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에 따른 여가일치성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gru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using data from the 2023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Key findings include: First, Leisure congruence positively influences leisure satisfaction, with higher alignment between desired and actual activities leading to greater satisfaction. Second, Age moderates this relationship, as younger individuals experience stronger positive effects from leisure congruence, while older individuals show weaker or negative effects. Third, Conditional effects reveal that leisure congruence has minimal impact for younger adults but decreases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particularly those aged 70 and above.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age-sensitive leisure programs. Younger individuals benefit from autonomy and diverse leisure options, while older adults require programs addressing activity quality, accessibility, and life-stage constraint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ailoring leisure strategies to different age groups for improved satisfaction and well-being.
Keywords:
leisure congruence,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type, age moderation키워드:
여가일치성, 여가만족, 여가활동 유형, 연령References
- 강상훈, 권영현(2021). 여가활동만족도에서 여가시간, 여가비용과 거주지의 영향: 2018 대구사회 조사 사례. 호텔관광연구, 23(1), 50-59.
- 강혜영, 정익중(2022). 놀이 및 여가활동 만족도가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학교급 차이. 한국아동복지학, 71(3), 61-90.
- 고동우(2008). 여가활동 일치유형에 따른 여가태도와 여가경험의 차이 비교. 관광학 연구, 32(1), 293-314.
- 김경식, 이루지 (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 정도와 여가만족의 관계: 활동 빈도, 비용, 시간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0(1), 33-45.
- 김보람, 김매이(2021). 여가활동 참여 베이비부머세대의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 결정요인. 여가학연구, 19(3), 71-91.
- 김양례(2009).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행복한 삶의 차이. 한국스포츠학회지, 27(3), 25-37.
- 김종순, 오세숙, 윤소영(2016). 20-40 대 직장여성의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여가학연구, 14(4), 67-85.
- 김지은, 이영준, 오세이(2022). 스쿠버다이버의 여가만족이 여가비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1(4), 289-302.
- 김진영(2007).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한국사회학, 41(3), 127-153.
- 김현나(2014). 재능기부 자원봉사의 여가적 의미와 가치 탐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3), 54-65.
- 남은영, 이재열, 김민혜(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6(5), 1-33.
- 남은영, 최유정(2008).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격차. 한국인구학, 31(3), 57-84.
- 문화체육관광부(2021). 2021 국민여가활동조사결과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 민경선(2020). 노인의 여가생활 특성과 여가자원이 여가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3), 45-57.
- 박광호, 이승연, 김진원(2020). 대학생들의 COVID-19 전후 여가변화와 여가동기 및 건강신념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3), 69-86.
- 박인아(2022). 노인의 경제활동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건강을 통한 여가시간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7(4), 143-165.
- 박재성(2012).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활동 불 평등의 관계. 공공사회연구, 2(특별), 52-80.
- 손성민, 곽성원, 김형민(2022). 독거노인의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6(6), 283-290.
- 신규수(2012). 우리나라 중고령층의 사회계층에 따른 여가사용의 불평등. 한국노인학회, 2012(1), 2-14.
- 이명우, 홍윤미,윤기웅(2016). 여가 활동이 국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30(2), 264-287.
- 이민석, 이철원(2017). 진지한 여가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 56(1).
- 이진희, 이상희, 허진무(2020). 진지한 여가로서의 성인 발레 참여경험과 삶의 질.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4(2), 65-88.
- 임영신, 김매이(2024). 노년기의 여가목적, 여가만족 및 행복:‘시간보내기’여가목적을 중심으로 한 예측요인 탐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8(1), 17-29.
- 임진선(2010).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여가 일치성과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가족관계의 차이 분석. 여가웰니스학회지, 1(2), 41-48.
- 조명희, 허준수(2020). 규칙적인 여가활동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4), 77-91.
- 조미라(2016). 여가시간 불평등 연구. 한국인구학, 39(1), 29-57.
- 황혜선, 이윤석(2021). 노인 1 인가구의 여가활동유형 및 여가동반자 유형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의 탐색. 보건사회연구, 41(4), 88-107.
- Beard, J. G., Ragheb, M. G(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https://doi.org/10.1080/00222216.1980.11969416]
- Godley, J. and L. McLaren(2010). “Socioeconomic factors and Body Mass Index in Canada: Exploring Measures and Mechanisms.” Canadian Review of Sociology. 47, 381-403. [https://doi.org/10.1111/j.1755-618X.2010.01244.x]
- Greenbie, S. (1940). Leisure for living N. Y. : George W. Stew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