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박람회 참여노인의 이벤트방문 태도와 지역사회 환경 만족 및 여가 인식의 구조적 관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ttitude of local event,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eisure awareness by the elderly.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215 local elderly lived in the Gyeonggi-do visited in Elderly Health Expo of KINTEX.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th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IBM SPSS 21.0 and AMOS 2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that casual relation of attitude of local event, community environ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verifies as suitable model. Second, the attitude of local event affected to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eisure awareness positively and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influenced to leisure awareness effectively. The study suggests that participation of health care event in elderly is related to their interest and enjoyment about health care. Moreover, it has actual messages on interest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present Korean age that participation of health care event in elderly is related closely among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eisure awareness through structure relationship method.
Keywords:
elderly, attitude of local event,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leisure awareness키워드:
노인, 이벤트방문 태도, 지역사회 환경 만족, 여가 인식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국내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의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2017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13.6%로 집계되었다. 이는 국제신용회사인 무디스(2015)에서 예측한 2018년 국내 노인인구가 14%로 고령 사회(Aged Society)가 도래할 것이라는 전망보다 빠르게 고령화의 속도가 심화되고 있다. 이 같은 전망 속에서 머지않아 노인 인구 비율은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한 인간이 일생을 건강하게 보낼 수 있는 기간은 단 65세에 그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뉴시스, 2015). 따라서 현대 사회의 노인의 화두는 그저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으로 전환되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오영삼, 노은영 및 양찬미, 2010; Leitner and Leitner, 1996). 즉, 노인 인구의 관심사가 건강과 여가에 맞춰지면서 이와 관련된 이벤트가 급증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개발과 경제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축제 및 관람 프로그램 개발 촉진전략을 내세우고 있다(김병국, 김보현, 2012). 구체적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만의 고유한 재화나 관광지를 방문객들에게 관광 상품화함으로써 지역 이미지의 개선, 문화교류 및 관광수입 등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대대적으로 지역 이벤트와 관광지에 관해서 적극적인 홍보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2014)에 의하면, 현재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축제이벤트의 규모는 약 1,200개로 그 수는 과거보다 비약적으로 성장하였다. 이 가운데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이벤트는 전시회, 예술 관람회 및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첨단 기술과 장비를 동원한 박람회까지 다양하다. 최신 트렌드를 접목한 축제 및 이벤트는 노인의 관심과 호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예를 들어, 응급콜, 재활로봇과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VR(Virtual Reality)과 자신의 위치를 토대로 3차원의 배경과 환경 등을 한 눈에 보여주는 AR(Augmented Reality) 등의 첨단기술 관련 이벤트는 노인의 호응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축제 상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노인의 축제 및 이벤트 참여에 관한 연구(오영삼, 노은영 및 양찬미, 2010; 이재달 및 류정섭, 2016; 이징연, 2002)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벤트방문 태도란, 축제에 참여한 방문객이 축제 현상에 대해서 느끼는 호의적 감정 또는 비호의적인 반응을 말한다. 지금까지 노인의 축제 및 이벤트에 관련하여 선행된 연구들은 주로 지역축제 및 전통축제 참여에 관해서 연구를 통해 분석되었다.
특히, 이징연(2002)은 노인을 주체로 한 지역축제의 활성화는 노인으로 하여금 건강에 유익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영향은 곧 지역 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의식과 고착심과 같은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해주는 계기가 되어준다고 분석한 바 있다. 그리고 오영삼, 노은영 및 양찬미(2010)는 축제는 노인의 여가활동을 지속시키며 사회활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유발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축제 및 이벤트 참여를 통해 노인 스스로 여가생활에 대한 목표의식을 수립하고 긍정적인 여가생활을 구축하고 있다. 아울러 이재달 및 류정섭(2016)의 연구에서도 노인의 지속적인 지역축제 참여는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감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발적인 능력을 증진하는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노인의 이벤트방문 태도와 여가 인식에 대해서 다룬 선행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김종상, 손영민(2014)의 연구는 도시지역 거주자의 지역관람 참여는 기존 생활양식에 대한 일탈감과 새로운 향수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주는 것에 대해 지적하였다. 남성호(2015) 역시 지역 재화에 대한 방문객의 긍정적인 참여는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감과 애호도에 도움을 준다고 언급하였다.
