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3, No. 1, pp.67-76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19
Received 08 Feb 2019 Revised 26 Feb 2019 Accepted 23 Mar 2019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19.3.43.1.67

생활무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신체상과 일상 스트레스의 관계

김지혜1 ; 곽지혜2 ; 윤지인2
1이화여자대학교
2경희대학교
A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image and daily stress for a dance program participants
Kim, Ji-hye1 ; Kwak, Ji-hye2 ; Yoon, Jee In2
1Ewha Womans University
2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Yoon, Jee In Kyung Hee University, 1732, Deogyeong-daero, Giheung-gu, Yongin-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Tel: +82-31-201-2729, E-mail: jiyoon@kh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image and daily stress for the dance program participant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authors finally yielded 343 questionnaire from the participants of a dance program. We have used SPSS 23.0 and LISREL 8.70 to analyze the data. The measurement of the body image was comprised of three dimensions: Appearance Orientation(sensitivity for how they look to others), Appearance Evaluation(insensitivity of their appearance), and Physical Satisfaction(satisfaction with their appearance). As results, we found that appearance orientation(AO) positively influenced the ability to destress insomnia anxiety. Whereas appearance evaluation(AE) positively influenced the ability to destress depression but negatively affected the ability to destress insomnia anxiety. Last, physical satisfaction(PS) positively influenced the self-reliability and the ability to destress depress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image and daily stress, scholars would have more insights on the social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dance program participants.

Keywords:

dance participation, leisure, body image, daily stress

키워드:

생활무용 프로그램, 여가, 신체상, 일상 스트레스

References

  • 강은영(2011).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신체상 (身體像)과 무용수업 스트레스 및 중도탈락의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0(2), 285-293.
  • 강정주(2001).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고연화(2009). 대학생들의 여가 스포츠 활동이 자기 신체평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5(3), 329-343.
  • 곽한병, 구경자(2010).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407-416.
  • 권인선, 윤대현, 박세윤(2010). 생활무용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2) 15-32.
  • 김광범, 최현주(2016). 생활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3), 1077-1090.
  • 김수지(2013). 생활무용 참여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노혜련, 최경일(2009). 청소년의 신체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0(3), 141-165.
  • 박정수, 이민규, 신희천(2007). 여대생의 절식 및 폭식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의 신체 중요성 지각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 73-91.
  • 박준희(2004). 무용전공 여대생의 주관적인 신체상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5(6), 575-588.
  • 백영민(2017). R를 이용한 사회과학데이터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고급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백원칠, 김수겸(2004). 성인여성의 스포츠참여와 자아존중감, 고독감 및 심리적 행복감간의 인과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2(1), 51-64.
  • 손은정(2011). 성인기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신체상 및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357-377.
  • 신규리(2016). 대학생의 BMI 집단에 따른 여가스포츠 참가, 신체상, 정신건강의 인관관계 검증. 여가학연구, 14(4), 87-102.
  • 신동주, 정남운(2007). 여대생 집단에서 내현적 자기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신체상 만족도가 마르고자 하는 욕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77-94.
  • 신혜숙(2007). 생활무용 참여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 및 사회적지지.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8(3), 67-86.
  • 안선희(2005). 성인여성의 무용 활동 참여 동기 및 참여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양명환(1999). 운동 지속 결정요인과 증진방안. 체육과학연구, 5, 67-78.
  • 양은심(1999). 주부의 생활무용참가와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간의 인과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 오선영, 박승순(2015). 생활무용참여가 여성들의 외모평가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6), 889-904.
  • 오현욱(2016). 신체운동으로서 필라테스에 참여하는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및 수면의 질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5(1), 125-137.
  • 오혜경(2014). 여대생의 신체상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3), 289-300.
  • 육영숙(2008). 여대생의 신체상과 섭식행동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4). 105-115.
  • 육완순, 이희선(1992). 무용교육과정. 서울: 도서출판 금광.
  • 윤형기(2015).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직무만족 및 전반적 well-being간의 순환적 인과모형. 한국체육학회지, 24(8). 1315-1328.
  • 이계원(1993). 청년기의 신체만족도가 불안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미숙, 이경현(2010). 생활무용 참가자의 참가동기와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9(5), 85-92.
  • 이수현, 현명호(2001). 여중생의 비만도와 신체상 만족도 및 폭식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건강, 6(1), 195-207.
  • 이인숙, 양윤미(2015).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01-312.
  • 이정윤(2003). 여대생의 이상섭식행동 수준에 따른 심적, 정서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111-124.
  • 이종목, 박한기(1988). 직무스트레스 척도 제작에 관한 연구(Ⅰ). 사회심리학연구, 4(1), 241-262.
  • 이혜미, 하요상(2014).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5(3), 19-33.
  • 정은순(2001). 여자대학생의 비만지수와 신체상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4), 622-630.
  • 차성경(2018년, 12월 3일자 보도자료). “도시민들의 안락한 휴식 위한 장소로 자리매김 하겠다.” 뉴스메이커. 인터넷판 http://www.newsmak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68903
  • 최성애(2008). 재즈댄스 참가와 신체상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테츠학회지논문지, 8(8), 196-205.
  • 최이규(2005). 구조방정식모형. 서울: 무역경영상.
  • 최희승(2017).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기혼여성의 생활만족이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팽옥해, 김순희, 이병찬(2018).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 연구: 하남성 생활체육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7(5), 121-132.
  • 한혜원(2006). 여성의 생활무용 참여가 신체상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3), 101-113.
  •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19(1), 61-177.
  •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 588-606. [https://doi.org/10.1037/0033-2909.88.3.588]
  • Brunner, S. (1982).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Psychoanalysis and the Sociology of Gender.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
  • Cash, T. F. (1990). The psychology of physical appearance: aesthetics, attributes and images.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The Guilford press.
  • Cash, T. F. (1994).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Norfolk, VA: Old Dominion University.
  • Cash, T. F. (2004). Body Image: Past, present and future. Body Image, 1(1), 1-5. [https://doi.org/10.1016/S1740-1445(03)00011-1]
  • Higgins, E. T.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 319-340. [https://doi.org/10.1037/0033-295X.94.3.319]
  • Hu, L. T., & Bentler, P. M. (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4), 424-453. [https://doi.org/10.1037/1082-989X.3.4.424]
  •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