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1 , No. 4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1, No. 4, pp. 68-82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7
Received 26 Oct 2017 Revised 30 Nov 2017 Accepted 21 Dec 2017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17.12.41.4.68

노인 운동 참여제약과 협상 및 참여지속의지의 관계
정윤하1
1명지대학교

The relationship among constraint, negotia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hysical exercise of elderly people.
Chung, Yoon-Ha1
1Myongj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Chung, Yoon-Ha Myongji University, Myongji Road 116, Yongin-si, Gyeonggi-do, Korea Tel: +82-31-333-6251, E-mail: woochan1208@nate.com


Copyright Ⓒ 201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testing and verification of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y model for continuanc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hysical exercise(CIPE) of elderly people. To complete the gole of this research, total 237 survey data from elderly participa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on sport facility were selected to analyze. SPSS 20.0 V and AMOS 20.0 V program were used to complete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tc.)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ingly, four hypothesis with constraint - negotiation strategy model toward CIPE of elderly people. 1. Negotiation was proportional to constraint. 2. Constraint was reduce the CIPE. 3. CIPE was proportional to negotiation. 4.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nstraint and CIPE were reduced by indirect effect of negotiation.


Keywords: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y, continuance intention to participate, physical exercise, elderly people
키워드: 제약협상전략, 참여지속의지, 신체운동, 노인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부 발표에 따르면 2017년 8월말 기준으로, 대한민국 국민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전체의 1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행정안전부, 2017. 09. 04). 65세 인구 비율이 14%가 넘을 경우 ‘고령사회’로 보는 국제연합의 분류기준 안에 대한민국이 공식적으로 진입했음을 말한다.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여 온 우리나라의 인구변화 성향과 그에 따른 사회적 영향에 대한 우려는 지속돼 왔다. 특히, 고령자들에게 지급되는 국민건강보험 의료비 지출비율이 증가하게 되면서(은종원, 이승범, 2017), 보건복지 차원에서의 노인문제는 매우 심각하고 진지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어 왔다. 이는 신체적 기능이 떨어지고 질병 및 부상 확률이 높아지며, 여기에 은퇴 및 경제력 저하로 인한 심리적 위축까지 더해져, 노인들의 삶의 질이 현저히 저하될 것이라는 예측에서 비롯된다(김성수, 2010).

운동을 통한 건강증진 노력은 이러한 우려와 사회적 경각심에 대한 가장 합리적인 대안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신체적 여가활동이 건강관리에 미치는 순기능들은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고 있다. 생리학적 측면에서의 건강 증진 효과는 물론, 활동성, 자신감, 사교성이 동반되면서 심리적 만족감 역시 증가하게 된다는 점(이지현, 한경혜, 2012)은 다양한 대상들을 통해 검증되었다. 이러한 긍정적 기능의 심화단계로서, 노인질환 및 부상으로부터 회복을 돕는 재활 차원의 운동 역시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어, 최근에는 재활운동 서비스가 접목된 노인운동프로그램 역시 그 필요성 논의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강용규, 2012; 이재환, 2016).

이처럼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인 ‘노년층의 건강증진’을 위해 운동 장려의 필요성은 충분하다 할 것이다. 노년층이 생활체육 인프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책차원의 지원방안이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지원책은 노인들이 운동을 하게 되는 전반적인 과정 파악이 우선될 때, 구체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 운동 참여과정에 대한 심리적 과정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위와 같은 전제하에 주목할 수 있는 학술적 분석 모델이 제약협상 전략 이론이라 하겠다. 제약협상전략은 어떠한 행동결정과정 중 발생하는 복합적인 심리작용을 다루는 대표적인 이론으로, 노인체육 참여결정구조를 분석하는 유용한 학문적 배경을 제공한다. 인간의 행동 결정에 관여하는 심리적 요소들의 개별 및 연쇄작용을 구조화 한 제약협상이론은, 어떠한 행동에 대한 동기, 이를 방해하는 장애로 작용하는 제약, 그러한 제약을 극복하고 원하는 행동으로 이어가고자 하는 협상, 이러한 심리과정의 결과물인 참여행동으로 구성된 인과모형이 제시되면서 여가활동 영역에서의 검증이 활발히 시도돼 왔다(손승범, 김보람, 2014; 황선환, 한승진, 2010; Hubbard & Mannell, 2001; Son, Mowen, & Kerstetter, 2008; White, 2008).

