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7 , No. 4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7, No. 4, pp. 91-100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3
Received 12 Nov 2023 Revised 20 Dec 2023 Accepted 24 Dec 2023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3.12.47.4.91

신자유주의 시대의 노동과 여가스포츠 현상에 관한 고찰
김미혜1 ; 신규리2 ; 김권일3
1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구교수
2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3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책임연구위원

Work and Leisure Sports in an Era of Neoliberalism
Kim, Mihye1 ; Shin, Kyulee2 ; Kim, Kwonil3
1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2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3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Correspondence to : Kim, Kwonil E-mail: apa06@kspo.or.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leisure sports phenomena appear in an era of neoliberalism, an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phenomena occur.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based on previous studies, competitive labor and the lives of workers that appeared during the period were discussed. This takes into accou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leisure is mutually exclusive and complementary. Second, four major leisure sports phenomena were identified. Thir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se phenomena occur was interpreted, and leisure reflection was presented. These research results may contribute to grasping the meaning of work and leisure during this period and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leisure.


Keywords: Neoliberalism, Work, Leisure, Sports, Autonomy, Self-Development
키워드: 신자유주의, 노동, 여가, 스포츠, 자율성, 자기계발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23.01.12). “인문.여가문화로 중장년의 활력 회복과 재도약 지원”.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4529
2. 권기남, 임수원(2009). 상류계급 골프참여자들의 구별짓기와 계급 공고화 전략. 한국체육학회지, 48(6), 87-98.
3. 김문정(2016). ‘신자유주의적 개인주의’와 자율성 존중의 원칙.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9(3), 267-281.
4. 김미혜, 신규리(2022). 현대사회 실존적 공허에 대처하는 여가참여의 방향. 한국융합과학회지, 11(5), 71-80.
5. 김석수(2007). 21세기 사회와 시민자치: 자율, 인정, 연대, 그리고 자치를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14, 1-34.
6. 김석수(2010). 자율성의 운명과 우리의 현실: 서구자율성 이론과 연계하여. 사회와 철학, 19, 101-128.
7. 김유식, 이솔잎, 김아름(2012). 직장인들의 여가만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6), 401-410.
8. 김종민(2010). 여가스포츠에 대한 이해와 활성화 방안. 스포츠과학논문집, 22, 1-13.
9. 김진숙(2017). 임금근로자의 근로시간·가사노동시간·여가시간과 신체활동 실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문화관광부(2007). 2006 여가백서.
11. 문화체육관광부(2022). 2022 국민여가활동조사.
12. 박소진(2009). ‘자기관리’와 ‘가족경영’시대의 불안한 삶: 신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적 주체. 경제와사회, 12-39.
13. 박재우, 임승엽(2014). 창조경제와 여가산업 정책: 사회적 가치 전환 시대의 논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3), 126-140.
14. 박정열, 전은선, 손영미, 신규리(2016).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국내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 여가학연구, 14(4), 1-22.
15. 박지남, 천혜정(2012). 청년세대의 ‘나 홀로 여가’ 문화. 여가학연구, 10(2), 87-105.
