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7 , No. 4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7, No. 4, pp. 29-44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3
Received 08 Nov 2023 Revised 09 Dec 2023 Accepted 15 Dec 2023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3.12.47.4.29

Z세대의 여가 라이프스타일이 삶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의 역할
이석동1
1장안대학교 교수

Impact of Generation Z's Leisure Lifestyle on Flow: The Role of Perceived Value and Self-efficacy
Lee, Seok-Dong1
1Janga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Lee, Seok-Dong E-mail: pga2255@hanmail.net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eisure lifestyle of Generation Z, who will emerge as the future consumer generation, influences their flow, and to ident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leisure based on lifestyle by confirming the roles of perceived values and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J University students, and a total of 256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ach sub-factor of leisure lifestyle has a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and flow, and self-efficacy is confirm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flow. Utilitarian value showed moderating effects between family centrality and self-efficacy, as well as between rational planning and self-efficacy. Hedonic value exhibited moderating effects between sensory seeking and self-efficacy, and between rational planning and self-efficacy.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revealed partial mediation of self-efficacy between leisure lifestyle and flow.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anticipated that the leisure lifestyle of Generation Z, by increasing self-efficacy and enhancing flow, especially highlights the crucial role of family centrality. This suggests the potential success of developing various programs related to family-centered leisure activities. Moreover, perceived values can enhance self-efficacy, and since self-efficacy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flow for Generation Z, the application of leisure programs related to these factors is indicated.