선행 연구들의 전반적 기조는 다양한 연구대상들의 행동 과정 안에서 제약, 협상, 참여의 기본 구조를 발견하는데 있었고, 여기에 동기, 성격, 긍정성 등 다양한 배경 요인들의 추가적용을 통해 학문적 활용 범위를 넓혀왔다. 노인운동 참여를 권장하고 활성화 하는 과정도 이러한 이론적 심리구조가 적용된 결과를 통해 개선점을 진단하는 작업과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필요성을 논함에 있어서, 현시점의 노인운동참여 관련 연구 중, 제약, 협상 및 참여결정 과정을 다룬 기본적 구조분석이 양적으로 부족하다는 문제 제기가 가능하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점은 고령사회로 진입한 만큼 일시적인 노인 운동 실태 파악 보다는 지속 비교 가능한 이론적 틀을 구축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제약협상전략 구조를 적용하여, 대한민국 노인들의 의도된 신체적 활동 양식에 대한 정보 툴을 구축할 경우 지속적으로 비교 및 활용 가능한 매뉴얼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체운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제약, 협상, 참여 요인 구조모형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 구축하는 제약협상 모형의 종속 변인으로는 참여지속의지를 설정하였다. 이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고령 한국 사회에서 신체활동 참여가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 즉, 노인들의 운동참여가 갖는 장점 인식이 일반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이와 같은 운동의 순기능을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어떤 과정에서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는 과정이 단순 참여여부 조사 보다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고 보았다. 운동 방해 요소와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를 통해 운동을 하게 되고, 여기서 비롯된 만족요소가 새로운 참여욕구로 작용하는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변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의 참여 지속 의지는 두 가지 차원에서 의미를 갖는다. 첫째, 많은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참여배경’에 대한 함축이다. 참여 배경은 참여동기, 성격적요인(Lyu, Oh, & Lee, 2013) 등 제약협상심리의 독립변인으로 설정되어, 그 기능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협상의 기능에 대한 의구심을 제시한 연구들(Son et al., 2008) 에서는 참여배경 중 동기의 역할이 보다 강조되면서, 제약-협상-참여 과정 전반에 걸쳐 작용하게 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배경요소가 강할 경우 제약과 협상이라는 과정과 무관하게 참여에 작용한다는 결과로써, 참여배경 및 동기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활발하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참여 목적 항목이 참여지속의지 요인에 포함됨으로써, 참여 결정의 의미를 넓히고 있다. 기존의 제약협상이론 모형은 주로, ‘참여유무’, ‘참여율’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있던 데 비해, 참여지속의지는 이러한 참여결정에 더하여, ‘꾸준한 참여 의지’와 ‘왜 꾸준히 참여할 예정인지’가 설명되면서, ‘동기’요인의 배제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해석상의 제한점을 보완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와 같은 복합의미의 참여지속의지를 조사한 경우를 살펴보면, Alexandris, Daniel, & Mark(2011)의 운동 참여 집착관계, 권관배(2016)의 장애인 대상연구, 은종원(2016)의 재활대상노인들과 같이 특수상황의 심리를 해석하는데 보다 넓은 시각을 제시한바 있다. 위와 같은 배경과 논리에 따라, 참여제약과 극복 과정, 그리고 그 결과로 발생하는 참여지속의지로 이루어진 모형이 노인운동참여 기전을 설명하는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체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참여제약, 제약협상, 참여지속의지 요인을 측정하고 각 요인 간 직/간접적 관계를 인과구조모형을 통해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2. 이론적 연구모형과 가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운동참여제약협상 전략모형을 구축하여, 각 변인간의 인과 관계 및 매개 효과를 분석하고자 통계적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Jackson, Crawford & Godbey (1993), Hubbard & Mannell(2001)등 많은 국내외 연구들이 비교 분석한 제약협상모형에서의 종속변인에 목적성이 추가된 참여지속의지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기본 전제로, 제약과 협상의 관계(H1), 제약과 참여지속의지의 관계(H2), 그리고 협상과 참여지속의지의 관계(H3)를 인과구조로 설정하였다. 또한 위의 국내의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하지 않은 협상의 매개효과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제약-협상-참여지속의지로 이어지는 간접효과 관계(H4)를 설정하였다.


그림 1. 
이론적 연구모형

H 1. 노인들의 운동 참여 제약은 협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약과 참여의 부정적 관계에 주목한 과거와는 달리, 제약이 협상이나 극복의 전제가 된다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었다(Kay & Jackson, 1991)(김경식, 2009; Lyu, & Oh 2014; Ma, M., & Ma, C., 2014). 이후 제약의 협상과정에서의 역할에 대한 검증이 지속돼 왔으며, 제약협상모형분석의 기본 가설이 된다.

H2. 노인들의 운동 참여제약은 참여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김춘종, 구교만 그리고 황종문(2012)은 노인들의 운동참여 제약과 참여에 대한 관계를 구조모형 안에서 파악하였다. 특히 은종원(2016)의 경우, 참여지속의지라는 종속변인을 통해 재활운동 참여노인들의 다차원적 심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같은 취지에서 제약이 참여지속의지를 좌우하는 정도를 모형에 포함시켜, 단독 관계는 물론, 협상과의 복합 관계 파악을 시도하였다.

H3. 노인들의 운동 참여 협상은 참여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존의 제약 – 참여가 갖는 부(-)적관계에 협상이라는 노력이 추가되면서, 여가 참여심리 연구 영역이 확장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황선환, 최홍석, 한승진(2010)의 경우 레크리에션 전문화라는 후속변화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권관배(2016)는 장애인들의 협상노력을 참여지속의지와 연결시키면서, 결과변인에 대하여 또 다른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연구의 협상-참여지속의지 관계 설정도 이러한 다차원적 종속변인 분석의 일환이 될 것이다.

H4. 노인들의 운동참여 협상은 제약과 참여지속의지간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일 것이다.

