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동호회 여가 문화 탐구: 배드민턴 동호회 부부회원을 중심으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isure experience shared by family members/couples and the meaning of the shared experience, taking note of cases of couples that participate in badminton together. In this study,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couples and two research assistants participating in a badminton club.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processes through which couples participate in badminton and continue the participation, although study participants became to start playing badminton for diverse reasons, couples were shown to have started playing badminton mainly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their spouse and it could be understood that personal leisure lives have been changed into family/couple centered leisure lives. In addition, the continuous playing of badminton by couples was explain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dminton games per se and the club culture. Second, the meanings of sharing leisure by couples were shown to be the ‘sharing of daily life’, the ‘sharing of emotions’, and the ‘sharing of memory’. The sharing of leisure by couples while playing badminton together was shown to increase communication, lead to acknowledgment and understanding of each other, and accumulate precious memories of life in the process.
Keywords:
badminton, leisure culture, couple leisure, sharing leisure키워드:
배드민턴, 여가문화, 부부여가, 여가공유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5A2A01025765).
References
- 김명배, 유종상(2013). 배드민턴 훈련이 성인들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5), 449-463.
- 김세웅(2009). 배드민턴 참여 동호인들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105-115.
- 김영구, 오현택(2014). 배드민턴 참여동기와 참여제약 및 참여제약 협상전략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7(1), 511-523.
- 김재운, 김한범, 임새미, 박찬우(2018). 테니스 동호회 활동에서의 여가문화 탐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4), 67-82.
- 김주호, 강지훈(2011). 배드민턴 여성참여자들의 참여동기와 만족 및 재참여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1), 15-25.
- 김진(2001). 사회체육: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참여동기 요인. 한국체육학회지, 40(2), 277-285.
- 김한미(2011). 교육을 억압하는 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햇살 테니스회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4(2), 1-26.
- 김현석(2012).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참여행태와 스포츠재미, 운동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1(1), 89-102.
- 남기연, 손석정, 김대희(2017). 학교체육시설 이용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방안. 스포츠엔터테이먼트와 법, 20(3), 27-44.
- 노용구(2005). 건강한 가족문화를 위한 여가정책.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8, 5-15.
- 문상정(2013). 중년기 여성의 부부갈등과 부정적 정서간의 관계. 관광경영연구, 17(3), 105-128.
- 박명국, 김경력, 오근희(2010).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참여정도에 따른 운동 몰입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3), 83-93.
- 서광봉, 이철원(2011). 부부의 여가만족 형성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해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3), 53-66.
- 서미숙, 성효용(2017). 배우자 간의 시간 공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경제연구, 14(1), 103-125.
- 서미아(2015). 이혼위기 부부에 대한 정서중심집단치료 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3(2), 291-131.
- 안찬우, 김옥주(2014). 생활체육 참가 부부의 참가정도와 부부친밀감 및 가족기능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8(1), 727-736.
- 오형석, 김경엽(2015). 배드민턴 참여자의 참여동기, 열정, 운동지속수행 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4(5), 549-560.
- 이문진, 이연주, 김재운(2011) 가족여가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5-13.
- 이성철(2017). 여가촉진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에서 여가제약협상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6(5), 537-548.
- 이종성(2018). 약수터 운동에서 올림픽 효자종목으로: 한국 배드민턴의 대중화와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체육사학회지, 23(3), 37-52.
- 이지연, 그레이스 정(2015). 어떤 부부가 함께 여가시간을 보내는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2), 149-164.
- 이현주, 엄명용(2012). 이혼위기 부부의 통합적 부부치료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0(2), 201-224.
- 임진선(2017). 부부의 여가선택유형과 여가일치여부에 따른 부부여가만족과 가족관계에 대한 차이검증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1), 613-622.
- 전진욱, 박길태, 이연실(2018). 배드민턴 동호회 참가자들의 참여동기 및 재미요인과 여가만족의 관계. 인문사회21, 9(5), 471-482.
- 정혜정 (2015) 가족의 위기 대처를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서비스 강화방안. 가족과 가족치료, 23(3), 421-449.
- 조보성, 이연주, 김미량(2008).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스포츠재미가 자아존중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2), 35-45.
- 조용환(2002). 질적연구 :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 통계청(2015). 국가통계포털.
- Coakley, J., Hallinan, C. J., & McDonald, B. D. (2011). Sports in Society: Sociological Issues and Controversies. McGraw Hill.
- Dyck, V., & Daly, K. (2006). Rising to the challenge: Fathers’ role in the negotiation of couple time. Leisure Studies, 25(2), 201-217. [https://doi.org/10.1080/02614360500418589]
- Guba, E. G., & Lincoln, Y. S. (1994).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163-194), 105.
- Harrington, M. (2015). Practices and meaning of purposive family leisure among working-and middle-class families. Leisure Studies, 34(4), 471-486. [https://doi.org/10.1080/02614367.2014.938767]
- Kelly, J. R. (1997). Changing issues in leisure-family research.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9(1), 132-134. [https://doi.org/10.1080/00222216.1997.11949787]
- Orthner, D. K. (1975). Leisure activity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martial care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 91-102. [https://doi.org/10.2307/351033]
- Shaw, S. M. (2008). Family leisure and changing ideologies of parenthood. Sociology Compass, 2(2), 688-703. [https://doi.org/10.1111/j.1751-9020.2007.00076.x]
- Spradley, J. (1979). Ethnography and culture. The ethnographic interview. Holt, Rinehart, and Winston: Florida.
- Williamson, M., Zabriskie, R., Townsend, J., Ward, P., Fellingham, G., & Kuznetsova, I. (2019). The contribution of family leisure to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satisfaction among urban Russian families. Annals of Leisure Research, 1-22. [https://doi.org/10.1080/11745398.2019.1609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