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교 재학생들의 여가교육 경험 및 필요성 인식과 여가태도,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cognition about leisure education, leisure attitude, leisure constraints and negotiation of educational university students. 4 educational universities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320 data was collected from 80 students in 4th grade at each university. 8 data was excepted because of missing answers, 312 data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6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 The leisure education experiences of educational university students were very low, and more than half recognize the necessity of leisure education. Emotional attitude was the highest factor and cognitive attitude was the lowest factor in leisure attitude of educational university students. Economic constraints were high and facility constraints were relatively low in leisure constraints. Intensity control strategy was the highest and efforts to acquire skill strategy was the lowest factor in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Keywords:
educational university students, leisure education, leisure experience, leisure cognition, leisure attitude,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키워드:
교육대학교 재학생, 여가교육, 여가경험, 여가인식, 여가태도,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Acknowledgments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4년 정부재원(교육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4S1A5B5A02017038).
References
- 강경진(2007). 주 5일제 시행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과 체육적 여가교육의 실태.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3(2), 1-14.
- 김경식, 황선환, 원도연(2008). 여가제약 협상 전략 척도의 개발과 적용. 한국체육학회, 47(3), 365-376.
- 김미향(2006). 현대여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여가교육의 적용. 한국체육학회지, 45(3), 401-409.
- 김지영, 이철원, 조방현(2006). '알찬 토요일 보내기'를 위한 주말 여가교육 패러다임 탐구. 한국체육학회지, 45(3), 425-433.
- 남랑균, 임수원(2005).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여가의식 조사 분석. 중등교육연구, 53(1), 395-414.
- 박효진(2012). 공교육에서 체육교과 내 여가교육 적용을 위한 중학생의 여가의식, 여가제약, 여가사회화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변영계(1993). 중고교 학생들의 학습기술 훈련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31(3), 21-36.
- 송재호, 김재운(2013). 초등교과서 여가활동 단원에 대한 교사 인식 및 만족도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7(4), 98-109.
- 신규리, 박수정, 김용석(2009). 체육교사의 여가교육 인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4), 233-243.
- 신규리, 박수정, 김용석(2010). 체육교사의 여가교육 인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4), 233-243
- 원형중, 이승민, 박수정(2007). 여가중심사회를 위한 여가교육. 한국체육학회지, 46(1), 617-626.
- 유정애(2009). 신지식 기반사회를 대비한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해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6(1), 1-18.
- 이문진, 김미량, 김동진(2006). 스포츠형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척도(LAS) 요인구조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45(2), 77-86.
- 이문진, 황선환(2012). 스키 참가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여가제약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3), 72-82.
- 이상호, 김동기, 2010). 창의적 체험활동지원을 위한 청소년 여가활동만족에 관한연구. 청소년행동연구, 15, 149-172.
- 이은실(2012). 초등학교 여가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한범(2011). 여가교육의 지향. 국민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논집, 29, 5-21.
- 지현진(2010). 교과과정 내 여가교육 실천을 위한 제언. 여가학연구, 7(3), 97-110.
- 하지연(2006). 여가사회화 척도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45(1), 161-173.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 7차 체육과 개정교육 과정 해설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만석, 김매이(2013). 여가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4, 661-673.
- 한만석, 김준성, 양도업(2014). 여가교육 실태에 관한 체육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6(1), 641-650.
- 황선환, 김매이, 박수정(2017). 국민여가활성화를 위한 여가교육정책 제안. 여가학연구, 15(3), 43-53.
- Hubbard, J., & Mannell, R. C. (2001). Testing competing models of the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process in a corporate employee recreation setting. Leisure Sciences, 23, 145–163. [https://doi.org/10.1080/014904001316896846]
- Iso-Ahola, S. E.(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Leisure and Aging. Dubuque, IA: WM. C. Brown Publisher.
- Ragheb & Beard(1982). Measuring Leisure Attitud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2), 155-167. [https://doi.org/10.1080/00222216.1982.11969512]
- Sacker, A., & Cable, N.(2005). Do adolescent leisure-time physical activities foster health and wellbeing in adulthood? Evidence from two British birth cohort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6(3), 331-335. [https://doi.org/10.1093/eurpub/cki189]
- Scott, D., & Willits, F.(1998). Adolescent and adult leisure patterns: A reassess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0(3), 319-330. [https://doi.org/10.1080/00222216.1998.11949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