위의 선행 연구들에서 지시되는 제약과 협상 그리고 참여지속의지는 단순관계로 해석되기에는 연계적 심리가 다양하게 작용한다. 현재까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여가스포츠 연구에서 제약과 협상 그리고 참여지속의지에 대한 매개효과 모형 설정은 극히 드물며, 본 연구와 같이 참여배경 요인들을 제거한 제약-협상-참여지속의지 매개효과분석은 의미 있는 시도로 볼 수 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목적인 노인체육 참여제약과 협상 및 지속의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방법이 진행 되었다. 먼저 노인에 대한 조작작적 정의에 있어서, 국제보건기구 및 UN이 칭하는 노인은 65세 이상을 말하며, 국내 연구자들은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예비노인이라는 명칭을 사용해 왔다(이지현, 한경혜, 2012). 본 연구자는 고령사회에서의 사회적 개선방향을 논하는 연구를 진행한다는 차원에서, 65세이상의 개념적 노인은 물론이며, 신체기능 변화와 은퇴 후 삶을 대비하는 60세 이상도 학술적 의미의 노인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노인들 중 신체 운동 참여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그 중 스포츠 시설 이용자들을 표본으로 추출하는 편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약점을 보일 수 있는 편의표집법의 특성상, 표집 지역, 표집 시설의 운영주체(공공시설 및 사설 체육시설)를 고려한 표집을 시도하였다. 이용선정된 체육시설은 노인복지센터(마포구), 구민체육센터(동대문구, 강동구) 등 공공 체육시설 3곳, 그리고 200명 이상의 이용객을 보유한 사설 스포츠 센터(강남구, 마포구) 2곳 이었으며, 연구자와 선정 시설을 이용하는 보조연구자 2인이 시설에 직접 방문하여 연구목적 및 진행에 대한 설명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7년 2월부터 4월 초까지 약 2개월 간 이루어졌으며, 연구자가 직접 방문조사 한 시설은 공공체육시설 3곳이었고, 보조 연구자 2인은 각자 이용하는 사설 스포츠 센터에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인 만큼 설문조사와 수거가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연구자나 보조 연구자가 동석한 자리에서 내용 설명 후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을 최대한 시도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270부였으며, 이 중 251부가 정상적으로 수거되었다. 이 자료들 중 결측 값이 다수이거나 동일답안에 일괄 표시하는 등 신뢰도가 떨이진다고 판단되는 1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37부가 본 연구 분석에 적용되었다.

연구대상들의 일반적 특성은 <표 1>에 제시되었다. 대상 구성면에 있어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60-64세 집단, 주중 2-3회 운동하는 집단, 2년 6개월 이상 운동 경력 집단, 그리고 10만원 미만의 해당 운동 참여비용을 소비하는 집단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참여종목은 방문조사 당시의 활동 종목을 연구자가 구분한 항목으로, 개인적으로 수행하는 일반 헬스(피트니스 트레이닝) 참여비율이 가장 높았다.

표 1. 
연구대상들의 특성(N=237)
구 분 응답자
(명)
구성비
(%, 반올림)
성별 남자 91 38.4
여자 146 61.6
연령 60-64세 111 46.8
65-69세 60 25.3
70-74세 45 19.0
75세 이상 21 8.9
주중
참여빈도
1회 69 29.1
2-3회 90 38.0
4-5회 62 26.2
6-7회 16 6.8
참여경력 6개월 미만 21 8.9
6개월-1년미만 25 10.5
1년-1년6개월 미만 32 13.5
1년6개월- 2년미만 30 12.7
2년-2년6개월미만 26 11.0
2년6개월 이상 103 43.5
월 참여
비용
10만원 미만 122 51.5
10만원-20만원 미만 67 28.3
20만원-30만원 미만 42 17.7
30만원이상 6 2.5
참여운동 일반헬스 (개인운동) 127 53.6
수영 49 20.7
리듬 운동(무용) 31 13.1
배드민턴 30 12.7

2. 측정 및 분석 변인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연구에 적용된 설문지는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롯, 체육활동 참여제약과 협상, 그리고 참여지속의지 측정문항들로 이루어졌다. 인구통계학적 변인 측정은 성별과 연령, 성별, 참여빈도, 참여경력, 참여비용, 참여종목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구변인인 참여제약, 협상, 그리고 참여지속 의지는 모두 모두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다.

표 2. 
분석 변인의 기술통계량과 신뢰도
요인 문항 요약 M SD
제약 대인적
제약
C1 동료들이 운동을 수줍어 함 2.523 1.144
C2 동료들의 교통 접근성 2.688 1.237
C3 동료들의 경제력 2.793 1.233
환경적
제약
C4 이용객 많아서 불편 2.886 1.262
C5 비용 문제 2.747 1.162
C6 거리가 멀거나 고툥이 불편 3.139 1.306
C7 적절한 프로그램이 없어서 3.308 1.328
내재적
제약
C8 체력이 부족해서 2.371 1.100
C9 운동 중 부상 우려 2.342 1.137
C10 운동을 수줍어 함 3.300 1.235
C11 나의 경제력이 부족해서 2.485 1.044
협상 동반참여
시도
N1 동료에게 운동 참여 권장 3.350 1.135
N2 유사한 환경의 동료를 검색 3.376 1.065
N3 같은 운동에 관심 있는 동료 검색 3.481 1.088
운동
조절
N4 철저한 준비운동 3.705 1.111
N5 지도자와의 심층논의 3.376 1.049
N6 운동 강도 스스로 조절 3.447 .993
조건
극복
N7 적정비용 검색 3.380 1.214
N8 동반참여 가능 프로그램 검색 3.422 1.189
N9 참여비용 확보 적극 노력 3.435 1.197
N10 운동 중심으로 일정 조정 3.262 1.193
참여
지속
의지
IP1 건강관리를 위해 3.236 1.098
IP2 질환과 부상 예방, 치료를 위해 3.241 1.134
IP3 즐거운 삶을위해 3.160 1.057

연구 척도의 내용타당도 검증과정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설문 대상이 60세 이상의 노인들이라는 점이다. 이해도가 높은 문장 구성 기본 전제로, 제약협상 이론에 적용돼온 신뢰도 있는 문항들을 참고하여, 제약, 협상 및 참여지속의지를 함축할 수 있는 문항으로 수정을 시도하였다.