그 밖에도 이용관 및 김혜인(2014)의 연구에서는 지역민을 위한 지역축제의 적극적인 홍보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은 지역민 자신의 여가선용과 지역 이미지 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된 바 있다. 그러나 이훈(2005)의 연구에서는 지역 이벤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거주민들은 자신의 생활양식과는 별개로 여가 인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정보력이 떨어져 지역 행사참여에 대해 다소 비우호적인 경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지역에서 주최하는 축제 및 이벤트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노인에게 있어 지역사회는 이벤트가 개최되는 지역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지역사회 환경 만족은 자신이 속해있는 지역과 관련하여 구성된 특성에 대한 만족감으로 지역 환경 만족과 여가 인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박종천(2010)은 효율적인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정책이 노인에게 적극적인 여가생활을 영위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하였다. 김은재(2011)의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노인은 자신에게 스스로 필요한 운동 및 여가활동을 즐기려 하며 이는 곧 자기 삶의 질과 사회적인 지위와 역할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보았다.
그 밖에도 박성자(2007)의 연구에서도 노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의 효율적인 정책과 환경은 노인의 삶의 질과 여가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즉,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지역 환경에 대한 만족감은 노인의 여가 인식을 향상시켜 여가선용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곽용환, 서철현 및 김병국, 2012; 김철원, 서현숙 및 이태숙, 2012; 윤상영, 2007; 채영남, 2008).
이처럼 노인과 이벤트, 지역사회 환경 만족, 여가 인식과 관련된 연구결과들이 부재한 것은 아니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노인의 지역사회 환경과 여가 인식을 연계해 고찰한 연구는 부재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이벤트방문 태도, 지역사회 환경 만족 및 여가인식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노인 인구의 현실적 관심사인 건강과 여가를 반영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고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가설 1.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이벤트방문 태도는 지역사회 환경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지역사회 환경만족은 여가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이벤트방문 태도는 여가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고양시의 킨텍스(KINTEX) 노인건강박람회를 방문한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총 223명을 표집하였다. 연구자는 노인 이벤트가 개최되는 곳에 한 달 전에 방문하여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시기에 킨텍스 노인박람회 관계자로부터 설문조사와 관련된 사항을 설명하고 협조와 승인을 받았다. 노인박람회가 진행되는 기간에 걸쳐 연구자 및 동료 조사원들은 연구대상자가 노인이라는 점을 고려해 설문을 통한 참여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6년 11월 3, 4일, 1월 20일 등 총 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한 223개의 자료 중 불성실하거나 미응답된 자료 8부를 제외한 총 215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예비조사는 실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표집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2. 측정변인
이 연구에서는 노인 건강박람회 참여자를 대상으로 건강박람회 이벤트 태도의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Mohr, Backman, Gahan & Backman(1993)이 제작하고 강미희(1999)가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하고 번안한 척도를 여가학교수 1인과의 전문가 협의를 통해 이 연구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축제에 대한 호의성 및 분위기에 관한 1개의 단일요인으로 총 8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주요문항내용은 ‘참여한 노인 박람회에 호의적으로 인식한다’, ‘참여한 노인 박람회를 타인에게 추천할 의도가 있다 ’, ‘참여한 노인 박람회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등이다.
각 문항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인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이벤트방문 태도에 대한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단일요인 1문항에서 낮은 요인부하량이 나타나 해당 항목을 제거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벤트방문 태도의 모델적합도 지수는 x²=17.317, df=8, p=.027, Q=2.165, TLI=.982, CFI=.993, RMSEA=.074으로 전반적으로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문항의 표준화 요인부하량은 .662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별 AVE, CR,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여 <표 2>에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에서 AVE값 .5, CR값 .7이상으로 나타나 집중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Cronbach α 계수도 .7이상으로 나타나 적합한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 건강박람회 참여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환경 만족의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송태수(2003)와 김근홍, 김효정, 신현석, 서문진희, 송지원(2014)의 지역사회 환경 만족척도를 여가학 교수 1인과의 전문가 협의를 통해 이 연구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요인은 심리환경 만족 1개의 단일요인으로 총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문항내용은 ‘내가 사는 지역은 주민간의 문제가 있다’, ‘내가 사는 지역은 환경문제에 처해있다’ 등이다.
