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No. 4, pp.29-42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Dec 2024
Received 31 Oct 2024 Revised 05 Dec 2024 Accepted 10 Dec 2024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4.6.48.4.29

남성 TV 스포츠 시청자의 디지털전환 체감, 디지털전환 삶의 영향력, 정보검색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김종순1 ; 연분홍2
1경기대학교 연구교수
2경기대학교 겸임교수
A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ensory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transformation’s impact on life, and ability of information search of male TV sports viewers
Kim, Jong-Soon1 ; Yoen, Boon-Hong2
1Kyonggi University
2Kyongg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Yoen, Boonhong E-mail: pink6066@naver.com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t to analyze the degree of influence of such factors as male TV sports view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ir cognition about new technology and its impact, their ability to utilize smart devices and their concern over privacy infringement of information, aforementioned factors that could impact their sensory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transformation’s influence on their life, and their ability of information search.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of Korea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in 2023 and assessed 392 male viewers watching sport on classic TV. The analysis method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ir sensory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were the level of their recognition of new technology and its impact. Secondly,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degree of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their life were the level of their recognition of new technology and of its impact in order, and their income level. Thirdly,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ir ability of information search were their level of privacy concern, their ability of utilizing smart devices, the level of their recognition of new technology, and the degree of their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new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in understanding of male TV views of sport and in planning digital transformation of TV sport content.

Keywords:

TV sports viewers, sensory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transformation’s impact on life, ability of information search

키워드:

TV스포츠시청자, 디지털전환 체감, 디지털전환 삶의 영향력, 정보검색역량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0S1A5B5A16082842)

