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를 활용한 여가시설의 지역별 입지 접근성 평가: 제주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Abstract
Leisure is one of the universal rights that humans enjoy. Analyzing accessibility to leisure facilities is a spatial assessment of whether leisure opportunities are provided equall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to leisure facilities from residence to Jeju city showed that the highest areas were Oedo-dong and Ido1-dong. Although Oedo-dong has been a rural area in the past, it is believed that the accessibility to leisure facilities has been improved due to the planned positioning of the facilities in the city development project. There are not many facilities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Ido1-dong, but it is believed that to be influenced by the high accessibility to leisure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Yiho-dong, Yongdam 2-dong, and Bonggae-dong, which are the lowest areas, are located in Jeju Airport and Waste disposal site, making it difficult for residents to live in.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where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was implemented has higher accessibility to leisure facilities. And that accessibility to leisure facilities is lower in residential areas where residents do not like them. It also confirmed that there might be differences between the facility location classified as administrative area and the facility location available to residents.
Keywords:
leisure facility, location, accessibility, opportunity to use, GIS키워드:
여가시설, 입지, 접근성, 이용기회, GISReferences
- 김광식(1987). 도시공공서비스 시설과 그 이용자간의 접근성 측정에 관한연구. 국토계획, 22(3), 81-96.
- 김세진, 강은나(2017).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여가시설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3), 110-138.
- 김성희, 김용진(2017), 공공체육시설 수요특성 및 공간적 접근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7), 283-293.
- 김솔희, 김태곤, 서교(2015). 실제 도로거리를 이용한 농촌지역 생활권의 의료시설 접근성 평가: 평창군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4), 39-49.
- 김이배, 안재성(2014). GIS를 활용한 경북 사회복지 이용시설의 접근성 비교 연구. 사회복지정책, 41(3), 107-129.
- 김재석, 박진경(2011). 레저관광산업론, 서울: 새로미
- 김태곤, 신용훈, 이지민, 서교(2013). 도로거리를 이용한 지역별 우회계수 산정. 국토계획, 48(4), 319-329.
- 김황배, 김시곤(2006). 접근성이론과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행정기관의 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3), 385-391.
- 김형국(1997). 한국공간구조론,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 김효정(2013). 생활밀착형 문화, 여가시설 확충, 국토, 8. 15-22.
- 박광희, 김대관(2014). 여가공간 유형별 노인여가 특성 및 만족 분석. 관광레저연구, 26(6), 579-595.
- 박경돈(2012). 의료이용의 지역적 불균형에 대한 연구 : 공간종속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1(3), 387-414.
- 박종준(2013). 참여적 계획을 위한 집합적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수울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배미애(2007). 빈곤계층과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간적 연계성,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2), 177-195.
- 신호성, 이수형(2011). 공간분석을 이용한 외래의료서비스 접근성 요인분석, 보건행정학회지 21(1), 23-43.
- 엄상근(2012).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개발사업 실태분석 및 평가 연구, 제주 : 제주연구원.
- 오은미, 박경옥(2000). 청소년의 여가환경이용과 희망 여가공간의 위치구조. 한국생활과학회지, 9(3), 297-315.
- 오홍석(2008). 땅이름 점의 미학, 서울: 부연사.
- 유용택, 백성준(2013). GIS를 활용한 도시공공시설의 접근성 및 공간적 효율성 분석: 용산구청 청사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정책연구, 4(1), 61-71.
- 윤양수, 김의식(2002). 레저행태변화와 여가공간 조성방안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안양; 국토연구원.
- 이윤영(2019). 사행산업 경험자의 공공여가시설 인지도가 여가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가정책 중요도와 민간여가시설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2), 51-65.
- 이정봉(2013). 울산북구 공공여가시설 특징과 정책과제 : 근무형태 변경 교대제 근무자의 이용접근성을 중심으로. 지역고용노동연구, 5(1), 73-103.
- 이현주(1998). 사회복지이용시설 접근성에 대한 평가. 사회복지연구, 12, 111-129.
- 이희연(2010). 경제지리학, 경기: 법문사.
- 장미현, 조연숙, 최정선(2016). 공공시설로서 주민센터 설치기준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접근성과 편의성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90(1), 219-255.
- 제주특별자치도(2019). 2018 주요행정통계.
- 조광익(2010). 여가의 사회이론, 서울: 대왕사
- 조성호, 박순호(1996). GIS기법을 이용한 도시공공서비스 시설의 입지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 69-85.
- 한진오, 정득, 이종석(2019).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여가정책만족의 매개효과. 여가학연구, 17(2), 61-85.
- 허준, 이현석, 장훈(2005). GIS기법을 이용한 공공시설 입지분석 및 타당성 검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3), 5-10.
- Elena Bogan(2018). Promoting the Health and Social Inclusion of the Urban Population by endow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eisure Facilities in the Parks in Bucharest, Quality Mangement, 19(166), 80-86.
- Ellen K. Cromley & Sara L. McLafferty(2011). GIS and public health, NY : Guilford Press
- James Higgerson, Emma Halliday, Aurora Ortiz-Nunez, Richard Brown, Ben Barr(2018). Impact of free access to leisure facilities and community outreach on inequalities in physical activity: a quasi-experimental stud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72, 252-258. [https://doi.org/10.1136/jech-2017-209882]
- Joffre Dumazedier(1967), Toward a Society of leisure, NewYork: Free Press.
- John Neylinger(1974), The psychology of leisure: research approaches to the study of leisure, Springfield: Thomas.
- John R. Kelly, Marjorie W. Steinkamp, Janice R. Kelly(1987), Later-life satisfaction: Does leisure contribute?, Leisure Sciences, 9(3), 189-199. [https://doi.org/10.1080/01490408709512159]
- Kenneth Roberts(1978),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growth of leisure, London: Longman.
- Mahesh Karra & Gϋnther Fink & David Canning(2017). Facility distance and child mortality: a multicountry study of health facility access, service utilization, and child health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46(3), 817-826. [https://doi.org/10.1093/ije/dyw062]
- Robert A. Dahl(1971), Polyarchy: Participation and Opposition, Yale University Press.
- Stephen Birch & Julia Abelson(1993). Is Reasonable Access What We Want? Implications of, and Challenges to, Current Canadian Policy on Equity in Health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23(4), 629-653. [https://doi.org/10.2190/K18V-T33F-1VC4-14RM]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검색일 2019. 5.24,(http://encykorea.aks.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