각 문항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인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이벤트방문 태도에 대한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단일요인 1문항에서 낮은 요인부하량이 나타나 해당 항목을 제거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역사회 환경 만족의 모델적합도 지수는 x²=11.712, df=5, p=.039, Q=2.342, TLI=.973, CFI=.994, RMSEA=.079로 전반적으로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항의 요인부하량은 .733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별 AVE, CR,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여 <표 2>에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에서 AVE값 .5, CR값 .7이상으로 나타나 집중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Cronbach α 계수도 .7이상으로 나타나 적합한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 건강박람회 참여자를 대상으로 여가 인식의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김희정(1999)의 여가 인식 척도와 김귀순(2003)의 여가 태도 및 여가 참여 의사에 관한 설문을 여가학 교수 1인과의 전문가 협의를 통해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2개의 하위요인으로 포괄적 관점 7문항, 시간적 관점 3문항이며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문항내용은 ‘자신의 여가활동은 자유시간이다’, ‘여가활동은 삶의 질을 향상시켜준다’, ‘여가활동은 자기계발을 위한 시간이다’ 등이다.
각 문항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인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하위요인인 포괄적 관점 3문항에서 낮은 요인부하량을 보여 해당 항목을 제거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가 인식의 모델적합도 지수는 x²=32.245, df=13, p=.002, Q=2.480, TLI=.971, CFI=.982, RMSEA=.083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안정된 값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문항의 표준화 요인부하량은 .813~.875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별 AVE, CR,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여 <표 2>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각 하위요인에서 AVE값 .5, CR값 .7이상으로 나타나 집중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Cronbach α 계수도 .7이상으로 나타나 적합한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자료처리방법
2인 1조의 코딩작업을 통해 최종 분석 자료를 SPSS 21.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에 참여한 노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수집된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AVE, CR,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단일차원성이 확인된 각 요인의 관련성 및 다중공선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분석을 통해서 노인의 이벤트방문 태도, 지역사회 환경 만족 및 여가 인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변인 간의 경로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Ⅲ.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이 연구에서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요인의 관계를 검증하고, 모형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표 3>에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김계수(2007)가 제시한 요인 간 측정값은 .80 이하이므로 다중 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각 변인은 상호 독립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2. 측정모형 검증
구조모델을 분석하기 전에 측정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Hu & Bentler(1999)에 따르면TLI 및 CFI 지수는 .90 이상을, 요인 간 측정값인 RMSEA 지수는 .80 이하를 정상적인 모형의 기준으로 규정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x²=179.120, df=84, p=.000, Q=2.132, TLI=.948, CFI=.961, RMSEA=.073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수용할만한 모델로 판단하였다. 또한 표준화 요인부하량은 .662∼.87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된 측정모델은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구조모델 검증을 실시하였다.
3. 구조모형 및 가설 검증
이 연구에서는 노인 건강박람회에 참여한 노인의 이벤트방문 태도, 지역사회 환경 만족 및 여가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그림 1>과 <표 4>에서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구조모형에 설정된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가설 Ⅰ “이벤트방문 태도는 지역사회환경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정(+)의 영향으로 채택되었다(경로계수=.188, t=2.372, p<.05).
둘째, 가설 Ⅱ “지역사회 환경 만족은 여가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정(+)의 영향으로 채택되었다(경로계수=.407, t=2.514, p<05).
셋째, 가설 Ⅲ “이벤트방문 태도는 여가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정(+)의 영향으로 채택되었다(경로계수=.362, t=2.050, p<.05).
