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No. 3, pp.27-38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4
Received 31 Jul 2024 Revised 28 Aug 2024 Accepted 12 Sep 2024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4.6.48.3.27

노인의 액티브에이징을 위한 가상현실(VR) 여가활동의 활용 방안 탐색

연분홍1
1경기대학교 겸임교수
Exploring ways to Utilize Virtual Reality(VR) Leisure Activities for Active Aging of the Elderly
Yeon, Boon-Hong1
1Kyongg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Yeon, Boon-Hong E-mail: pink6066@naver.com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leisure activation plan for the active aging of the elderly by examining the application cases and research statu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for the elderly currently being applied at home and abroad, and deriving ways and directions to realize services in the field of leisure activitie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pplication cases and research status of virtual reality (VR) programs to strengthen the body and cognitive abilities of the elderly, the current statu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tailored to the elderly in Korea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main categories. First, program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health purposes, and program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cognitive ability and preventing dementia are representative. Second, a total of five measures were derived for the service realization plan and direction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using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As a result, measures were derived such as developing a user-friendly interface, segmenting customized content for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developing personal or home platforms such as smartphones or connected TV interworking and mobile applications, conducting basic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s for the elderly, and strengthening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Keywords:

elderly, active aging, virtual reality, leisure activities

키워드:

노인, 액티브에이징, 가상현실, 여가활동

References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2023). VR 재활 프로그램.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공식 웹사이트. Retrieved from https://anam.kumc.or.kr
  • 고영삼(2016). 고형화 문제의 해결법으로서 디지털 에이징 정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4(11), 115-123.
  • 김경남, 김정윤, 전혜성(2018). 노인을 위한 가상현실 쇼핑시스템 사용자경험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7(2), 247-256.
  • 김미리혜(2011). 건강심리학 장면에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16(4), 643-656.
  • 김미정, 김영석(2020). 미래 고령화 대비 건강노화를 위한 스포츠 과학기술과 문화예술 융합연구 방안 탐색. 한국스포츠과학회지, 29(4), 45-67.
  • 김미정, 윤정숙(2018). 노인의 자아실현 예측모형.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지, 8(10), 849-860.
  • 김민주, 박지현(2020).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정책적 지원 필요성과 그 효과." 노인복지연구, 74(2), 45-63.
  • 김봉구, 김정호, 김미리혜(2022).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 프로그램이 웰빙,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7(6), 931-961.
  • 김상일, 안지현, 유병은, 이승룡, 최문정(2017). 2016 기술영향평가 보고서: 가상증강현실 기술. 온라인 배포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김성길(2011). 승마기구 운동이 장애인의 균형 능력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김수영, 최영희(2020). 노인의 가상현실 서비스 접근에 대한 경제적 장벽. 노인학연구, 12(1), 77-90.
  • 김은자, 황병용, 김미선(2010).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30(4), 1107-1116.
  • 김익재(2016). 가상현실 기술 동향. 방송과 미디어, 21(2), 51-59.
  • 김창환(2018). 전기-후기노인의 액티브에이징 활동이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6(1), 16-20.
  • 김현정(2017). 노년층을 위한 기능성 게임의 유니버설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4), 261-272.
  • 남선숙, 유홍식, 신동희(2017). 가상현실의 현존감이 노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63(2), 45-62.
  • 류성현(2015). 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작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대학원.
  • 박선미, 김수범(2019). 초고령화사회 대응을 위한 ICT 활용 사례 연구. 서울디지털재단.
  • 박주연, 한효진, 유제광, 주유미(2022). 작업 활동 중심의 가상현실 기반 코로나 블루 완화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예비 연구.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4(2), 91-106.
  • 박현정, 이준영(2019). 노인의 가상현실 기술 수용: 사용성 및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노인기술연구저널, 15(3), 45-62.
  • 배재윤(2020). 한국 노인의 건강 및 사회참여 특성: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9(3), 291-301.
  • 배재윤(2024). 노인 여가 스포츠와 액티브 에이징. 여가학연구, 22(1), 153-179.
  • 서울대학교병원(2023). VR 운동 프로그램. 서울대학교병원 공식 웹사이트. Retrieved from https://www.snuh.org
