호서대학교 교수
2KBS스포츠예술과학원 교수
3을지대학교 교수
4배재대학교 강사
An Analysis of Perception of the Leisure Industry using Big Data
Kim, Kyung-Sik1 ; Lee, Yeon-Ju2 ; Han, Seung-Jin3 ; Han, Seung-Baek4
1Hoseo University, Professor
2KBS Sport College, Professor
3Eulji University, Professor
4Pai Chai University, Instructor

Correspondence to: Han, Seung-Baek Pai Chai University, 155-40 Baejae-ro(Doma-Dong), Seo-Gu, Daejeon, Korea, E-mail: sbhan1002@gmail.com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leisure industry by analyzing keywords from the national daily papers for the last 12 years. Th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4 media organizations: eleven major dailies, eight economic papers, and five broadcasting stations.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leisure industry into three categories: sports industry, tourism industry and art industry and gathered data using keyword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NetMiner, through the analysis of centrality and cohes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of top-ranking keywords in the leisure industry by year. In the sports industry, “support” was at the top of the list, between 2008 and 2019. Notably, “athlete” ranked gradually lower since 2008, with new keywords such as “business” and “game” emerging in high rank. In the tourism industry, “region” was in higher ranks. One of the noticeable changes is that “culture” rose higher in the rank. In the art industry, “art,” “culture,” and “industry” continued to remain in higher ranks. Also, “support,” “company,” “policy,” and “development” ranked high on the list, which confirms that keywords related to support for the art industry has a high degree centrality. Second, the result of the leisure industry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accumulated data is as follows: In the sports industry, the keywords were in the order of “sports,” “industry,” “support,” and “business”; In the art industry, “art,” “culture,” “industry,” and “support.” Third, we conducted the cohesion group analysis to examine how the subgroups of the leisure industry keyword network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ports industry has 117 keywords and five subgroups. For Group 5, the biggest network, we analyzed its subgroups again. Also, the tourism industry has 104 keywords and seven subgroups, and the art industry has 97 keywords and seven subgroups.

Keywords:

leisure industry, big data, keyword network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leisure industry keyword

키워드:

여가산업, 빅데이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여가산업 키워드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5A2A03031246).

References

  • 강승호, 하세호(2014). 강원도 문화, 관광산업의 고용창출력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3), 141-154.
  • 강준호(2005). 스포츠산업의 개념과 분류. 체육과학연구, 16(3), 118-130.
  • 김경식(2017). 여가학 연구 주제어의 사회연결망분석: 최근 10년간 (2006-2015) 발간된 3대 국제저널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4), 29-43.
  • 김경태(2014). 만리포 관광거점조성 타당성 조사용역. 충남발전연구원.
  • 김기찬(2019.09.11.). 주52시간제 이후 근무시간 13.5분 줄어⋯스포츠·여행 즐겨. 중앙일보. 원문: https://news.joins.com/article/23575816
  • 김대욱, & 최명일. (2016). 의미연결망분석을 이용한 2005~ 2014 년 자살보도 분석:< 조선일보> 와< 한겨레> 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2), 178-208.
  • 김민철(2008). 소규모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산업 활성화 전략: 강진군과 남해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 19(4), 176-191.
  • 김민철, 장희정(2008). 도서의 관광콘텐츠 유형에 따른 관광매력요인: 보길도, 선유도, 우도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0(4), 123-137.
  • 김상태, 이강욱, 류광훈, 전효재, 권태일, 조아라(2015). 메르스 사태에 따른 관광산업 영향과 대책,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김성혁, 김용일, 오재경(2012). 해양관광 방문동기 시장세분화에 따른 해양관광활동 차이와 관광만족 및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 27(1), 17-36.
  • 김수봉, 권중돈, 조한종, 문병윤, 김지연(2011). 고령친화 여가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왕배(2007). 노동중독: 직무태도와 조직특성의 관점에서 본 사회심리적 접근. 한국사회학, 41(2), 90-117.
  • 김용완, 이웅규(2017). 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관광산업의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16(2), 53-76.
  • 김창환, 정해용(2013). GIS를 이용한 강원 평화지역 지오파크(Geopark) 거점시설 최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3), 31-42.
  • 김태영(2018).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관광정책, 73, 22-31.
  • 김한주(2009).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경북권과 타권역간 관광산업의 경제효과에 대한 비교 분석. 관광연구, 24(2), 219-237.
  • 문화관광공사(2005). 문화강국(C-Korea 2010) 육성전략.
  • 문화체육관광부(2013). 여가백서.
  • 박근화(2019.04.11.). 기획특집: 관람에서 활동으로! 빅데이터로 살펴본 문화예술 향유 패턴. 예술경영, 421.
  • 박두용, 설민신(2011). 지역사회 스포츠이벤트 개최를 통한 지역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1), 385-398.
  • 박수정(2010). 여가산업진흥을 위한 스포츠여가참여자의 여가행동 분석. 문화산업연구, 10(2), 155-166.
  • 박수진, 홍장원(2012). 우리나라 해양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8(2), 131-138.
  • 박재우, 임승엽(2014). 창조경제와 여가산업 정책: 사회적 가치 전환 시대의 논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3), 126-140.
  • 사이람(2019). 소셜미디어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소셜네트워 분석 워크샵 자료집.
  • 송재호, 남윤섭, 임화순(2013). AHP 를 활용한 제주관광 강화정책 중요도 연구. 탐라문화, 43, 321-342.
  • 양길승(2008).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전략: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2(4), 445-459.
  • 오유진(2018.12.27.).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유망 여가 생활 서비스 분석. 하나 산업정보, 20.
  • 위키백과(2020.03.24.). KCON.
  • 유한웅(2019). 스포츠산업의 진흥을 위한 정부의 시장관여와 경제적 파급효과: 스포츠산업지원사업에 대한 산업연관분석의 적용. 한국체육학회지, 58(2), 387-404.
  • 윤소영, 유지윤, 이강욱, 김향자, 노용구(2007). 여가정책의 영역 및 향후과제에 대한 제안연구. 여가학연구, 5(2), 72-87.
  • 이강욱(2017). 국제관광수요 영향요인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이수상(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 이명진, 장안식, 박기태, 한상원(2008). 복잡계와 네트워크 사회의 변화. 한국사회의 방송·통신 패러다임 변화 연구 08-2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이영덕(2017). 항공레저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월간교통, 230, 2-4.
  • 임석훈(2017). 항공레저 산업안전과 인력양성 방안. 월간교통, 230, 14-18.
  • 진용주, 이은정, 윤천석(2016). 국내 말(Horse) 산업에 대한 소비자태도와 이미지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4(3), 5-20.
  • 최윤정, 권상희(2014). 빅데이터 관련 신문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1(1), 241-286.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식정보센터(2018). 2017외래객 인구통계: 한국으로 여행 온 외국인, KCTI-INFO, 제74호.
  • 한승백(2017). 한국 프로야구의 야구장 짓기: 미디어 속 공공재 담론의 변주와 합주.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0(4), 45-6
  • Gorz, A. (1982). Farewell to the Working Class: An Essay an Post-Industrial Socialism. London: Pluto Press.
  • Hudson, S. (2003). Sport and adventure tourism. New York: Haworth Hospitality Press.
  • Williams, R. (1976).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