Ⅳ. 논의
이 연구는 건강박람회 이벤트 노인참여자의 이벤트방문 태도, 지역사회 환경 만족과 여가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 검증을 통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건강박람회 참여자의 이벤트방문태도가 지역사회 환경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이벤트방문 태도는 지역사회 환경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이벤트에 참여하는 노인의 긍정적인 이벤트방문 태도는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환경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지역 이벤트에 참여한 노인이 긍정적으로 인식한 방문 태도는 자신이 속해있는 지역의 만족감, 고취심 및 지역 소속감 등을 우호적으로 느끼게 해준다는 연구결과(서유미, 범성훈, 윤희민 및 장인석, 2006; 정순오, 2007)와 일치하여 가설 1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용승(2015)의 연구에서는 이벤트의 품질성과 관람객의 만족이 높을수록 지역, 거주민 및 정부 간의 관계성이 향상되어, 이는 결국 자신이 속한 지역 정체성을 더욱 고취하는 계기가 되어준다고 언급하였다. 이 밖에도 김한주(2014)의 연구에서는 지역 박람회 참여 노인의 이벤트에 대한 높은 매력성과 호응도는 지역자치시설에 대한 만족감과 지역사회에 대한 자긍심을 향상시키게 해준다고 언급하였다. 즉, 지역이벤트 참여는 노인방문자로 하여금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우호성과 정체성을 고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추후 개최되는 축제 및 이벤트에서는 지역 참여자 활성화 방안을 일반인뿐만 아니라 지역 노인에게도 적용할 필요성이 있겠다. 이에 대해 이징연(2002)은 노인이 지역 이벤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전통성, 제의성 및 시민성 등을 고루 갖춘 지역 이벤트가 진행되어져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그 밖에도 축제 측과 지자체에서는 노인 구성원 간에 활발히 공유할 수 있는 홍보 방안을 설립하여 진행해야할 것이다.
둘째, 노인 건강박람회 참여자의 지역사회 환경 만족이 여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노인 참여자의 지역사회 환경 만족은 여가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거 선행연구들(남성호, 2015; 윤형숙 선영란, 2010; 이용관, 김혜인, 2014)에서도 이미 증명된 바 있다. 노인들은 지역 이벤트 참여를 통해 인식하게 되는 시설 환경에 대한 안정성과 호의성은 노인이 삶에 대한 만족감과 사회활동의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객관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Toseland, R., & Rasch, J, 1978). 또한, 고재욱(2012)의 연구에서는 노인의 활발한 여가 및 문화 활동과 같은 지역참여활동은 노인의 사회적 발달과 여가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언급하였다. 즉, 지역 노인의 우호적인 이벤트참여는 지역에 대한 만족감과 사회 및 여가 경향성의 함의점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파악된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공동체 활동은 지역 환경에 대한 우호성과 타인과의 상호관계를 증진하고 이는 곧 자신의 노후계획에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적 노인들의 특성의 차이가 나타난 결과로 추후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되어진다.
한편, 이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도 밝혀진 바 있다. 부숙진(2008)은 노인들은 지역에서 개최하는 축제 및 이벤트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편이지만, 경제적인 영향과 불완전한 건강상태로 인해 축제 참여 및 여가활동에 큰 제약을 두게 된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이재달 및 류정섭(2014)의 연구에서도 지역 축제 방문객의 높은 편의시설 만족도는 방문객의 여가 만족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지역노인들은 지역에 대한 높은 애착감과 호의성을 높게 인식하여도 지역에서 제공하는 편의성, 차별성 및 매력성 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으며, 이는 곧 참여의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셋째, 노인 건강박람회 참여자의 이벤트방문 태도가 여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호의적인 이벤트방문 태도는 여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 축제에 참여한 노인의 긍정적인 이벤트방문 태도는 자신의 다양한 경험과 활동 의지를 증진시키고 다양한 사람 간의 사회교류를 활성화한다는 연구결과(오영삼, 노은영 및 양찬미, 2010; 윤혜진, 김철원, 2009)와 일치하고 있어 가설 3의 결과를 직접 지지하고 있다. 또한, 김정옥 및 엄인숙(2007)의 연구는 노인의 만족적인 지역 활동과 이벤트 참여는 여가선용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어준다고 언급되었다.
