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4, pp.77-91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0
Received 10 Nov 2020 Revised 07 Dec 2020 Accepted 17 Dec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12.44.4.77

규칙적인 여가활동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조명희1 ; 허준수2
1숭실대학교 박사과정
2숭실대학교 교수
A Study on Effect of Regular Leisure Activitie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F-36) in the Elderly: Physical Leisure Activities
Cho, Myonghee1 ; Hur, Junsoo2
1Soongsil University
2Soongsi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ur, Junsoo Soongsil University, Sangdo-ro 369, Dongjak-gu, Seoul, Korea E-mail: jshur@ssu.ac.kr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egular physical leisure activitie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F-36) of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pre-post data on health physical fitness factors, body composition fact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elderly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customized exercise class at the health center in Gyeonggi-do, and 23 elderly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regular group physical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15 week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re-post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both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mong the elder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 and sub-factors (PF), general health (GH), vitality (VT), mental health (MH), pain (BP), and health change (HC). On the other hand.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decrease in both the total score and sub-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lderly who do not have physical activity, the lower their musculoskeletal and cardiovascular functions, and it may have influenced negative o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Therefore, regular physical activity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by improving the physical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among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programs and service related to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persons.

Keywords:

Regular Physical Activity of the Elderly, Group Leisure Activity, Elderly Leisure Participation, Quality of Health-Related Life(SF-36)

키워드:

노인 신체활동, 건강관련 삶의 질(SF-36), 노인 여가참여, 집단 신체활동

References

  • 강기선(2016), 낙상예방운동 프로그램이 지역경로당 센터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낙상두려움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Vol. 17, No. 8 pp 267-272.
  • 강설중·김병로·김성진·김종휴·노종철·이상현·홍지영(2010). 12주간의 유산소 운동이 노인 고혈압환자의 맥압과 심박수 변이 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2(1), 47-54.
  • 강설중·김종휴·고광준(2015), 유산소, 저항성, 균형운동 프로그램이 허약 여성노인의 골격근 지수, 기능적 체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제 17권 4호.
  • 강소라·김예순·문종훈(2018),노인의 장악력 및 신체계측인자, 우울, 삶의 질에 관한 연구: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고령자·치매 작업 치료학회지 제 12권 제 2호.
  • 권혜경(2019),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노인의 건강걷기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문환·이동호(2011),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와 만성질환과의 관련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Vol 28, Vol. 2, 99-107.
  • 김수민(2012).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이 허약노인의 상지근력 및 ADL에 미치는 효과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8(2), 71-80.
  • 김수영·이민홍·손태홍(2015), 고령자사회 참여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3, 451-479.
  • 김신미·이윤정·김환중(2009), 탄력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상지유연성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회지, 2009 제29권 3호 987-1000.
  • 김영미(2019), 융합적 자기건강 역량강화운동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 성별, 시기에 따라 노인의 체력, 뇌파, 심리, 인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영범·이승희(2018), 노인의 건강상태, 건강 행위, 사회관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구유형별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 Vol 29 No.3 310-321.
  • 김은국·이현주·김유호(2019), 바디스파이더 운동과 맨몸저항운동이 치매예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제17권 2호, 763-775.
  • 김종임(2013). 일부농촌지역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 대상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 및 관련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1), 99-109.
  • 김재경(2014). 현대사회에 노인 문제와 노인 인권 에 관한 고찰, 사회복지경영연구, 1(1), 1-18.
  • 김혜영(2017),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에 대한 PLS-SEM의 적용,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희경·이현주·박순미(2010).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회 Vol. 30, No.2, 279-292.
  • 문지연·정원상·이병선·이만균(2018). 10주간의 스포츠 클라이밍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과 주요 생활습관병 지표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9.2: 268-280.
  • 박소연·김진경(2008). SF-36을 이용한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 평가,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 273-89.
  • 박양선·이옥진(2017). 리듬스텝운동이 노인 여성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6), 2017. 8, 139-151.
  • 박연지·김영재(2019), 노인들의 신체적 여가활동 체험공간 의미.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1), 113-124.
  • 박희철·고영완·강진형(2008), 노인여성의 규칙적인운동이 활동체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검도학회 24(2), 123-133.
  • 백승희·신지은(2019). 한국 노인의 악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 연관성, 한국체육과학회지, 28(3), 703-712.
  • 백정민(2018). 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생산적 노화 메커니즘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7(4), 25-35.
  • 성기월(2017), 저 활동군과 고 활동군 전문직 은퇴노인의 신체구성과 건강보존정도 비교, 대한보건간호회보 31. No. 2, 220-233.
  • 소위영·홍지영·전은진·최대혁·김기홍(2010). 아쿠아로빅 운동이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SF-36)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3: 683-694.
  • 신경림·변영순·강윤희·옥지원(2008), 재가노인의 주관적 신체 증상,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JKAN(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3호 437 – 444
  • 신다현·이상희·허진무(2020), 노인의 진지한 여가로서의 마스터즈 수영대회 참가의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59(5), 241-257.
  • 안나영·주영식·이규호·김기진(2019), 경증치매 여성노인의 16주간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신체구성, 체력 및 인지 기능의 변화, 코칭능력개발지 21(1), 110-117.
  • 용인시 수지보건소 문서(2019).
  • 유미경·이기표(2017), 생활체육 참여노인의 심리적 자본이 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2), 363-376.
  • 윤상호(2019), "노인들의 신체자극활동 프로그램이 건강관련 삶의 질(SF-36)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4 683-694.
  • 윤현숙·이은경·이정의·윤지영·김은숙·장은진·최류란·강성보·한아름(2010), 노인을 위한 통한 건강 프로그램의 효과: 몸-마음-영성(Body-Mind-Spirit)프로그램, 노인복지저널 vol. 48, pp. 345-374.
  • 이곡지(2016), 장수체조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박사학위논문.
  • 이기표·유미경(2018). ‘신체활동 참여노인의 활력과 사회지원,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제73호 pp377-387.
  • 이만균·성순창·공성아(2005), 남성노인의 활동체력 연령 추정식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제 44권 5호,473-483.
  • 이만균·정원상·문지연·이병선(2018). 10주간의 스포츠클라이밍이 비만노인 여성의 신체구성과 주요 생활습관병 지표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9(2), 268-280.
  • 이성진(2016). 노인의 은퇴이후 우울발생까지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학술발표논문집, 2016(2). 229-248.
  • 이지현·한경혜(2012). 예비노인의 친구관계망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2 : 170-205.
  • 이현복·이수연(2018), 노인의료비 추계와 건강보험에 대한 시사점, 한국보험학회 제117집 '19-01.
  • 이현정·김현경(2017),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의 스포츠 시설 및 체육프로그램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6(1), 473-488.
  • 임남훈·김예성(2019), 12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전·후기 노인의 체구성과 SFT 요인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사이언스 2019, 제 37권 제1호, 229-238.
  • 장효순(2019), 노년기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11권 1호.
  • 전병주(2013).‘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3(2), 239-255.
  • 정민기·정현훈·박상갑(2019), 운동과 인지 중재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여성 노인의 인지 기능과 좌식 행동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Vol 28 No.2, 198-204.
  • 정순영·한상영(2016), 만다라 미술치료 과정 명상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제 23권 Vol, 23, No.1(SN,82), 295-311.
  • 정연성(2015). 보건소 건강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건강 체력, 신체조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54권 제 5호, 841-850.
  • 정윤하(2018). 고령사회 여가활동 문화 고찰: 노인 운동 참여 동기와 협상 및참여지속의지의 관계.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2: 247-258.
  • 조강옥·남상남(2013). 한국노인의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한국노년학회 Vol. 33 No. 4, 775-785.
  • 조인숙(2020). 여가활동이 노인의 우울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 269-282.
  • 주은솔·방요순(2018), “복합 중재활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노인의 신체기능, 인지기능,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7 : 317-328.
  • 채명아·김증임·최경숙·한기혜(2018), 해녀 노인의 건강수준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 24 No.2, 105-115.
  • 최연희·김나영(2013), 지역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자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346-357.
  • 최혁재·김규석·강성재·류제청·송건형·고창용(2019), 맞춤형 기계적 외골격 보조기를 이용한 보행훈련 프로그램이 마비장애인과 간병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13(2), 156-165.
  • 한현숙(2010). 여성노인을 위한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노인 여가 복지시설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허준수(2010). “노인복지연구” 신정출판.
  • 황서현·유미성·전용관(2018). 한국 노인의 복부 비만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및 좌식시간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2018. 제5권 제4호 375-386.
  • 황연희·김동희(2016), 아쿠아로빅 운동이 비만 노인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 6호 226-232.
  • ACSM(2014), ACSM’s Guideline Exercise Test and Prescription, 9th ed. Baltin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nc.
  • Colmen, D. & Iso-Ahola, S. E. (1993). Leisure and health: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elf-determin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5(2), 111. [https://doi.org/10.1080/00222216.1993.11969913]
  • Jessie Jones. C, Debra Rose. J.(2005). Physical Activity Instruction of Older Adults.
  • Nieman, D.C.(1999).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A health-related approach. NMountain View, CA: Mayfield. Santos FDRP, Nunes SFL, Coutinho MA, do Amaral LROG, Santos FS, et al. Sociodemographic profile and quality of life of active older adults belonging to a physical exercis program and sedentary elderly, linked to a basic health unit. International Archives of Medicine. 2017; 10: 1-7. [https://doi.org/10.3823/2346]
  • Rantanen, T., Volpato, S., Luigi Ferrucci, M. D., Eino Heikkinin, M.D., Fried, L. P.,& Guralnik, J. M.(2003). Handgrip strength and cause-specif-ic and total mortality in older disabled women: exploring the mechanism.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1(5), 636-641. [https://doi.org/10.1034/j.1600-0579.2003.00207.x]
  • Shin, K. R., Byeon, Y. S., Kang, Y., &Oak, J.(2008).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e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37-444. [https://doi.org/10.4040/jkan.2008.38.3.437]
  • Stenholm, S., Kronholm, E., Sainio, P., Borodulin, K., Era, P., Fogelholm, M., Partonen, T., PorkkaHeiskanen, T.,& Koskinen, S.(2010), Sleep Related Factors and Mobility in Older Men and Women, J Gerontl, 65A(6), 649-657 [https://doi.org/10.1093/gerona/glq017]
  • V.Kontis, J. E. Bennett, C. D. Mathers, G. Li. K Foreman, and M. Ezzati, Future life expectancy in 35 industrialized countries : Projections with a Bayesian model ensemble, The Lancet, Vol. 389, No. 10076, pp1323-1335, 2017. [https://doi.org/10.1016/S0140-6736(16)32381-9]
  • Watanabe, Y., Tanimoto, M, Oba, N., Sanada, K., Miyachi, M., &Ishii, N.(2015).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using bodyweight in the elderly: Comparison of resistance exercise movement between slow and normal speed movement. Geriatrics &Gerontology International, 15(12), 1270-1277. [https://doi.org/10.1111/ggi.12427]
  • Ware, J. E., & Sherbourne, C. D(1992). The MO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SF-36). I, conceptual frame 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6), 473-483. [https://doi.org/10.1097/00005650-199206000-00002]
  • WHO, World health statistics 2016: Monitoring health for The SDGs (pp.108),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