먼저 노인들의 운동 참여 제약 측정을 위해, Hubbard & Mannell(2001)의 협상모형 비교연구에 사용되고, Son et al.(2008)에 의해 50~87세 연령의 여가활동에 적용된 제약 척도, 그리고 국내 노인들의 재활체육에 적용된 은종원(2016)의 설문 문항들을 수정하여 총 1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문항의 수정은 고령사회에 진입한 국내 노인들의 행동 특성이 보다 세분화 되어야 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이루어졌으며, ‘운동을 할 체력이 없다.’는 내용의 Son et al.(2008)의 건강관련 내재적 제약은 ‘체력저하’와, ‘부상에 대한 두려움’ 문항으로 구분 되었다. 또한, 시설을 이용한 체육활동인 만큼 참여비용 등 경제력에 의한 제약이 측정되어야 한다고 보아, 이용요금을 구조/환경적제약에, 동료의 경제력을 대인적 제약에, 그리고 참여비용을 결정하는 경제력을 내재적 제약 문항에 각각 포함시켰다.

다음으로, 협상 측정을 위해, Guo & Schneider(2015)가 개발한 제약 협상 척도, 은종원(2016)의 연구에서 50대 이상의 운동 참여 협상 척도에 포함되는 ‘참여 형태 및 방법 조절, 동반 참여를 위한 인적 구성, 참여환경 및 조건을 극복’ 등 3요인에 해당하는 10문항을 추출하여 본 연구 대상에 맞게 수정하였다. 문항수정에 있어서, 참고자료의 ‘(부상을 막기 위해) 운동전 스트레칭을 반드시 한다’, ‘단체 프로그램 검색’ 등 과 같은 문항들의 경우 ‘다치지 않기 위해 준비운동을 철저히 한다.’, ‘동료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운동이나 프로그램을 찾는다.’ 로 수정하는 등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지속의지 측정은 Alexandris et al.(2011)의 연구, 권관배(2016)의 연구에 사용된 참여지속 의지 문항을 참고하여, 단순 참여의지, 참여지속에 대한 목적, 참여지속 결심을 포함하는 복합차원의 3문항을 설정하였다. 즉, 건강 유지, 질환 관련 효과, 즐거운 삶을 ‘목적’으로 ‘운동을 할것이며’ 이를 ‘지속적’으로 이어 갈 것이라는 세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3. 자료처리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양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Window용 SPSS 20.0 V과 AMOS 20.0 V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먼저, 연구대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 및 빈도분석이 이루어졌고, 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모든 분석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95% (p<.05)로 설정하였다.

4.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 사용된 제약과 협상, 그리고 종속변인인 참여지속의지 문항들이 선행연구 자료와 신뢰도를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나, 문항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졌으므로, 신규 요인의 존재 여부 및 구성 타당도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차후 구조모형 분석과정에서 단일잠재요인으로 적용될 종속변인(참여지속의지)을 제외한 참여제약과 협상의 구성개념들의 공통요인을 검출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요인추출방법은 공통요인분석 중 주축요인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사각회전(직접오블리민)을 통해 문항집단을 도출하였다.

먼저, 노인운동 참여제약 11문항을 분석한 결과, 제약 문항 10(C10: 운동을 수줍어 함)의 공통 분산이 .059로 매우 낮게 나타나고 요인적재값도 .164로 독립된 문항으로 검출되는 바, 문항삭제를 결정 하였다. 한 개의 문항 제거 후 실시한 2차 요인분석 결과, 전체 공통분산 평균은 .59로 나타났으며, 모형적합성 평가 결과, KMO 지수 .819, Bartlett 구형성은 근사χ2 값이 1062.191(df=55, p=.000)로, 요인분석 진행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패턴 행렬과 구조행렬 검색 결과, 제약문항 7(C7: 적정 프로그램 부재)의 공통분산(.253)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문항 적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시설 운동 참여 노인들의 선택조건에 중요하게 적용될 것으로 보이는 ‘프로그램 관련 문항’이라는 점, 신뢰도를 나타내는 크롬바 알파 수치가 이 문항을 포함할 때 .800로 충분한 신뢰도를 유지하고 있는 점, 그리고, 패턴행렬 .380, 구조행렬 .485 로써, 237개의 샘플 수에 허용될 수 있는 적재량을 보인다는 점(김계수, 2011)을 감안하여, 문항을 유지하기로 결정하였다<표 3>. 이에, 참여제약 측정문항들은 대인적 제약 3문항, 환경적 제약 4문항, 내재적 제약 3문항등 총 3요인 10문항으로 축약되었다.

표 3. 
참여제약 탐색적 요인분석
요인
1 2 3 알파
패턴 구조 패턴 구조 패턴 구조
C1 -.031 .407 .221 .448 -.586 -.657 .799
C2 .060 .526 -.062 .289 -.806 -.817
C3 .106 .550 -.057 .295 -.767 -.808
C4 .634 .749 .024 .332 -.176 -.570 .800
C5 1.014 .929 -.027 .302 .123 -.481
C6 .688 .701 .000 .266 -.022 -.439
C7 .404 .499 .091 .283 -.102 -.384
C8 .035 .395 .675 .760 -.177 -.474 .824
C9 -.036 .318 .878 .882 -.042 -.378
C11 .061 .266 .735 .711 .116 -.221

표 4. 
협상 탐색적 요인분석
요인
1 2 3 알파
패턴 구조 패턴 구조 패턴 구조
N1 .197 .553 .239 .539 .368 .598 .801
N2 -.046 .466 -.051 .386 .949 .898
N3 .191 .626 .179 .574 .570 .767
N4 -.042 .388 .683 .671 .028 .339 .740
N5 .066 .495 .626 .708 .086 .431
N6 .018 .436 .750 .730 -.064 .314
N7 .814 .789 .051 .496 -.099 .393 805
N8 .599 .746 .062 .519 .191 .565
N9 .483 .595 .156 .463 .029 .382
N10 .777 .728 -.113 .375 .035 .424

다음으로, 협상요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전체 공통분산 평균은 .56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적합성 평가 결과, KMO 지수 .868, Bartlett 구형성은 근사χ2 값이 968.706(df=45, p=.000)로 나타나 요인분석진행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패턴 행렬과 구조행렬 검색 결과, <표>와 같이 협상측정변인들은 동반참여시도 3문항, 운동조절 3문항, 조건극복 4문항 등 총 10문항이 유지되면서 3요인으로 축약됨을 알 수 있다.