이처럼 노인의 긍정적인 이벤트참여는 자신의 여가선용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며 타인과의 상호교류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미 오영삼, 노은영 및 양찬미(2010)는 노인에게 축제의 효과란 사회적 약자층이며 여가활동 참여율이 낮은 노년층들이 쉽게 느낄 수 있는 무료, 무망감 및 우울감 등의 부정적 심리상태와 노년 시기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미래지향적인 노년 생활을 계획하고 영위할 수 있는 동기를 유발한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긍정적인 이벤트방문 태도는 자신의 여가선용 및 활동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선행연구들과의 결과들에 의해서 지지 되고 있다. 즉, 지역 지자체에서는 실용적인 재화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노인들의 눈높이에 맞춘 이벤트를 권장해야 할 것이며, 이와 연계하여 생활스포츠를 적극적으로 장려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영향은 곧 노인들에게 사회참여를 도모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은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최근 노인 인구의 관심사가 건강과 여가에 맞춰진 추세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은 노인세대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로써 주목된 바 있고, 여가는 오늘날 부상한 새로운 관심사로 볼 수 있다(박세경, 2010). 이 두 가지 관심사를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바로 노인을 위한 이벤트이다. 건강박람회와 같이 노인 인구의 관심사를 잘 충족시킬 이벤트의 개최는 이벤트 방문으로 확인할 수 있다(김병국 및 김병현, 2012; 김철원, 서현숙 및 이태숙, 2012; 오영삼, 노은영 및 양찬미, 2010). 따라서 지역사회의 노인을 중심으로 개최된 이벤트는 지역사회 환경만족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 인식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이벤트는 단순히 참여자의 태도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한국사회 노인의 이벤트방문 태도와 지역사회 환경 만족, 여가 인식을 확인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노인은 지역 이벤트 참여를 통한 호의성 및 적극성은 지역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만족감을 객관화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는 자신의 여가선용 및 사회교류의 필요성을 형성하는 데 크게 이바지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연구결과에서는 노인은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심과 참여의식이 높아도 노인의 특성상 비용에 대한 부담감과 장시간 야외활동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사회참여와 같은 여가활동 참여의사에 관해서는 감소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도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노인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자체에서는 노인의 눈높이와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노인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기업체와의 연계방안을 모색하여 노인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여가 콘텐츠와 지역축제 이벤트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영향은 곧 노인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며, 노인들의 긍정적인 여가선용에도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의 킨텍스 전시장에서 개최된 노인박람회에 방문한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이벤트 방문 태도, 지역사회 환경 만족 및 여가 인식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수집된 자료 223부 중 오류 설문지 8부를 제외한 총 215부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이벤트방문 태도는 지역사회 환경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이벤트에 참여한 노인의 호의적인 인식은 자신의 지역사회에 호응도와 만족 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둘째,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지역사회 환경만족은 여가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환경에 대한 노인의 높은 호의성은 자신의 사회 및 여가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객관화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노인 이벤트 참여자의 이벤트방문 태도는 여가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 이벤트에 대한 노인의 긍정적인 태도는 노인의 여가선용과 사회활동의 필요성을 고취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을 근거로 이 연구의 한계를 언급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경기지역의 노인으로만 연구 대상을 한정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조사의 범위를 확대한다면 새로운 논의거리를 내재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를 들어, 여가활동에 빈번히 참여하는 노인 이벤트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실증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노인과 관련된 축제 및 이벤트 관련 연구는 주로 질적 연구만이 빈번하게 선행되었다. 특히 노인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필요한 실정이므로 다양한 변인 간을 관계로 한 양적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노인만을 대상으로 한 축제 및 이벤트와 서비스 품질 및 여가활동과 관련된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종단적 접근법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노인의 개인 및 사회문화적 특성을 기간별로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 강미희, (1999), 생태관광객의 여행 동기 및 태도 : 척도구축과 관광객유형별 비교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곽용환, 서철현, 김병국, (2012), 지역축제가 지역주민의 인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5(8), p3127-3144.
- 김근홍, 김효정, 신현석, 서문진희, 송지원, (2014), 중·고령자의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0, p53-81.
- 김귀순, (2003), 餘暇認識, 態度, 參與 및 滿足間의 影響關係,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 김계수, (2007), Excel 2007을 이용한 통계분석, 한나래.
- 김병국, 김병현, (2012), 지역축제 속성이 방문객 만족과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송 사과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5(2), p1139-1152.
- 김은재, (2011), 일개 지역사회 노인의 여가생활과 삶의 질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김정옥, 엄인숙, (2007), 노인의 여가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5(4), p29-42.
