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3, No. 2, pp.79-92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30 Apr 2019 Revised 31 May 2019 Accepted 22 Jun 2019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19.6.43.2.79

미디어 빅데이터를 통해 본 캠핑 트렌드 분석

김경식1 ; 한승백2 ; 한승진3 ; 이연주4
1호서대학교
2배재대학교
3을지대학교
4KBS스포츠예술과학원
Camping Trend Analysis Using Media Big Data
Kim, Kyung-Sik1 ; Han, Seung-Baek2 ; Han, Seung-Jin3 ; Lee, Yeon-Ju4
1Hoseo University
2Pai Chai University
3Eulji University
4KBS Sport College

Correspondence to: Lee, Yeon-Ju KBS Sport College, 376, Gonghang-daero, Gangseo-gu, Seoul, Korea E-mail: sport-freeman@daum.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amping trends over the past decade using Big Data. To do this, we selected newspaper articles from 2009 to 2018 on camping topics and analyzed the network of camping related key word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a total of 5,604 articles reported by eight major newspapers nationwide on camping. The results of the big data analysis for the key words were as follows. First, top-ranked camping key words that appeared almost every year in recent decades were 'family', 'weekend', and 'nature'. Camping trends that could be learned through these key words could be said to be ‘camping in the nature with the family on the weeken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of camping key words that appeared in the newspaper media in recent 10 years, five keyword sub-groups that could represent the last 10 years were identified. In detail, group 1 was the popularity and market size of camping tourism, group 2 was camping and camping equipment in nature away from an urban area, group 3 was camping with dad, children and family, group 4 was campsite and program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group 5 is camping business, start-up strategy and education in Japan. Third, camping trends that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camping key words in recent 10 years were media-oriented camping diversification, diversification of camping method, activation of camping activities, luxury camping and its marketing. Through the camping trends of the last decade reveal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are able to understand some of the leisure culture of camping in Korean society.

Keywords:

camping trend, big data, leisure, family leisure, semantic network analysis

키워드:

캠핑트렌드, 빅데이터, 여가, 레저, 가족여가, 의미연결망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5A2A03031246).

References

  • 강현욱(2014). 캠핑참여 가족들의 삶의 의미추구를 통한 의미발견과 심리적 안념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3), 77-88.
  • 권기남, 이주혁, 이정래(2015). 캠핑활동의 사회문화적 의미 읽기. 한국체육학회지, 54(4), 123-137.
  • 기획경제부(2018. 10. 25). 늘어나는 캠핑족, 캠핑 트렌드의 변화. http://moef.blog/221384976379
  • 김경식, 이연주, 한승진, 한승백(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가트렌드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1), 25-41.
  • 김경주, 서광봉, 이철원(2015). 아웃도어 캠핑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분석. 여가학연구, 13(1), 29-45.
  • 김미향(2013). 스포츠과학: 안전하고 쾌적한 오토 캠핑? 기능성 장비가 감성 지수를 높인다. 스포츠과학, 124, 30-37.
  • 김석종(2012. 8. 9). “캠핑, 바리바리 짐 챙길 필요 있나요? 그냥 떠나세요”.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208081922465
  • 김영재(2013). 가족캠핑 참여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지속행동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7(4), 1-14.
  • 김용범, 조현진, 조광익(2014). 빅 데이터를 활용한 여가활동 동향 분석.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 76(3), 755-764.
  • 김용학, 김영진, 김영석(2008). 한국 언론학 분야 지식 생산과 확산의 구조. 한국언론학보, 52(1), 117-140.
  • 김현정, 박근수(2018).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비판적 재구성: 캠핑 전문화의 방향성과 경로다양성. 관광학연구, 42(6), 101-126.
  • 명순영, 김헌주, 강승태(2013. 7. 31). “모든 비즈니스는 캠핑으로 통한다”.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3/07/655790, /
  • 박병직(2013). 캠핑관광 트렌드 분석을 통한 해외 관광상품화 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 74(2), 45-63.
  • 박정현(2012). 문화와 소비를 주도하는 대한민국 30대의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 마케팅, 46(10), 40-47.
  • 박태근(2018. 7. 20). “이덕화 50년간 많은 작품 중 ‘도시어부’ 내 인생프로 ⋯목요 예능 1위”.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80720/91139378/2
  • 손수곤, 김인형(2015). 캠핑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경험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4(5), 167-178.
  • 심나영(2018. 6. 22). “ '도시어부 ' 뜨자⋯캠핑용품 지고 낚시용품 날개 달았다”.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62210483839729
  • 심형석, 윤영선(2012). 오토캠핑장 건설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레저연구, 24(1), 167-179.
  • 이설(2018. 11. 10). ““나도 도시어부다” 800만명이 바다로 호수로 ⋯ 지금은 ‘낚시여가’ 시대“.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BestClick/3/all/20181110/92812526/1
  • 이정환(2015. 5. 27). “인구 300만명ㆍ시장규모 6000억원 ⋯‘캠핑’에 푹 빠졌다”. 헤럴드경제, http://jj.heraldcorp.com/view.php?ud=20150526000364
  • 이정훈(2012). 오토캠핑 붐과 오토노매드 시대. 한국관광정책, 49, 80-86.
  • 이주욱, 고재욱, 김대희, 장지명, 한동수(2017). 가족 캠핑의 문화적 특징과 교육적 지향점 탐색. 교육연구논총, 38(1), 339-363.
  • 임형택(2016). 국내 캠핑 산업의 성장과 그 시사점. 관광진흥연구, 4(1), 89-105.
  • 장미화, 윤영일(2016).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캠핑에 대한 정부 정책과 국민들의 인식변화 연구. 관광연구, 31(1), 91-112.
  • 캠핑아웃도어진흥원(2018). 캠핑산업현황 통계조사.
  • 한국관광공사(2011). 2011 가족여행 실태조사: 캠핑 트렌드를 중심으로.
  • Grantz, J., & Reinsel, D.(2011). Extracting value from chaos. IDC I-View. June 2011. Retrieved from http://www.emc.com
  • Hinman, L. M.(1978). Marxs theory of play, leisure and unalienated praxis. Philosophy and Social Criticism, July, 191-228. [https://doi.org/10.1177/01914537780050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