  • 신경은, 오명화, 김희동(2017). 가상현실 게임이 노인 뇌졸중 환자의 우울, 대인관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21(4), 101-118.
  • 양제희, 정정호(2023). 고령자의 액티브에이징을 위한 마음챙김 실감콘텐츠 사례분석.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1(3), 117-132.
  • 연분홍(2023). 액티브시니어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촉진, 자아실현 및 웰에이징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7(2), 55-66.
  • 오정수(2017). 스포츠복지와 Active aging의 사회적 함의. 한국체육학회지, 56(5), 57-72.
  • 유경진, 김정기(2022). 몰입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인지재활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기초의학회, 15(1), 86-91.
  • 윤혜진(2016). 한국 노인의 여가 및 에이징 웰(aging well)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레저연구, 28(7), 201-221.
  • 이수경, 안병순(2023). 노인치매 예방을 위한 움직임 프로그램 활용 기획과 통합예술매체 확장을 위한 경제적 VR 콘텐츠 제작시스템 제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10), 702-714.
  • 이원식, 이영대, 문찬우(2014). 실내 레저 스포츠를 위한 승마 로봇의 개발. 인터넷방송통신학회지, 14(5), 161-166.
  • 이은아, 정재훈(2020).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균형에 미치는 효과. 산업융합연구, 18(5), 42-53.
  • 이은주, 조선화(2020). 노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노인복지연구, 74(1), 123-145.
  • 최덕윤, 박상희(2019). 가상현실 관광 콘텐츠 경험 가치 요인이 노인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요양병원 노인환자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4(4), 185-203.
  • 최문종, 최재성, 천승호, 하영미, 양승경(2020).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지역사회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 탐색. 디지털융합연구, 18(5), 347-35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23). VR 재활 운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식 웹사이트. Retrieved from https://www.etri.re.kr, .
  • 한국정보화진흥원(2021). 노인을 위한 가상현실 체험 프로그램의 효과: 여행, 미술 전시, 역사 탐방. 한국정책학회지, 40(2), 189-203.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3). 2023년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심층분석.
  • 통계청(2023). 2023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23.
  • Active Age Project(2005). Final report of the activeage project. Overcoming barriers and seizing the opportunities for active aging policies in Europe.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 Berkowsky, R. W., Sharit, J., & Czaja, S. J. (2017). Factors predicting decisions about technology adoption among older adults. Innovation in Aging.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6(7), 793-814. [https://doi.org/10.1093/geroni/igy002]
  • Hutchison, T., Morrison, P., & Mikhailovich, K. (2006).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Active Aging. Canberra: University of Canberra.
  • Korzenny, F., & Korzenny, B. A. (2019). Aging and Technology: Perspectives from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35(6), 467-477.
  • Kunkel, S. R., & Koenig, J. M. (2018). Community Partnerships and Aging: Enhancing Older Adults' Digital Literacy through Collaborative Programs. Aging & Mental Health, 22(7), 937-945.
  • Lombard, M., & Ditton, T. B. (1997).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3(2), Article 3. [https://doi.org/10.1111/j.1083-6101.1997.tb00072.x]
  • Lord, S. R., Tiedemann, A., Chapman, K, Munro, B., Gerontology, M., Ther, G. R., & Sherrington, C. (2005). The Effect of an individualized fall prevention program on fall risk and falls in older peopl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8), 1296-1304.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5.53425.x]
  • Merkx, C., & Nawijn, J. (2021). The impact of virtual reality on travel experience: Comparing physical and virtual travel experiences. Tourism Management, 83, 104-199.
  • Oculus(2023). VR Fitness Apps (예: Beat Saber, Supernatural). Oculus 공식 웹사이트. Retrieved from https://www.oculus.com
  •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2023). VR 재 활 훈련.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 공식 웹사이트. Retrieved from https://www.sralab.org
  • Rendever(2023). VR Social Engagement and Physical Activity. Rendever 공식 웹사이 트. Retrieved from https://www.rendever.com
  • UN(2012). UNDESA, UNFPA. 세계고령인구지표.
  • Vaportzis, E., Clausen, M. G., & Gow, A. J. (2017). Older adults perceptions of technology and barriers to interacting with tablet computers: A focus group study. Frontiers in Psychology, 8, 1687. [https://doi.org/10.3389/fpsyg.2017.01687]
  • Virtually Better(2023). VR 피트니스 프로그램. Virtually Better 공식 웹사이트. Retrieved from https://www.virtuallybetter.com
  • WHO(2002).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Journal the Aging Male, 5, 1-37. [https://doi.org/10.1080/tam.5.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