References

  • 강진숙(2002). 인터넷 네트워크의 정보격차 현황과 대응정책 연구: 미국과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6(4), 5-45.
  • 구윤희, 안지수, 노기영(2020). 미세먼지 위험인식이 위험정보 처리와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형의 적용. 한국방송학보, 34(1), 5-28.
  • 김구(2014). 한국에서 정보격차와 사회적 배제의 관계에 관한 팀색적 비교 분석.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2), 61-88.
  • 김문조, 김종길(2002). 정보격차 (Digital Divide) 의 이론적ㆍ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 36(4), 123-155.
  • 김병수, 김대길(2019). 소셜 미디어에서 개인 식별정보와 사생활 정보 공유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7(11), 127-136.
  • 김영욱, 김영지, 김수현(2018).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 정보 추구 및 처리 연구: 정보원 신뢰도, 행동에 대한 태도, 인지된 정보 수집 능력의 조절효과 중심: 정보원 신뢰도, 행동에 대한 태도, 인지된 정보 수집 능력의 조절효과 중심. 한국언론학보, 62(5), 72-106.
  • 김창호(2021). 디지털 전환인식이 디지털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COVID19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산업융합연구, 19(2), 1-10.
  • 김진표, 박성진, 김보겸, 공성배. (2012). 청소년들의 스포츠 TV 시청몰입이 시청만족 및 시청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5), 197-206.
  • 김혜숙, 차현진, 김현진, 한나라(2023).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1), 579-595.
  • 니에신위, 경성림(2022).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20(5), 23-29.
  • 문영환, 홍아름, 황준석(2017). 이용자의 성격특성과 접근성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18(2), 33-64.
  • 문화체육관광부(2023). 2023년 국민여가활동조 사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 류성진. (2024). 미디어기기 이용역량과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비판적 이해 역량으로서 정보 분석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 독립변수 vs. 매개변수로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역할 규명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8(3), 35-84.
  • 배정원(2017.11.07.). 밀레니얼 세대, TV보다 앱 유튜브로 스포츠 관람. 아이있는 여성 공략하고, 소셜미디어로 홍보해야. 이코노미조선. https://economy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07/2017110700000.html
  • 박세진, 청동필, 류찬하(2024). 특허정보를 통한 디지털 정보격차 기술 국가별 동향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4(7), 34-49.
  • 박안선(2022). 디지털 전환 개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3-4.
  • 박예종, 이슬기(2024).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분석: 인공지능 규제와 기술,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21(2), 161-200.
  • 방영석, 이동주, 안재현(2009).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경영정보학연구, 11(2), 91-111.
  • 변혜민, 심정원(2024). TV 가상광고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시청방해와 맥락일치성의 조절효과.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5(3), 229-275.
  • 서형준, 명승환(2016). 국내 정보격차연구 동향: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9(4), 151-187.
  • 손재만(2023). Sports Digitalization: 경기, 학문, 관람 및 피트니스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한국스포츠학회지, 21(2), 221-230.
  • 송영근, 박안선, 심진보(2022). 디지털전환의 개념과 디지털전환 R&D의 범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보고서, 1-45.
  • 송지준(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 신명환, 이성진, 최현정(2022).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유형과 평가. 주관성연구, 30, 59-49.
  • 심미선 (2022). 미디어메시지 리터러시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116, 38-76.
  • 안창현(2024). 日,'2024 파리올림픽'중계방송 시청률 급감-소셜미디어와 동영상 전송서비스 보급으로 젊은 층 중심 TV 이탈 가속 확인. 해외방송정보, 2024(9), 4-10.
  • 안춘모(2022). 디지털 전환에 따른 디지털 역량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253-1254.
  • 엄사랑, 신혜리, 김영선(2020).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 중년층과 고령층의 차이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3(2), 171-202.
  • 오지영, 박지원, 박소정(2022).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ODA 정책연구, 22(2), 1-100.
  • 유협, 김도균, 한진욱(2008). 미디어 스포츠의 디지털화와 시청의도의 관계: 이성적 행동이론의 적용.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743-753.
  • 윤현경(2023). 베이비붐 세대의 스마트기기 이용과 정보검색 이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4(3), 219-227.
  • 이동현. (2004). 청소년의 TV 스포츠 시청이 스포츠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체육학회지, 14(2), 41-50.
  • 이민상(2020). 디지털격차의 지식격차에 대한 영향연구-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지식격차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6(2), 119-143.
  • 이석준, 유효정, 김나형, 최영진(2021). 수용성 관점에서의 디지털 전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정보기술아키텍처 연구, 18(2), 181-197.
  • 이원태, 손상영, 문정욱, 강민성, 김서용(2018).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수용성 모형 개발 및 결정요인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기본연구, 18(8), 1-259.
  • 이준호, 이영주(2024). 스포츠 예능프로그램의 재시청과 스포츠 참여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8(5), 53-65.
  • 이지훈, 강준모, 이정숙(2020). 인터넷 미디어 활동에 따른 소비자 혁신성 유형이 프라이버시침해 우려성에 대한 고(High)집단과 저(Low)집단 간의 비교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193-202.
  • 이하나, 정세훈(2023). 정보 이용 능력과 정보 탐색행동의 관계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언론학보, 67(5), 5-45.
  • 이해수, 이모란(2024). 누가 생성형 AI를 이용하는가? : 인구사회학적 변인,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전환인식을 중심으로. 경영정보학연구, 26(3), 377-394.
