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3, No. 2, pp.51-65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30 Apr 2019 Revised 31 May 2019 Accepted 22 Jun 2019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19.6.43.2.51

사행산업 경험자의 공공여가시설 인지도가 여가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여가정책 중요도와 민간여가시설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이윤영1
1서울디지털대학교
Effects of public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on leisure policy satisfaction of experienced people in gambling industry : Verification on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leisure policy important and private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Lee, Younyoung1
1Seoul Digit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Lee, Younyoung Seoul Digital University, Gonghang-daero, Gangseo-gu, Seoul, Korea Tel: +82-02-2128-3042, Fax:+82-02-2128-3006, E-mail: youngcnn@naver.com Contributed by footnote: 교신저자 문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ublic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on leisure policy satisfaction of experienced people in participating in gambling industry as leisure activ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by using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6.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as composed of 85 leisure items were divided into 8 categories and this study extracted samples of participating in gambling industry. Process Macro 3.3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private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on leisure policy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ublic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overnment leisure policy satisfaction, which meant that more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increased the leisure policy satisfaction.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level of leisure policy importance, the more the leisure policy satisfaction. Thirdly, the higher public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leisure policy importance. Last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leisure policy importance can be a not moderating but mediating fa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and government leisure policy satisfaction. Also moderated mediation happened because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policy importance between public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and leisure policy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private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In summary,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at leisure policy awareness of gambling industry participants were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leisure facilities awareness and leisure policy satisfaction.

Keywords:

gambling industry, sport gambling, leisure facilities, leisure policy, leisure satisfaction

키워드:

사행산업, 스포츠도박, 여가시설, 여가정책, 여가만족

References

  • 강수돌(2018). 개방적 소통이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18(1), 1-38.
  • 강화, 배은경(2018).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지, 62, 131-163.
  •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보도자료, 4대방안 13대 개선과제 ‘사행산업 건전화대책’ 마련 2017. 12.14.
  • 권승주(2004). 경마 관람자들의 참여정도가 여가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41-48.
  • 김경훈·배정규(2007). “경룬 및 경정 도박성 게임자들의 게임 이용실태, 주관적 삶의질, 자존감 및 사회적지지”. 한국심리학회지, 12(2), 367-382.
  • 김나혜, 박성언, 전정우(2015). 대학생들의 불법 스포츠도박 지속행동에 대한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4(6), 95-105.
  • 김민규, 박수정(2014). 한국형 여가중독 개념화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1), 1-16.
  • 김민규, 박수정(2015). 청소년 통합여가행위중독의 다차원 개입전략 연구. 여가학연구, 13(2), 25-47
  • 김민규, 박수정(2017). 한국형 스포츠도박 중독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사회구조적 접근. 교육 문화연구, 23(5), 63-86.
  • 김선희(2013). 공공여가시설의 서비스성과가 지역 주민의 지역사회애착 및 향후 여가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7(2), 37-49.
  • 김세진, 강은나(2017).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 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7(3), 110-139.
  • 김용국, 김선희(2017). 공공여가시설의 서비스 공정성이 여가만족도 및 기관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2), 237-245.
  • 김잔디(2008). 도박죄의 비범죄화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 김정운, 최석호, 윤소영, 김영선(2006). 여가진흥법 제정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4(2), 13-38.
  • 김효정(2013). 생활밀착형 문화, 여가시설 확충, 국토, 8. 15-22.
  • 남궁완, 엄정식(2006). 노인여가시설의 정책적 발전 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17(3), 99-108.
  • 노용구(2007). 여가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0, 221-230.
  • 박세진(2008). 스포츠토토 참여가 관람스포츠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세혁(2007). 여가산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여가학회지, 8(1), 28-59.
  • 박재우, 임승엽(2014). 창조경제와 여가산업 정책: 사회적 가치 전환 시대의 논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3), 126-140.
  • 박종권(2009). 경륜, 경정산업의 발전방안을 위한 경륜, 경정법에 관한 고찰. 스포츠와 법, 12(2), 121-140.
  • 박철호(2008). 사행산업 건전화 방안 연구. 여행학연구, 29, 21-48.
  • 성준모, 김정진(2014). 사행산업 장외발매소 이용자의 도박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보건사회연구, 34(3), 135-164.
  • 신용석(2005). 공공여가공간의 개념과 특성 및 연구방향. 문화역사지리, 17(2), 138-147.
  • 신화경(2006). 지역사회 여가시설 개발을 위한 공동주택거주자들의 여가활동 장소 및 여가 시설에 대한 선호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7(6), 159-158.
  • 오세연(2011). 사례분석을 통한 도박중독의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 1(1), 23-45.
  • 오세연(2013) 경주스포츠 도박중독의 실태와 대응 방안, 한국중독범죄학회보, 3(2), 22-43
  • 연합뉴스, “합법사행산업 매출 22조원..국민 100명 중 5명 도박중독”. 2017.12.14.
  • 이명우, 홍윤미, 윤기웅(2016). 여가 활동이 국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30(2), 264-287.
  • 이민경(2015). 장애인의 사회 및 문화, 여가 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61-73.
  • 이민규, 김교헌, 성한기, 권선중(2009). 도박성 스포츠 게임이 지역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911-927.
  • 이성미(2016). 국내청소년의 여가시설 요구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4(4), 83-92.
  • 이장영, 조욱연(2016). 우리나라 스포츠 베팅산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사회학회 사회학 대회 논문집, 77-88.
  • 이철원(2003). 여가의 재해석. 대한미디어.
  • 이학식(2008). SPSS 14.0 매뉴얼. 학지사.
  • 이형권, 송성섭(2011). 운동자기효능감과 여가제약이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 심리학회, 22(3), 27-42.
  • 이형권(2016). 조절분석과 조절된 매개분석 및 매개된 조절분석의 오해와 진실. 관광연구, 31(3), 2130248.
  • 전원재, 임수원(2018). 공공스포츠클럽 사업의 정책적 정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4, 291-308.
  • 조민구 (2015). 여가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여가활동 영향요인의 실증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조욱연(2014). 대학생들의 스포츠가치관이 스포츠 도박 인식 및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7(1), 651-660.
  • 차재빈(2018). 국민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여가 정책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30(5), 209-223.
  • 최성훈(2018). 울산시의 지속가증한 발전을 위한 스포츠 관광인프라 분석. 여가학연구, 16(1), 77-88.
  • 최승훈(2017). 노인여가복지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사회연구, 2, 141-163.
  • 한국문화광광연구원(2014). 국외 문화여가정책 사례연구. 한국관광문화연구원.
  •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5). 2007 여가백서. 문화관광부.
  • 하경희 (2017). 국민여가활성화를 위한 웰니스여가 전문인력 양성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7(1), 17-33.
  • 한수지, 전미자, 김미경(2015).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자들의 여가활동공간 활용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7(2), 82-87.
  • 한수정, 조용준 (2010). 여가활동 변화에 따른 여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GRI 연구논총, 12(1), 213-232.
  • 하응용, 김예성(2018). 국내 및 일본 노인여가복지 시설 현황과 현장분석을 통한 노인여가시설 개선. 스포츠사이언스, 36(1), 49-65.
  • 허중욱(2014). 여가시설 이용자의 여가만족과 여가제약. 관광연구저널, 28(12), 203-213.
  • 황현석(2018). 여가인식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2), 575-584.
  • 홍명기, 장현석(2018). 낮은 자기 통제력이 비행피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학, 12(2), 99-199.
  • Beard, J. G. & Ragheb, M. G.(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https://doi.org/10.1080/00222216.1980.11969416]
  • Bolen, D. W. & Boyd, W.H..(1968). Gambling and the gambl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8, 617-630. [https://doi.org/10.1001/archpsyc.1968.01740050105018]
  • Diener, E., Lucas, E., Oishi, S. & Suh, E.(2002). Looking up and looking down: Weighting good and bad information in life satisfaction judg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 437-445. [https://doi.org/10.1177/0146167202287002]
  • Griffin, J. & McKenna, K.(1998). Influences on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15(4), 1-16. [https://doi.org/10.1080/J148V15n04_01]
  • Hayes, A. F.(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Guilford Press.
  • Higgerson, J., Halliday, E., Ortiz-Nunez, A., Brown, R.& Barr, B. Impact of free access to leisure facilities and community outreach on inequalities in physical activity: a quasi-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London, 72(3). 252-258. [https://doi.org/10.1136/jech-2017-209882]
  • Kovacs, A.(2007). The leisure personality: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Indiana, USA.
  • Lloyd, K. M., Auld, C. J.(2002). The role of leisure in determining quality of life: Issues of content and measurement, Social Indicators Research, 57(1), 43-71. [https://doi.org/10.1023/A:1013879518210]
  • Massimini, F. & Carli, M.(1988). The systematic assessment of flow in daily experience. in M. Csikszentmihalyi(eds), Optimal experience: Psychology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266-287.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621956.016]
  • Omodei, M. M. & Wearing, A. J.(1990). Need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in personal projects: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subjective well 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762-769. [https://doi.org/10.1037//0022-3514.59.4.762]
  • Spiegel, K., Tasali, E., Penev, P. & Van Cauter, E. (2004). Brief communication; sleep curtailment in healthy young me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eptin levels, elevated ghrelin levels, and increased hunger and appetite. Ann Intern Med, 141(11), 846-850. [https://doi.org/10.7326/0003-4819-141-11-200412070-00008]
  • Tennur, Y. L.(2013). Life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erceived freedom of park recreation participants, Social and Behavior Sciences, 93, 1985-1993. [https://doi.org/10.1016/j.sbspro.2013.10.153]
  • Vong, T. N.(2005).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Macao, China. Leisure Studies, 24(2), 195-2007. [https://doi.org/10.1080/02614360412331313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