Ⅲ. 결과
1. 총합척도 구성

본 연구 목적은 노인체육 참여자들의 제약 협상 과정을 통해 참여지속의지에 이르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고자 한 바, 보다 명료한 모형구축을 위해 총합척도를 이용하여 관측변수를 축약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단일 차원성이 검증된 제약 10문항은 총합평균을 통해 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환경적 제약의 3요인으로, 협상 10문항 역시, 동반참여시도, 운동조절, 조건극복 등의 3요인으로 축약되었다.

표 7. 
총합 요인별 기술통계량
N 평균 표준편차
IP 건강관리 237 3.236 1.098
IP 예방/치료 237 3.241 1.134
IP 즐거움 237 3.160 1.057
C 환경적 237 3.020 1.001
C 대인적 237 2.668 1.018
C 내재적 237 2.399 .941
N 환경극복 237 3.375 .952
N 운동조절 237 3.509 .853
N 동반자검색 237 3.402 .927

2. 가설 검증 : 2단계 접근법
1) 측정 모형 검증 : 확인적 요인분석

위와 같은 통계분석 과정을 거쳐, 제약, 협상, 참여지속의지 등 3개의 잠재 변인과 9개의 관측변인으로 이루어진 연구모형이 구성되었다. 가설검증은 Anderson 과 Gerbing이 제안한 2단계접근법(김계수, 2011; 우종필, 2012)을 적용하여, 측정모형 분석 단계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단계 작업으로써, 측정된 표본 자료와 요인모형의 이론적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와 같이 모형의 적합성 검증 결과, χ2 값이 57.635(p=.000), 자유도 24로 p<.05 기준에서 데이터의 모형지지 가설이 기각된다. 그러나, 표본 수에 변동 폭이 심한 χ2 값을 보완하는 복수의 적합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Normed χ2, RMR, GFI, NFI, TLI, RMSEA 값을 통해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표 5. 
연구모형 적합도
항목 N/C RMR GFI NFI TLI CFI RMSEA
기준 a<3 a<.08 a>.9 a>.9 a>.9 a>.9 a<.08
모델 2.401 .057 .947 .922 .929 .952 .077

그 결과 <표 4>와 같이, 표와 같이 Normed χ2 이기준치인 3 이하이고, 그 밖의 적합지수들이 모두 권장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어 , 적합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으로 볼 수 있었다(우종필, 2012).

이어서, 모형을 이루는 측정개념들의 집중 타당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적재량 및 개념 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AVE)값을 산출하였다. 표와 같이 참여제약과 협상, 그리고 참여지속의지를 이루는 9개 측정 개념들의 표준적재값이 모두 .5 이상을 보이고 있고, 잠재변인 3가지 모두 개념신뢰도 권장수지치인 .7이상을 보이고 있으며, 제약 요인(.482)을 제외한 협상과 참여지속의지 모두 AVE .5 이상의 권장수치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약요인의 경우, 내재적 제약의 적재량이 타요인에 비해 낮아 요인을 조정하거나 삭제할 경우 AVE 값의 기준치를 충족할 수 있으나, 가장 내면적 제약에 해당하는 요인이 연구에 적용될 필요성, 그리고 노인들의 제약과 같이 탐색적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권장값에 근접한 .482는 수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류성옥, 오치옥, 이훈, 2012)<표 5>.

표 5.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계수 표준
계수
표준
오차
t AVE 개념
신뢰도
제약 내재적 1.000 .510 .653 .482 .731
환경적 1.540 .738 .454 6.377
대인적 1.653 .778 .407 6.292
협상 동반참여시도 1.000 .791 .320 .610 .823
운동조절 .760 .653 .416 9.093
조건극복 1.028 .791 .337 10.232
참여
지속
의지
건강관리 1.000 .716 .586 .581 .805
예방/치료 1.294 .898 .249 10.947
즐거움 .993 .738 .507 10.370

다음으로, 각기 다른 개념 측정치들이 낮은 상관을 보일 때 증명되는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변인간 상관계수 제곱이 AVE 값보다 작아야 한다는 기준을 적용하였다(김계수, 2011). 표와 같이 제약과 협상, 참여지속의지간의 상관계수를 제곱해도 해당 AVE 값을 초과하는 항목이 없으므로, 판별타당도 역시 충족 된 것으로 볼 수 있다<표 6>.

표 6. 
상관관계 및 판별타당도 검증
잠재변인 간 상관관계(a=AVE)
제약 협상 참여지속의지
제약 .482a
협상 .324 .610a
참여지속 -.039 .470 .581a
관측변인 간 상관관계
제약 협상 참여
대인적 환경적 내재적 조건
극복
운동
조절
동반
참여
시도
즐거움 예방/
치료
건강
관리

대인적 1.000
환경적 .574 1.000
내재적 .397 .376 1.000

조건
극복
.199 .189 .130 1.000
운동
조절
.164 .156 .108 .517 1.000
동반참여
시도
.199 .189 .130 .626 .516 1.000

즐거움 -.022 -.027 -.022 .275 .334 .266 1.000
예방/
치료
-.021 -.026 -.020 .227 .276 .220 .663 1.000
건강
관리
-.015 -.018 -.014 .275 .334 .266 .528 .642 1.000


그림 2. 
구조방정식 모형 및 표준계수

노인들의 운동참여 제약과 협상, 참여지속의지 요인들의 타당도 와 신뢰도 검증 및 측정 모형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에 이어서 연구목적에 따른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설정 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본 결과,

χ2=57.635, df=24(p=.000)로 측정되어 이 역시 복합적 적합수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Normed χ2=2.401 GFI, GFI=.947, CFI=.952, RMR=.057 TLI=929, RMSEA=.077 로 나타나,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과 동치모형으로서 같은 수준의 전반적 적합수치가 확인되어 분석진행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우종필, 2012)<표 8>.