- 김종상, 손영민, (2014), 축제 체험의 여가 기능적 고찰,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4(1), p1-21.
- 김철원, 서현숙, 이태숙, (2012),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축제영향 요인 인식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지, 26(6), p119-139.
- 김한주, (2014), 지역축제 매력성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지역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 동래읍성 역사축제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2(2), p203-210.
- 김희정, (1999), 여가 인식이 여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 고재욱, (2012), 노인의 여가ㆍ문화 활동을 통한 사회참여 활성화 방안,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2(1), p27-40.
- 권수현, (2014), 정부의 문화관광축제 선정 지원요인이 지역발전 기대감과 지역주민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남성호, (2015),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이 방문객의 여가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양평 산수유 한우 축제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 뉴시스, (2015), 노인 세대의 변화.
- 무디스, (2015), 2015년도 경제전망조사.
- 문경진, (2015), 축제 이벤트 체험요인이 축제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내·외국인 참가자 비교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문화체육관광부, (2014), 갈 곳 많은 10월, 1200개 문화행사, http://www.culture.go.kr.
- 박세경, (2010), 건강박람회 2010의 추진 방향, 보건복지포럼, 163, p6-15.
- 박성자, (2007), 도시근교 농촌지역 노인들이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고나한 연구 : 경산시 근교 농촌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 박종천, (2010), 고령화 사회 노인 여가활동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부숙진, (2008), 국제사회 축제개최 지역주민의 축제 효과요인 인식이 축제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보령시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2(3), p567-588.
- 서유미, 범성훈, 윤희민, 장인석, (2006), 지역축제 바로잡기 : 지역축제의 경제적 효과를 중심으로, 經友論集, 37, p125-152.
- 송태수, (2003), 지역사회내 생활환경의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2), p63-78.
- 이용관, 김혜인, (2014), 지역 문화·관광 역량에 따른 축제의 집객 효과 분석, 문화정책논총, 28(2), p154-172.
- 이징연, (2002), 대구시 전통축제 놀이의 활성화를 통한 노인건강 증진방안, 대구보건대학 학회지, 22, p143-158.
- 이재달, 류정섭, (2014), 지역축제 방문객 충성도의 계량적 종단연구: 개천예술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국제지역연구, 18(4), p321-340.
- 이태희, (2002), 관여도 수준에 따른 지방축제 관광객시장 세분화 방법 비교 연구, 관광학연구, 26(1), p135-148.
- 이훈, (2005), 왜 지역축제에 참가하지 않는가? : 비참여자의 장소애착도와 여가제약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연구, 8(1), p31-47.
- 오영삼, 노은영, 양찬미, (2010), 노인 축제참여경험과 여가활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근거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9, p145-168.
- 윤상영, (2007),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가 사회적 지원, 운동만족 및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 윤형숙, 선영란, (2010), 관광과 음식축제, 지역정체성, 민족문화논총, 44, p325-350.
- 윤혜진, 김철원, (2009), 축제 만족도가 가족주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화 과정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3(2), p119-138.
- 지용승, (2015), 지역축제 품질 인식에 따른 축제 성과인식과 지방정부-시민 관계성 연구 : 지역시정관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2, p275-300.
- 정순오, (2007), 지역축제의 사회적 함의와 추진전략 : 한밭선비축제의 사례, 韓國地域開發學會誌, 19(4), p227-248.
- 채영남, (2008), 지역사회의 여가, 문화문제와 교회의 대처방안, 교회사회사업, 8, p93-118.
- 행정안전부, (2017), 주민등록인구통계, www.mois.go.kr.
-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p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 Leitner, M. J., and Leitner, S. F., (1996), Leisure in later life, Binghamton, NY, Haworth Press.
- Mohr, K., Backman, K. F., Gahan, L. W., & Backman, S. J., (1993), An investigation of festival motivations and event satisfaction by visitor type, Festival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1(3), p89-97. [https://doi.org/10.3727/106527093792337619]
- Toseland, R., & Rasch, J., (1978), Factors contributing to older persons' satisfaction with their communities, The Gerontologist, 18(4), p395-402. [https://doi.org/10.1093/geront/18.4.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