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3, No. 2, pp.117-126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03 May 2019 Revised 26 Jun 2019 Accepted 27 Jun 2019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19.6.43.2.117

워라밸(WLB) 및 일과 삶의 균형 키워드 분석연구 : 유튜브(You Tube)를 통해서

강승우1, ; 김영재1
1중앙대학교
A Study on the Keyword Analysis of Warabal (WLB) and Work-life Balance through YouTube
Kang, Seung-woo1, ; Kim, Young-Jae1
1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Kim, Young Jae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06974, Republic of Korea. E-mail: yjkim@cau.ac.kr

Abstract

In this study, we intend to analyze keyword networks centered on work-life balance with WLB through the record of videos and comments posted on YouTube, thus establishing a systematic research foundation between work and life. Using keywords "WLB" and "Work and Life Balance " for data collection, 8,681 keywords were used in 497 WLB video clips (December 2012) as of April 2019, and 9,982 keywords were used as work-life themes in 500 images. Using Net Miner 4.3,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keyword community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interest keywords and research topics of WLB's analysis and work-life videos first created keywords of happiness, society, exercise, individual, work, travel, hobby, company, culture, need, time and work. Second, the keywords shown through the analysis of "work and life" showed high importance by keywords such as work, time, balance, work, happiness, charging, life, health and effectiveness. Thus, in order to solve systemic problems and pursue happiness through proper tasks and financial reward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practical measures to find out what Koreans think the WLB keyword has. Subsequent studies will require in-depth and advanced studies in platform configuration through prior studies through WLB keywords and paper draft analysis.

Keywords:

youtube, keyword network analysis, degree centrality, cluster analysis, work and life balance, WLB

키워드:

유튜브, 키워드네트워크분석, 중심성분석, 군집분석, 일과 삶의 균형, 워라밸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중앙대학교 연구 장학기금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 고용노동부(2017).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
  • 권미경(2014).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인적자원개발 연구동향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 개발대학원.
  • 김나랑, 최형림, 이태헌(2018). 소셜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거버넌스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6(7), 35-45.
  • 김명옥(2015). 일과 생활의 균형(WLB)이 비서직 종사자의 혁신행동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30, 405-443.
  • 김민수(2018.12.11). 유튜브 시청률 최고⋯전 연령대 사로잡았다. 노컷뉴스.
  • 김보경, 김미경(2015). 빅데이터를 활용한 템플스테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블로그와 트위터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9(5), 27-40.
  • 김용학, 유소영(2013). 한일 비교 연구의 비교: 인문사회 분야 논문 키워드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4(1), 25-45.
  • 김은희, 김철원(2017). 일과 삶의 균형에 따른 사회적 계층이 주관적 행복감. 관광연구, 32(7), 1~24.
  • 김현근, 안성익, 이종완(2018). 역할과부하와 일가정균형만족의 관계에서 가정 친화적 조직지원인식과 가정 친화적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5(4), 19-40.
  • 김형훈, 이지연(2018). 노인의 여가활동과 우울의 관계: 여가인식의 조절효과.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9(1), 13-21.
  • 문은영, 서영주(2011). 서울시 30, 40 대 자녀양육 남성근로자의 일과 가족생활 양립현황 및 문제점.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1-14.
  • 민경선(2018). 워라밸 세대의 여가와 삶의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377-388.
  • 박병언, 임규건(2015). 일반영향요인과 댓글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Youtube)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요인 연구. 지능정보연구, 21(3), 19-36.
  • 손영미, 김정운, 정열(2011).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조직 및 개인변인의 영향력 검증 연구. 여가학연구, 9(1), 101-131.
  • 손헌일, 권혁기(2018). 일과 삶의 균형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3(5), 77-87.
  • 송정은, 장원호(2013). 유투브(You Tube) 이용자들의 참여에 따른 한류의 확산. 지능정보연구, 21(3), 19-36.
  • 양근우(2017). SNA 기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상정보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통상정보연구, 19(1), 23-42.
  • 유리나(2018.11.05). 유튜브에서 이틀에 한 번, 러닝 콘텐츠 시청한다. 디지털 마케팅뉴스.
  • 윤홍권, 권혁인(2018). 직장인의 소셜댄스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 문화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1), 1-13.
  • 이가영(2018). 유투브 일상 콘텐츠에 대한 밀착된 시청이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의사 사회 상호작용 및 사회적 실재감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귀옥, 손승혜, 정은정(2018). 유튜브를 통한 식품 관련 가짜의학정보의 확산에 관한 사례연구: ‘귀 통증에 양파’ 뉴스의 네트워크분석.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17(2), 97-129.
  • 이병찬(2016).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일과 삶의 균형(WLB)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5(5), 549-557.
  • 정철영, 주홍석, 조영아, 전지민, 정지은(2015).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 (WCC) 운영 우수사례 분석. 농 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3), 117-137.
  • 조미라(2016). 여가시간 불평등 연구: 1999~2009년 성별 여가시간 양의 변화 및 불평등 요인분석. 한국인구학, 39(1), 29-57.
  • 홍수민(2018.03.23). 청와대, 대통령 발의 개헌안 전문 공개. 중앙일보.
  • 홍주현(2018).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된 생리대 발암물질 이슈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9(4), 15-26.
  • Clark, S. C. (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 53(6), 747-770. [https://doi.org/10.1177/0018726700536001]
  •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 (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 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3), 510-531. [https://doi.org/10.1016/S0001-8791(02)00042-8]
  • Gropel, P., Kuhl, J. (2009). Work-life bal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need fulfillment.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100(2), 365-375. [https://doi.org/10.1348/000712608X337797]
  • OECD. (2017). How’s life? 2017: Measuring well-being. OECD Publishing.
  • Park, H. W., &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 Rajendran, Bell, A. S., Theiler, S, D. (2012). Job stress, well-being, work-life balance and work-life conflict among Australian acdemics. E-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 25-37. [https://doi.org/10.7790/ejap.v8i1.320]
  • Tausig, M., & Fenwick, R. (2001). Unbinding time: Alternate work schedules and work-life balance.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2(2), 101-119. [https://doi.org/10.1023/A:1016626028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