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스포츠 참여자의 행복 결정요인: 위계적 회귀분석 적용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how to make the life happier through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based on the leisure behavior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original data of '2016 National Leisure Survey'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or the verification, SPSS 24.0 ver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ly the leisure time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first stage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n the second stage, the more leisure time, the lower the participation intensity of leisure sports, the more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ndex. In the third stage, the more leisure time, the lower the participation intensity of leisure sports,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ndex. In the fourth stage, the higher the leisure cost, the lower the participation intensity of leisure sports,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the more leisure - oriented lifestyle pursued, the more positive effect was on happiness. It was confirmed that relative influence is more important than the influence of each genetic, environmental, and intentional variables as a determinant of happiness.
Keywords:
Leisure sports, leisure time, leisure cost, participation degree,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oriented type, happiness, 2016 National Leisure Survey키워드:
여가스포츠, 여가시간, 여가비용, 참여정도, 여가만족, 여가중심형, 행복, 2016 국민여가활동조사References
- 곽선행(2010). 중년 여성의 스포츠참가와 LOHAS 성향,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삶의 질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21(3), 1368-1383.
- 곽재현, 홍경완(2017). 소득에 따른 여가 불평등: 여가시간·지출과 행복의 관계. 관광연구, 32(5), 293-309.
- 구교준, 임재영, 최슬기(2014). 소득과 삶의 역량에 따른 행복 결정요인 연구. 한국행정학보, 48(2), 317-339.
- 구재선, 서은국(2011).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143-166.
- 김경식, 이루지(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424-433.
- 김종숙, 오세숙, 윤소영(2016). 20-40대 직장여성의 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여가학연구, 14(4), 67-85.
- 김태성, 차지원(2010). 한, 일 정구 활동 참여자의 몰입경험, 여가만족, 생활만족,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4), 141-161.
- 김학수(2016). 한국스포츠, 엘리트-생활체육이 ‘윈윈’하며 모두가 행복한 스포츠 선진국으로. 한국체육학보, 103, 17-25.
- 김희정, 천혜정(2016). 1차 베이비붐세대, 2차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간 일 가치관, 여가 태도 및 은퇴준비행동 비교. 여가학연구, 14(3), 17-41.
- 남은영, 이재열, 김민혜(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6(5), 1-33.
-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6 국민여가활동조사.
- 민경선(2016). 한국인의 여가생활패턴과 삶의 만족도. 여가학연구, 14(3), 57-84.
- 박민정, 윤소영(2013). 근로자의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른 여가자원 이용 및 여가활동 비교분석: 2012년 국민여가활동 조사 결과를 기초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9-37.
- 박민정(2015). 중산층의 여가활동 특성 및 여가생활만족도와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바탕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121-142.
- 박현주(2018년 6월 5일자). 문체부, ‘휴식있는 삶’ 기본권,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확정. 뉴시스.
- 방신웅, 우효동, 황선환(2015). 과연 진지하고 전문화된 여가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9(1), 1-15.
- 신조황(2010). 노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웰니스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 윤소영(2010).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학연구, 8(1), 45-60.
- 이강재, 조성희, 김의경, 황선환(2017). 대한민국 국민의 여가행태와 행복지수와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추계학술세미나.
- 이국희, 최인철(2018). 일하고 놀까? 놀고 일할까?: 행복, 관계 그리고 여가 우선 선택. 여가학연구, 16(1), 29-53.
- 이명우, 홍윤미, 윤기웅(2016). 여가 활동이 국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30(2), 264-287.
- 이유진, 황선환(2018a). 통합체육회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수준에 따른 직무만족. 한국체육학회지, 57(1), 379-390.
- 이유진, 황선환(2018b). 가구소득과 여가시간에 따른 행복지수.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1), 86-96.
- 이철원(2001). 여가의 재해석. 서울:대한미디어.
- 장훈, 김우정, 허태균(2012). 여가참여 다양성과 행복의 관계: 여가시간 집중도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9(3), 21-38.
-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 최석호, 천혜정(2013). 한국사회 일과 여가의 변동 추이. 여가학연구, 10(3), 77-100.
- 최장호, 황주용(2014). 대학 교양체육 참여 학생의 여가유형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7(1), 105-114.
- 하제현, 김준(2014). 성별에 따른 스포츠 동아리 참가 대학생의 진지한 여가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3(3), 705-715.
- 한준(2015). 한국인 삶의 질의 사회적 결정요인. 국정관리연구, 10(2), 67-94.
- 한학진, 강혜숙, 오평석(2011). 직장여성의 여가활동 참여동기 요인과 여가활동특성이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6(5), 495-513.
- 현정혁, 홍준희, 이현영(2010).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행복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9(6), 161-171.
- Brajsa-Zganec, A., Merkas, M., & Sverko, I.(2011). Quality of Life and Leisure Activities: How Do Leisure Activities Contribute to Subjective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2(1), 81-91. [https://doi.org/10.1007/s11205-010-9724-2]
- Dhar, S., Dhar, D., & Dhar, S.(2013). The meaning of work: A study of future managers and technocrat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and Business Management, 18, 20.
- Easterlin, R. A. (1974). Dos economic growth improve the human lot? Some empirical evidence.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89, 89-125.
- Juster, F. T., & Stafford, F. P.(1990). The Allocation of Time: Empirical Findings, Behavioral Models, and Problem of Measurement.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29(2), 471-522.
- Lyubomirsky, S., Sheldon, K. M., & Schkade, D.(2005).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2), 111-131. [https://doi.org/10.1037/1089-2680.9.2.111]
- Robinson, J., & Godbey, G.(1997).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State Colleg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 Sheldon, K. M., & Lyubomirsky, S.(2007). Is It Possible to Become Happier? (And If So, How?).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1(1), 129–145. [https://doi.org/10.1111/j.1751-9004.2007.00002.x]
- Tay, L., Kuykendall, L., & Diener, E.(2015).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bright side of quality of life. In W. Glatzer (ED.), Global handbook of quality of life. New York: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94-017-9178-6_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