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3, No. 2, pp.13-22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12 Apr 2019 Revised 04 Jun 2019 Accepted 24 Jun 2019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19.6.43.2.13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통한 ‘토요스포츠데이’ 강사들이 인식하는 토요스포츠데이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고찰

배정섭1 ; 서광봉2 ; 이문진3
1한양대학교
2경민대학교
3서울교육대학교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Saturday sport day’ recognized by instructo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Bae, Jungsup1 ; Suh, Kwangbong2 ; Lee, Munjin3
1Hanyang University
2Kyungmin University
3Seoul National Univ. of Education

Correspondence to: Suh, Kwang Bong Kyungmin University, 545, Seobu-ro, Uijungbu, Kyunggido, Korea Tel: E-mail: judoskb@hna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problems of "Saturday sport day"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to solve them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Saturday sport day" instructo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research methods, and 7 instructors were designated.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upper categories were 'problems of free lecture', 'difference in ability' and 'environmental constraint' due to problems with 'Saturday sport day.' Sub-categories that follow were 'the occurrence of students with poor attendance', 'senior and junior students take classes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 in ability between students’, 'to enforce a class even in too hot or cold weather' and 'deficient parking facilities'. The improvement was derived from 'promote participation by changing the system', 'the operation of classes by skill' and 'cooperation with the school'. Sub-categories included 'payment of a certain portion of the tuition', 'benefits to good participants', 'need to operate the division based on grades and skills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students', 'configuring a class with a level test', 'elastic operation according to weather or school schedule.' and 'provision of space for classes’.

Keywords:

focus group interview(FGI), Saturday sport day, problem, improvement

키워드:

포커스그룹인터뷰, 토요스포츠데이, 문제점, 개선방향

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2011). 학교체육·예술교육 내실화 방안. 서울: 대한교과서(주).
  • 김경식, 구경자, 이은주(2011). 여가제약 협상과 진지한 여가, 스포츠활동 전문화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7), 478-488.
  • 김슬이(2015). 중학생의 토요스포츠데이 경험에 따른 정서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김옥환(2017). 토요스포츠데이 참여에 따른 청소년의 스포츠자신감 및 운동몰입의 차이. 한국체육과학회지, 26(1), 749-763.
  • 김인수(2012).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수업분위기 지각에 따른 성취목표와 수업만족 간 인과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7(4), 67-79.
  • 김충곤(2014). 토요스포츠데이 참가가 자아탄력성, 자아정체성 및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7(1), 207-219.
  • 박지현, 신형덕, 현은정(2019). 전시 무료입장 정책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8(1), 33-52.
  • 배정섭, 정현철, 원도연(2015). 중학생의 토요스포츠데이 참여경험과 회복탄력성 및 학교적응성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5), 415-424.
  • 양갑렬, 박동곤(2002).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에 따른 체육수업 실태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6(2), 83-97.
  • 오응수, 신영균, 한종훈(2011).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내-외재적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코팅능력개발지, 13(3), 15-23.
  • 임종호, 원조연, 김창림(2015). 청소년의 성취목표 성향과 체육수업 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2, 651-658.
  • 정우근(2019). 중학생의 신나는 주말체육학교 참여 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정택균(2015). 초등학교 토요 Sports Day 운영 실태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진규태, 김우성(2008). 대도시 중학생의 여가제약과 스포츠 활동 참가 및 여가만족의 관계. 스포츠과학논문집, 20, 89-102.
  • 최규현, 유성진, 허영진(2017).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프로야구 팬의 관람 관여 요인 재탐색: KBO 객원 마케터 참여자 대상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2(1), 25-44.
  • 최웅철, 홍진배(2013). 중학생의 토요스포츠데이 참여경험이 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7(4), 151-166.
  • 최원석(2014). 자기결정성이론 관점에서 바라본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성공요인.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9(2), 145-159.
  • 황선환, 이문진(2013). 여가스포츠 유형에 따른 여가제약협상전략과 여가제약의 관계 : 여가제약감소 이론을 바탕으로. 여가학연구, 11(1), 83-100.
  • Krueger, R. A., & Casey, M. A. (2014).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Sage publications.
  • Lunt, P., & Livingston, S.(1996.). Rethinking focus groups in media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46, 79~98.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6.tb01475.x]
  • Morgan, D. L.(1988.).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Sage, Calif: Newbury Park.
  • Jick, T. D. (1979). Mix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riangulation in ac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4), 602-611. [https://doi.org/10.2307/2392366]
  • Spall, S. (1998). Peer debriefing in qualitative research: Emerging operational models. Qualitative inquiry, 4(2), 280-292. [https://doi.org/10.1177/10778004980040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