  • 이현주, 김남화, 김의현, 한여민, 신혜리, 김영선(2024). 고령자의 스마트 기기 활용 여가활동 여부와 삶의질 관계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8(2), 91-111.
  • 임문선, 정남호(2024).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 프라이버시 우려가 정보의 비판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 보호동기 이론과 감각추구 성향의 적용.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4(4), 1-25.
  • 정선영. (2013). 어머니의 취업이 청소년 자녀의 비만 및 과체중에 미치는 영향-TV 시청과 인터넷 이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41, 39-66.
  • 정용찬, 김윤화, 오윤석(2023). 2023 한국미디어패널조사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조원호, 장원용(2024). OTT 스포츠 중계방송 콘텐츠 특성과 시청 행동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8(2), 31-40.
  • 조예진(2024). OTT 서비스 특성이 OTT 서비스의 이미지, 만족 그리고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22(3), 99-110.
  • 진현창, 윤한성(2011). 지상파 TV방송의 디지털전환을 위한 지자체 및 CATV 방송사의 역할: K지역 CATV방송사의 추진사례를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27(4), 137-164.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s://terms.tta.or.kr/dictionary/searchFirstList.do
  • 한의진(2023). 대학생들의 해외여행 위험인식이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해외여행 사전지식의 조절효과. 문화융복합, 4(2), 35-51.
  • 황인호(2024). OTT 사용자 락인 및 프라이버시 우려 완화: 서비스 다양성, 기술 지원,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성의 역할.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5(5), 1205-1216.
  • 황혜선(2016). 소비자의 스마트미디어 활용수준의 질적 격차에 관한 연구: 기술건너뛰기(Technology Leapfrogging) 현상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2(2), 145-168.
  • Baruh, L., Secinti, E., & Cemalcilar, Z. (2017). Online privacy concerns and privacy management: A meta-analytical review. Journal of Communication, 67(1), 26-53. [https://doi.org/10.1111/jcom.12276]
  • Billon, M., Crespo, J., & Lera-Lopez, F. (2021). Do educational inequalities affect Internet use? An analysis for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58, 101521. [https://doi.org/10.1016/j.tele.2020.101521]
  • Dąbrowska, J., Almpanopoulou, A., Brem, A., Chesbrough, H., Cucino, V., Di Minin, A., Giones, F., Hakala, H., Marullo, C., Mention, A. L., Mortara, L., Norskov. S., nylund, P., Oddo, C. M., Radziwon, A., & Ritala, P. (2022). Digital transformation, for better or worse: a critical multi‐level research agenda. R&D Management, 52(5), 930-954. [https://doi.org/10.1111/radm.12531]
  • Hindman, L. C., & Paulsen, R. J. (2024). Racial and gender inequality regimes in sport: Occupational segregation and wage gaps in the US spectator sports industry.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 24(2), 470-490. [https://doi.org/10.1080/16184742.2022.2128846]
  • Hussain, N., & Phulpoto, S. (2024). Digital Literacy: Empowering Individuals in the Digital Age. Assyfa Learning Journal, 2(2), 70-83. [https://doi.org/10.61650/alj.v2i2.231]
  • Ketelaar, P. E., & Van Balen, M. (2018). The smartphone as your follower: The role of smartphone literacy in the relation between privacy concerns,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phone-embedded track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8, 174-182. [https://doi.org/10.1016/j.chb.2017.09.034]
  • Law, N. W. Y., Woo, D. J., De la Torre, J., & Wong, K. W. G. (2018). A global framework of reference on digital literacy skills for indicator 4.4.2. 51.
  • Lin, M. (2024). Leisure innovation for older adults in urban China: Application and reexamination of leisure innovation theory. Leisure Sciences, 46(1), 82-100. [https://doi.org/10.1080/01490400.2021.1914246]
  • Lin, J. S., & Hsieh, P. L. (2007). The influence of technology readines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self-service technolog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3), 1597-1615. [https://doi.org/10.1016/j.chb.2005.07.006]
  • Manca, S., Bocconi, S., & Gleason, B. (2021). Think globally, act locally: A glocal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literacy. Computers & Education, 160, 104025. [https://doi.org/10.1016/j.compedu.2020.104025]
  • Office of Communications. (2006). Media literacy audit: Report on media literacy among children. Retrieved from https://www.ofcom.org.uk/research-and-data/media-literacy-research/adults/minority
  • Rojas-Estrada, E. G., Aguaded, I., & Garcia-Ruiz, R. (2024).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in the prescribed curriculum: A systematic review on its integrat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9(8), 9445-9472. [https://doi.org/10.1007/s10639-023-12154-0]
  •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 Wallinheimo, A. S., & Evans, S. L. (2021, April). More frequent internet us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sociates with enhanced quality of life and lower depression score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ealthcare, 9(4), 393. [https://doi.org/10.3390/healthcare9040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