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No. 2, pp.127-140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4
Received 07 May 2024 Revised 03 Jun 2024 Accepted 18 Jun 2024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4.6.48.2.127

기초학력미달 학생의 니즈(needs)와 여가교육: 예비 특수교사의 교육경험을 기반으로

이예다나1 ; 최아론2 ; 임진선3
1백석대학교
2우석대학교
3우석대학교
A Study on Needs and Leisur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Based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e, Yedana1 ; Choi, Aron2 ; Lim, Jinsun3
1Baekseok University
2Woosuk University
3Woosu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Lim, Jinsun E-mail: jinsunlim@woosuk.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as recognized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teaching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nalyzed using a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for students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was derived into four subject areas and eleven core content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ents and confirm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lated to their performance. They also found that academic, emotional, and leisure support demands were needed. Furthermore, teaching efficacy increased, and practical support plans were explored. Finally, to strengthen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students performing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and support for them should be prepared with a multi-tier system.

Keywords: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ducation experience, needs, leisure education

키워드:

기초학력미달 학생, 예비 특수교사, 교육경험, 니즈, 여가교육

References

  • 고가영(2014). 한국인의 여가 양적·질적으로 미흡하다. LG Business Insight.
  • 교육부(2022.6.13.). 202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대응 전략 발표 보도자료. 세종.
  • 교육부(2022.10.). 제1차 기초학력지원을 위한 종합지원정책(2023~2027). 교육부. 세종.
  • 김경애 외 (2020). 코로나19 확산 시기, 불리한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보고 RR 2020-23).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 김동일, 임진형 (2020).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매개효과: 학습부진 여부에 따른 다집단분석. 학습장애연구, 17(3), 107-128.
  • 김라경, 최민식 (2023). 특수학급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및 지원 요구. 통합교육연구, 18(2), 99-121.
  • 김소영, 윤기봉 (2016).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추정: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요인 검증. 한국청소년 연구, 27(2), 271-296.
  • 김성일(2003). 교육적 여가와 여가적 교육. 한국교육학연구, 9(2), 143-162.
  • 김자경, 김주영, 정세영(2008). 방과 후 학교 자원봉사활동 경험을 통한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장애아동과의 상호작용 및 교육적 지원 모색에 관한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1(3), 101-117.
  • 김재윤 (2023). 초등 예비교사들의 학교 현장 연계교직과목 수강 경험과 그 의미: 현장 기반교사 정체성 및 행위 주체성 형성. 초등교육연구, 36(4), 1-27.
  • 김재윤, 이동성 (2020). 초등 예비교사들의 학습문화 형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교원교육연구, 37(3), 161-187.
  •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 민경훈, 김수겸 (2008). 직업군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인과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4), 21-32.
  • 민윤경, 문희원 (2021). 한국·캐나다·핀란드의 기초학력 보장제도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31(4), 35-59.
  • 박미희 (2020).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와 교육의 과제: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0(4), 113-145.
  • 박혜경 (2016). 대학생 멘토가 역할 수행 과정에 겪는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교양교육연구, 10(3), 141-177.
  • 신은혜, 박현정, 김대원 (2022). 대학생의 비대면청소년 멘토링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열린교육연구, 30(6), 307-333.
  • 신하영, 박소영(2023). 기초학력 향상 지원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제1차 기초학력보장 종합계획을 중심으로. 교육정치연구, 30(1), 1-30.
  • 안지연, 김귀옥, 류희선, 이은진, 최성희 (2020).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 지원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안 탐색: ‘즐거운 상상의 축제’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34(1), 180-209.
  • 양희용, 박용한 (2023). 초등학생의 학업·비학업 자아개념, 학업성취 관련 변인, 학업성취도간의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36(4), 109-144.
  • 염유식, 김경미 (2019). 한국 아동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소자결과보고서. 한국방정환재단.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
  • 유은정, 이태경 (2023).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과학과 최소한의 성취기준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연구, 43(3), 265-276.
  • 유지혜 (2023). 아동기 학습·사회성 부진의 영향요인과 심리적 안전감에 관한 연구. 미래교육연구, 13(3), 39-59.
  • 윤종대, 정철규, 윤필규, 노미라 (2009). 중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유형이 학교생활 적응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125-134.
  • 원성준, 강태림, 김신혜 (2023). 초-중학교 전환기 사회적 자아개념, 또래 관계, 심리적 안녕감의 종단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36(3), 393-419.
  • 이문진 (2019).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 개발. 여가학연구, 17(4), 123-139.
  • 이미숙(2011). 특수교육전공 대학 신입생의 특수학교 자원봉사 경험의 의미. 정서·행동장애연구, 27(3), 203-233.
  • 이예다나, 고혜정 (2023). 기초학력 미달 학생 교육지원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초등교육연구, 36(3), 125-147.
  • 이예다나, 손승현(2022).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 분석 연구: 국외 지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9(2), 25-49.
  • 이유정, 원성준 (2021). 부모의 학업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의 공존 변화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학업 성취에서의 차이 검증. 교육심리연구, 35(4), 583-607.
  • 이정은 (2019).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봉사학습의 경험 분석. 특수교육, 18(4), 191-219.
  • 이해란, 박창언 (2020). 예비특수교사의 특수교육기관 교육봉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1), 165-188.
  • 임혜경, 박재국, 김은라 (2014).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6(1), 339-363.
  • 지승희, 오혜영 (2013). 상담 분야의 CQR 연구 동향: 2001~2010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4), 2327-2349.
  • 지현진(2010). 교과과정 내 여가교육 실천을 위한 제언. 여가학연구, 7(3), 97-110.
  • 최옥희, 최병원 (2014). 적응유연성 증진 집단상담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13(1), 97-113.
  • 통계청, 여성가족부 (2020). 2020 청소년 통계. 서울: 통계청, 여성가족부.
  • 최승숙, 서선진 (2022).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적 교육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특수교사의 기초학력지원 프로그램 참여 사례 연구. 학습장애연구, 19(2), 1-24.
  • Giorgi, A. (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김미영, 정승은 역). 서울: 현문사. (원저 1985 출판).
  • Hill, C. E. (2016). 합의적 질적 연구: 사회과학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2 출판).
  •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 [https://doi.org/10.1037/0022-0167.52.2.196]
  • Pleux, D. (2012). 아이의 회복탄력성(박주영 역). 서울: 글담출판사(원전은 2010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