표 8.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
항목 N/C RMR GFI NFI TLI CFI RMSEA
기준 a<3 a<.08 a>.9 a>.9 a>.9 a>.9 a<.08
모델 2.401 .057 .947 .922 .929 .952 .077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는 <표 9>, <표 10>과 같다. 노인들의 운동 참여제약은 협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t=3.510, p<.001)을 미치고 있어 제약과 협상의 관계를 설정한 가설1은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제약이 노인들의 운동 참여지속의지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영향(t=2.472, p<.05)을 보이고 있어, 두 변인간의 관계 유의한 관계를 설정한 가설 2가 채택되었다. 또한, 노인들의 운동 참여 협상 노력은 참여지속의지에 강한 정적 영향(t=5.812,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 역시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협상이 제약과 참여지속의지를 매개하는 효과를 예측한 가설 4를 검증하기 위해, 표와 같이 간접효과 및 유의성 검증을 시도하였다. 표와 같이, 제약과 참여지속의지 간에는 -.039의 총효과가 직접효과 -.213과 간접효과 .175로 분해 된다. 여기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계산 1000, 유의수준 95%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약과 참여지속의지의 간접효과 유의 범위 내에 0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p=.003을 보여 p<.05 기준에서 협상의 매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증명되었다(김계수, 2011).

표 9. 
구조모형 분석 및 가설 1, 2, 3의 검증 결과
가설경로 계수 표준
계수
표준
오차
t 채택
여부
H1 제약 → 협상 .508 .324 .145 3.510*** o
H2 제약 → 참여지속 의지 -.350 -.213 .141 -2.472* o
H3 협상 → 참여지속 의지 .563 .539 .097 5.812*** o
p*<.05
p***<.001

표 10. 
효과 분해 및 가설 4의 매개효과 유의성검증 (Bootstrapping)
가설 경로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제약 협상 .324 324***
동반참여시도 .256
운동조절 .211
조건극복 .256
협상 참여지속의지 .539 539***
즐거움 .398
예방/치료 .484
건강관리 .386
제약 참여지속의지 -.039 -213* .175**
즐거움 -.029 -.029
예방/치료 -.035 -.035
건강관리 -.028 -.028
H4 매개 경로 유의구간(95%) 채택
여부
상한 하한 p
제약 → 협상 → 참여지속의지 .313 .071 .003 0
p*<.05
p** < .01
p*** < .001

즉, 제약과 참여지속의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관계에 있지만, 제약이 참여지속의지를 크게 줄이는(-.213)역할을 하는 반면, 협상 노력을 통해(.175) 그 감소폭을 완화시키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협상의 매개효과에 관련된 가설 4 역시 채택되었다.

3. 논의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들의 운동참여 제약과 협상, 그리고 참여의지에 대한 관계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양적 연구방법에 의한 통계분석 결과들이 시사 하는 바를 논의함에 있어, 특별히 고려한 점은 요인의 연계성이다.

제약협상이론은 행동 결정 과정의 심리적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므로, 개별분석뿐만 아니라, 보다 복합적인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본연구의 설정 모형은 ‘참여지속 원인을 동반한 지속의지’ 이전의 방해요소 인지와 극복노력 간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즉, ‘발생’영역에 해당되는 제약과 협상의 관계는 개별적 해석이 의미가 있으나, 제약과 참여지속의지, 협상과 참여지속의지의 관계는 제약-협상-참여지속의지라는 복합관계안에서 보다 명확한 의미를 갖는다. 위와 같은 기조 안에서 다음과 같이 논의해 볼 수 있다.

1) 노인들의 운동참여 제약의 정도는 협상노력과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약협상모델의 구조모형 비교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 Hubbard와 Mannell(2001)은 제약효과 완화모델을 통해, 제약이라는 부정적 요소가 오히려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협상을 유발시켜 결과적으로 여가활동 참여 저하를 막게 된다는 점을 주장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비롯한 많은 제약협상이론 연구들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국내의 황선환과 서희진(2009)의 협상모형, 예비 노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은종원(2016)의 연구에서도 제약이 협상 노력을 유발한다는 결론으로 두 변수의 관계를 정리한다. 제약과 협상에 대한 일률적인 연구결과가 지속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협상의 역할에 대한 재정립을 요구하는 연구도 존재한다. Son et al.(2008)은 여가제약이 여가제약 협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다고 보고하였으며, Ma, M., & Ma, C., 2014의 심리적 웰빙과 제약협상과정 연구도 이를 지지하고 있다.

즉, 제약을 협상으로 극복하는 과정에 대한 논리가 두 방향으로 갈리는 상황에 있으며, 특히 제약과 협상의 무관계를 주장하는 측은 연구 대상과 상황에 따라 협상의 의미를 재해석 하는 단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두 가지 주장 모두, 본 연구와 다르게, 배경요소인 참여 동기를 분석 모형에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다른 차원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서론에서 제시하였듯이, 본 연구는 고령한국사회의 노인운동 참여 노력의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참여동기 등 타 배경심리들을 독립변인으로 구성한 연구들과 다르게, 참여지속의지라는 복합 개념을 결과 변인으로 설정한 것이다. 즉, 본 연구에서의 인과모형이 보여주는 모든 결과는 ‘노인들의 운동참여 협상 정도’와 직접적으로 연계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노인운동참여자들의 참여 방해요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는 점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인지하는 대인적, 환경적, 내재적 제약들은 동료들과의 동반참여, 운동 참여에 대한 조건들을 변화시키는 노력으로 이어간다는 점에서 김춘종, 구교만, 황종문(2012)의 노인운동 제약 분석과 상통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비용에 관련된 제약요소의 평균이 가장 높고, 이어지는 협상 노력들 중 동료들과의 동반참여 및 비용 검색 정도가 높게 나타난 다는 점에서, 경제력이 약회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여가 서비스 개발과 공공 시설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이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2) 노인운동 참여 제약은 참여지속의지를 저하시킨다.