Keywords: lgeneration Z, leisure lifestyle, perceived values, self-efficacy, flow
키워드: Z세대, 여가라이프스타일, 지각된 가치관, 자기효능감, 삶의 몰입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장안대학교 2023년도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동현, 김은영(2023).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 게임 사용자의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게임보상 경험의 다중매개효과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4(2), 486-500.
2. 공경배(2022). 노인의 여가 참여동기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10(3), 30-43.
3. 권연수(2019년 10월 25일). 90생이 온다! Z세대 관심사 1위 ‘여가’ 2위 ‘패션’ 주요 의류구매 채널과 선호 브랜드는? 디지틀조선일보, https://digitalchosun.dizzo.com/site/data/html_dir/2019/10/25/2019102580104.html.
4. 김경연, 이경준(2023). 노인의 여가 열정이 자기효능감, 여가몰입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7(2), 99-123.
5. 김동심, 주경희, 김주현(2019). 에코세대와 Z세대 대학생의 취업환경 및 직업에 대한 인식비교. 인문사회 21 10(5), 725-740.
6. 김미혜(2015). 스마트 폰 웹 ESM을 활용한 한국인의 일상적 행복과 몰입,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정훈, 조봉순, 서정일(2021). 원격근무자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8(3), 1-28.
8. 남승미(2021). 대학생의 여가소비성향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동북아관광연구, 17(1), 21-43.
9. 박경숙, 양회창(2017).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쇼핑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3), 23-36.
10. 박연지(2021). 문화예술 여가참여자의 지각적 가치와 여가이득 관계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자연 김광우(2022년 8월 23일). “인생은 플렉스” Z세대는 번돈 30% 거의 다 쓴다, 헤럴드 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823000494.
12. 박혜숙(2016). 신세대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연구 - Z세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7(6):753-767.
13. 손영미, 오세숙, 우성남(2010). 여가 라이프스타일 척도 준거타당도 검증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2), 111-124.
14. 송무용, 양회창(2012).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쇼핑가치와 전통시장 이용경험을 중심으로. 유통과학연구, 10(11), 71-77.
15. 안병욱, 전태준.(2013). 여가활동 참여자의 지각가치와 선택속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7(3), 26-37.
16. 양회창, 이영철(2010). 가맹본부의 리더십 행동유형과 가맹사업자의 관계설속에 관한 실증적 연구: 가맹사업자의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통연구, 15(1), 49-71.
17. 양회창, 전준호, 주윤황(2013). A study on the impact of perceived regulations for sales at super-supermarket and discount store on consumers’ shopping value and subjective well-being. 유통과학연구, 11(11), 83-88.
18. 양회창, 주윤황(2012).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종합 슈퍼마켓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가치, 소비감정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과학연구, 10(2), 19-28.
19. 우성남, 손영미(2009). 여가 라이프스타일 척도개발 연구. 여가학연구, 7(1), 1-26.
20. 유광수(2019). 임금근로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0(32), 3-51.
21. 윤희철, 강현우, 이지항(2015). 신체활동 정도가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4(1), 163-171.
22. 이계곤, 설진배(2016). 스포츠 여가활동 참여동기 및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7(4), 3-24.
23. 이명하, 김미량(2023). 대학생의 여가 라이프스타일 유형 군집화 및 여가태도, 여가몰입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7(3), 17-28.
24. 이병록(2022).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의 슈퍼비전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5), 166-171.
25. 이선우, 한성민(2020). 비경제활동 발달장애인의 문화·여가활동 경험, 자기효능감, 취업의 사와의 관계 :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적용. 문화와 융합, 42(10), 873-902.
26. 이선희(2023).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여가 라이프스타일과 여가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관광진흥연구, 11(1), 71-96.
27. 이영철, 양회창(2012).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전통시장 선택속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소비감정의 조절효과와 소비자 가치의 매개효과. 유통과학연구, 10(1), 33-42.
28. 이일현(2015). EasyFlow회귀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9. 이춘엽, 박영주. (2022).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및 시간관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6(4), 285-295,
30. 이학식, 김영, 정주훈(1999). 실용적/쾌락적 쇼핑가치와 쇼핑만족: 구조모델의 개발과 검정. 경영학연구, 28(2), 505-538.
31. 장유진, 황혜영(2021). 대학 교양필수 수업에서 지각된 교수자 열정과 학생의 수업 노력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내재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고개발 17(2), 69-90.
32. 장훈, 한성열. (2010). 몰입 (flow) 기능의 재구성: 몰입과 행복 관계에 대한 타인맥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4), 43-62.
33. 정난희(2021). 필라테스 참여자의 참여동기 유형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30(2), 241-256.
34. 조철호, 황윤순 (2014). 여가활동의 참여동기가 지각된 가치, 삶의 만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6, 1-28
35. 최현희, 곽정현(2020). 필라테스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행복감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무예연구, 14(1), 143-161.
36. 한지훈(2023). Z세대의 여가활동 행동 분석: 사전지식의 역할. 여가학연구, 21(1), 1-15.
37. 허미룸, 손보영, 방요순(2019). 고객중심 여가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기능,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작업치료학회지, 27(3), 15-31.
38. 홍철의(2022). 보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자기효능감, 생활만족의 상호관계 연구. 국내 박사학위논문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39. 황정진(2021). 가족캠프 참가객의 선택속성이 재참가 의도와 긍정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역산업연구, 44(4), 203-223.
40. Adlai-Gail, W. (1994). Exploring the autotelic person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41. Babin, J. B., & Kim, K. (2001). International students travel behaviour: a model of the travel-related consumer/dissatisfaction process. Journal of Travel and Tourism Marketing, 10(1), 93-106.
42.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43. Bandura, A. (1978),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Advances i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1(4), 139-161.
44.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J: Prentice Hall Press.
45. Bandura, A. (1997). The anatomy of stages of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JHP, 12(1), 8-10.
46. Bandura, A.(2006).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5(1), 307-337
47. Bolton, R. N. & J. H. Drew(1991),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Service Changes on Customer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55(1), 1-9.
48. Cronin, J. J., Brady, M. K., & Hult, G. T. M.(2000). Assessing the effects of quality,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 service environments. Journal of Retailing, 76(2), 193-218.
49.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Collins.
50.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New York: Harper Collins.
51. Csikszentmihalyi, M., & Hunter, J. (2003). Happiness in everyday life: The uses of experience sampl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4, 185-199.
52. Deci, E. L., & Ryan, R. M. (1980). The empirical exploration of intrinsic motivational processes.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3, 39-80). Academic Press.
53. Jones, M. A., Reynolds, K. E., & Arnold, M. J. (2006).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investigating differential effects on retail outcom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 974-981.
54.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NY: McGraw-Hill
55. Overby, J. W., & Lee, E. J. (2006). The effects of utilitarian and hedonic online shopping value on consumer preference and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 1160-1166.
56. Park, C. (2004). Efficient or enjoyable? Consumer values of eating-out and fast food restaurant consump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3, 87-94.
57. Peterson, A. C., & Gunn, L. S. (1984).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design: Principles and procedures (2nd ed). NJ: Prentice Hall.Rudmin, F. (2009). Constructs, measurements and models of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3, 106-123.
58. Sanchez, J., Callarisa, L., Rodríguez, R. M., & Moliner, M. A. (2006). Perceived value of the purchase of a tourism product. Tourism Management, 27, 394-409.
59. Schunk, D. H., & Zimmerman, B. J. (Eds.). (1994).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60. Seligman, M. E.,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Vol. 55, No. 1, p. 5).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1. Stebbins, R. A. (2000). Obligation as an aspect of leisure experienc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2, 152–155.
62. Sweeney, J., & Soutar, G. (2001).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77, 203-207.
63. Wells, A. (1988). Self-esteem and optimal experience. In M. Csikszentmihalyi & I. Csikszentmihalyi (Eds.), Optimal experience (pp. 327-341). New York, 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 Yang, H. C. (2015).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Voice Behavior in Korea Workplac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Flow, Information, 18(9).
65. Yang, H. C., & Ju, Y. H. (2011). Positive integration of the franchise system: A new perspective on leadership, followership, trust and group efficacy, East Asi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1(1), 5-8. 3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