16. 박현미(2015). 노조가 노동자 여가에 관심 가져야-남녀노동자 생활세계 연구: 한국노총 20~30 대 조합원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월간 한국노총, 514, 26-27.
17. 서미혜(2017). SNS 이용이 상대적 박탈감과 객관적 주관적 경제 지위 간 격차를 거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83, 72-95.
18. 손윤락(2018).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축제와 시민의 여가, 그리고 관조. 인문논총, 75(3), 79-110.
19. 신민희(2018). 서바이벌 오디션에 나타난 노동의 구조와 죽음의 정치. 인문학논총, 46, 99-122.
20. 안숭범(2022). 불공정 피로사회, 비상식 투명사회의 폭력구조-< 오징어 게임 >,< 지옥> 론. 문화콘텐츠연구, 24, 7-37.
21. 양선희(2023). 미디어가 재현하는 ‘바디프로필 권하는 사회’: MZ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2(2), 7-36.
22. 윤상우(202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발전모델의 지속과 변화. 아시아리뷰, 12(2), 7-40.
23. 이소은, 김정영, 박찬경, 이성민(2013). 몸과 관계 맺기, 자기를 상상하기: 자기관리 전술로서의 헬스. 언론과 사회, 21(2), 73-118.
24. 이재성(2020). 플랫폼 노동과 디지털 노동수기:‘투잡’배달 노동 담론과 논증 구조. 도시연구, 17, 95-132.
25. 장상철(2021). 외환위기 이후 한국에서의 신자유주의의 내부화. 현상과 인식, 45(2), 35-58.
26. 장상환(2006). 케인스주의의 의의와 한계. 마르크스주의 연구, 3(1), 58-87.
27. 장훈, 강원택, 김영순, 구갑우(2000). 영국에서 국가성 변화의 이숭성에 대한 연구: 케인즈주의 국가에서 신자유주의적 국가로. 국제정치논총, 40(3), 297-316.
28. 정성호, 김창우, 이광호(2009). 신자유주의에 따른 태권도장 교육관의 변화.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7(4), 113-129.
29. 중소기업연구원(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자영업 생태계 변화 전망과 대응전략.
30. 박종민(2021. 09. 14.). 건강? 친목? 과시? MZ세대의 ‘골프 활용법’. 한스경제. http://www.hans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4813
31. 보건사회연구원(2013). 노동시장 유연성과 복지의 관계에 대한 외국사례의 시사점. 보건·복지 ISSUE & Focus, 187.
32. 엄혜진(2016). 신자유주의 시대 여성 자아 기획의 이중성과 ‘속물’의 탄생: 베스트셀러 여성 자기계발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32(2), 31-69.
33. 오지현, 차영화, 김서현, 박해란, 최샛별(2021). 수평적 취향공동체를 통한 새로운 구별짓기: 독서모임 커뮤니티< 트레바리> 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9(2), 183-244.
34. 이석무(2022. 09. 23.). [테니스열풍]너도나도 테린이..MZ세대는 왜 테니스에 열광하나. 이데일리. https://v.daum.net/v/20220923050050759
35. 이영자(2011). 신자유주의 시대의 초개인주의: 개인주의의 후기 근대적 변종. 현상과인식, 35(3), 103-127.
36. 이종선(2002). 한국 신자유주의적 구조개혁과 노동시장 변화: 유연화의 패러독스. 한국사회학, 36(3), 25-45.
37. 이창섭, 남상우(2014). 청소년이 인식하는 비만의 사회적 표상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53(1), 53-64.
38. 임새미, 김찬룡(2022). 생활체육 테니스동호인들의 여가문화 향유.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5(4), 114-128.
39. 임재구, 김덕중(2015). 여가스포츠 소비양식에 따른 취향성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9(1), 283-293.
40. 차승은(2011). 노동시간에 따른 시간압박과 여가제약: 건강행동의 선택 혹은 희생?. 한국인구학, 34(2), 65-90.
41. 차승은(2014). 유급노동시간, 시간압박감 그리고 휴식의 효과. 한국인구학, 37(3), 25-52.
42. 최지원, 서문기(2018). 성찰적 여가를 통한 ‘나’표현하기: 책방 독서모임을 매개로 표현하는 자기 정체성. 문화콘텐츠연구, 13, 7-41.
43. 통계청(2022). 경제활동인구조사.
44. 통계청(2023). 경제활동인구조사.
45. 한국노동연구원(2022). KLI 비정규직 노동통계. 세종.
46. 한병철(2012). 피로사회. 문학과 지성사.
47. 황하연(2023). ‘건강해 보이는’ 몸의 전시: 바디프로필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8. Foucault. M.(2012). 생명관리정치의 탄생(심세광, 역). 난장, Naissance de la biopolitique : cours au College de France, 1978-1979.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49. Steinbach, D., & Graf, C. (2008). Leisure Time and Sedentary Life Style. In Encyclopedia of Public Health///Encyc lopedia of public health: Springer reference: Vol. Volume II IZ (pp. 849-851). Springer 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