 

3) 노인운동 참여제약 협상노력은 참여지속의지를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4) 노인운동 제약 협상노력은 제약에 인한 참여지속의지 저하를 완화시켜준다.

참여지속의지를 참여행위로 간주했을 때, 노인들의 운동참여 제약과 협상, 협상과 참여지속의지, 그리고 제약과 참여지속의지간의 개별적 관계는 Hubbard와 Mannell(2001)의 제약완화 모형, Lyu & Oh(2014)의 제약 세분화 협상모형, Loucks & Mannell(2007)의 중·노년층의 재활운동 제약협상 모형 분석 등과 일치된 결과를 보인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에서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협상의 매개 효과, 즉, 제약을 완화하고 참여를 고취시키는 노력의 크기가 유의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은 본 연구의 의미라 할 수 있다. 노년층의 운동 참여제약이 협상에 강한 정적 영향을 보이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다른 활동 촉진 요인들이 배제된 상황에서의 협상의 의미와 방향이 분명한 '극복 노력'에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이는 다양하고 개별적인 운동 참여 원인들로 인해 ‘꾸준한 참여’로 이어지는 구조 안에서, ‘함께 할 동료’, ‘건강상태’ ‘비용 시설 등의 환경요인’ 등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동반됨을 말한다.

반면, 제약이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가 예비노인들의 체육활동에서 밝혀진 고보숙(2010), 동계스포츠 활동 제약이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손승범, 김보람(2014), 또한 자원봉사를 통한 신체활동제약이 협상과 관련이 없다고 본 Son et al.(2008)의 연구 등, 연구대상 혹은 종속변인이 본 연구와 유사함에도 다른 결과를 보인 연구들이 있었다. 이 원인은 보다 심층적인 질적 분석을 통해 설명된 바 있다. 여가활동을 비롯한 자의적 활동참여에 있어서, 제약의 인식이 참여율을 저하시킨다는 일반적인 주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제약과 참여의지간에 발생하는 긍정적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활동참여를 방해하는 요인들은 극복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그 제약을 인정하고 수용하면서도 충분히 참여지속이 가능하다고 본 노혜영, 이철원(2004)의 연구, 제약과 참여지속의지 사이에 애착이 작용함을 밝힘으로써, 심리적 제약요인이 다른 한편으로는 같은 강도의 참여욕구로 해석될 수 있다고 본 Alexandris et al(2011)의 연구를 통해 이러한 긍정적 관계가 설명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도 노인 운동 참여자들의 참여지속의지에 제약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있음이 나타나 일반적인 학설을 지지하고 있지만, 건강상태와 인지적 상황으로 구성된 ‘내재적 제약’의 경우, 참여의지의 하부요인인 ‘건강관리’와 부적 상관관계가 가장 약한점(r=-.014), 그리고 제약요인과 ‘건강관리’의 관계가 가장 낮은 부적관계를 보이고 있다는 점(β=-.028)은 위의 연구들과 유사한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즉, 요인 구성내용을 살펴보면, 자신의 건강에 대한 걱정이나 부상에 대한 두려움은 분명 운동을 시작하는데 방해가 되는 제약인 반면, 그러한 성향은 건강관리 및 부상예방을 위한 행동 심리와도 상통할 수 있다고 볼 여지가 있다. 노인의 염려와 심리적 제약을 상쇄할 적절한 프로그램이나 운동방법의 보급 여부에 따라, 운동참여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긍정적 전환도 기대할 수 있는 이유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된 운동시설 이용노인들의 경우, ‘제약 요인들이 참여의지를 줄이지만 협상노력을 통해 참여지속의지의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본적인 구도가 증명되었다. 이 결과의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는 각 요인의 구성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주목할 수 있는 첫 번째는, 제약과 참여지속의지의 관계, 그리고 협상과 참여지속의지의 관계 모두에서 독립변수와의 회귀 계수가 가장 높은 하부 요인은 ‘질병, 부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참여지속(IP2)’ 항목이라는 결과 이다. 노인들의 자발적 여가활동으로서의 운동참여심리가 본 연구의 구성변인이라는 점을 명확히 할 때, 이와 같은 결과는 노인들이 인지하는 신체적 여가활동 및 건강관리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고 본다. 신체적 기능이 저하됨을 인지하는 노년층의 자발적 건강증진활동에는 단순한 관리만이 아닌 질환 예방 및 재활의 의미도 작용한다는 점이다. 서론에 제시한 바와 같이 고령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의 기능, 그리고 노인들의 운동참여지속의지를 구성하는 중요요소가 질환 예방 및 관리라는 점을 고려할 때, 신체적 여가활동과 치료 및 예방 운동의 통합적 역할에 대한 재고도 필요할 것이다(권인선, 박남미, 여정권, 김지연, 2012; 이은석, 2012).

두 번째 주목할 부분은,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시설운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운동참여 비용적 제약에 대한 문항들의 구성에 주목하였다. 기존 연구자료들의 요인구성을 참고하여, 대인적제약, 내재적 제약, 환경 및 구조적 제약에, 금전전 제약 문항들을 포함시켜, 별도의 요인으로 추출될 것을 예상했다. 그러나, 요인분석 결과, 동반자들의 경제력은 대인적 제약으로, 이용비용은 환경적 제약으로, 그리고 자신의 경제력 문제는 내재적 제약으로 각각 분산되어 요인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다른 성격의 제약이라도 그 영역에 부합하는 방식의 금전적 제약이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즉, 보다 안전하고 체계적인 운동 환경 제공이라는 시설운동의 장점을 감안할 때, 노인들의 경제적 접근성을 고려한 지원책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237명의 시설운동 참여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운동 참여 제약, 협상, 참여지속의지 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분산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노인들의 운동참여제약은 협상과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제약은 참여지속의지와 부적관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운동 참여 협상전략은 참여지속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상전략은 운동 참여제약과 참여지속의지 사이의 부정적 영향을 줄여주는 매개효과를 보인다.

노인들의 운동참여가 국가적 보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기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노인들의 운동참여 협상 및 참여지속 심리과정 모형이 시설과 비용, 프로그램 등의 제반조건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실증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References
1. 강용규, (2012), 메타분석을 통한 노인 여가 활동 중 레크리에이션과 운동재활의 연계성 모델 개발: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운동재활학회지, 8(2), p37-51.
2. 고보숙, (2010), 예비노년층의 여가활동 참여동기와 제약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2(1), p249-269.
3. 권관배, (2016),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Constraint, Negotia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Sport Participation of the Deaf,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4. 권인선, 박남미, 여정권, 김지연, (2012), 운동재활프로그램으로써의 생활무용 참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 8(4), p3-14.
5. 김경식, (2009), 사회체육 참가자의 여가제약 극복 과정 구조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2(1), p61-76.
6. 김계수, (2011),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7. 김성수, (2010), 한국 예비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결정요인 탐색과 성공적 노화행동과의 관계 모형,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8. 김춘종, 구교만, 황종문, (2012), 한국 예비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결정요인 탐색과 성공적 노화행동과의 관계 모형, 한국재활학회지, 8(1), p75-88.
9. 노혜영, 이철원, (2004), 진지한 여가경험으로서 스노보드 체험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4), p671-683.
10. 류성옥, 오치옥, 이훈, (2012), 장애인의 관광활동 제약협상 과정, 관광학연구, 36(1), p287-305.
11. 손승범, 김보람, (2014), 동계스포츠 참가자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참가의도 간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3(2), p395-406.
12. 우종필, (2012), 우종필교수의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Amos 4.0~20.0 공용, 서울, 한나래 출판사.
13. 은종원, (2016),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constraint, negotia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on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rehabilitation exercise,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4. 은종원, 이승범, (2017), 중·노년의 재활운동 참여제약 협상요인 타당도 검증, 한국웰니스학회지, 12(1), p337-346.
15. 이은석, (2012), 운동재활의 연구동향과 융복합학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한국운동 재활학회 2012 춘계호, p23-44.
16. 이재환, (2016), 장애노인 신체활동 참여 제약요인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4(3), p83-96.
17. 이지현, 한경혜, (2012), 예비노인의 친구관계망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2), p170-205.
18. 행정안전부, 2017, Sep, 4, 17년 8월말 주민등록 인구수 5178만명- 65세 이상 인구수 7,257,288명으로 전체 인구 14%, 보도자료, 2019. 09. 04.
19. 황선환, 서희진, (2009), 여가제약, 여가제약 협상 및 진지한 여가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20(2), p298-307.
20. 황선환, 최홍석, 한승진, (2010), 여가제약, 여가제약 협상 및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 스키어를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 21(1), p974-983.
21. 황선환, 한승진, (2010), 여가제약효과완화 모델과 인지된 여가제약감소 모델 비교,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3), p161-171.
22. Alexandris, K., Daniel, C. F., Pritchard, M., (2011), The Impact of Constraints on Motivation, Activity Attachment, and Skier Intentions to Continu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3(1), p56-79.
23. Guo, T., Schneider, I., (2015), Measurement Properties and Cross-Cultural Equivalence of Negotiation with Outdoor Recreation Constrai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Copyright, 47(1), p125-153.
24. Hubbard, J., & Mannell, R., (2001), Testing competing models of the leisure constraint and negotiation process in a corporate employee recreation setting, Leisure Sciences, 23, p145-163.
25. Jackson, E. L., Crawford, D. W., & Godbey, G., (1993),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Leisure Sciences, 15, p1-11.
26. Kay, T., & Jackson, G., (1991), Leisure despite constraints: The impact of leisure constraints on leisure particip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3(4), p301-13.
27. Loucks-Atkinson, A., & Mannell, R. C., (2007), Role of self-efficacy in the constraints negotiation process: The case of individuals with fibromyalgia syndrome, Leisure Sciences, 29, p19-36.
28. Lyu, S. O., & Oh, C. O., (2014), Recreationist's Constraints Negotiation Process for Continual Leisure Engagement, Leisure Sciences, 36(5), p479-497.
29. Lyu, S. O., & Oh, C. O., & Lee, Hoon, (2013), The influence of extraversion on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process-A case of korean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5(2), p233-252.
30. Ma, S. M., & Ma, S. C., (2014), Testing a Structural Mod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nstraints Negotiation in Recreational Sports Participation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Leisure Sciences, 36, p268-292.
31. Son, J. S., Mowen, A. J., & Kerstetter, D. L., (2008), Testing alternative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models: An extension of Hubbard and Mannell's study, Leisure Sciences, 30, p198-216.
32. White, D., (2008), A structural model of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in outdoor recreation, Leisure Sciences, 30, p34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