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 No. 2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No. 2, pp. 1-13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21 Apr 2022 Revised 07 Jun 2022 Accepted 17 Jun 2022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2.6.46.2.1

국민 여가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김형민1
1군포산업진흥원 소공인특화지원센터장

Structural Relationship of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National Leisure Life
Kim, Hyeong-Min1
1Gunpo Industry Promotion Agency
Correspondence to : Kim, Hyeong-Min E-mail: bossmin90@gmail.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influence of factors on leisure satisfaction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nd to derive theoretically valid research results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knowledge in related research fields and provide insight into how to improve leisure life. To this end, the "2020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used to extract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eisure life and verify them with the PLS-Structure Equation Modeling (PLS-S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roved that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capital are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isure consumption, leisure policy, and leisure satisfaction. Al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except for the path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polic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10 out of 12 research hypotheses presented in this study were adopt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the 4050 generation with high income levels showed higher leisur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than the 2030 generation, and the 2030 generat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 for government poli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nd verified a research model that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people's leisure life and seek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eisure.


Keywords: leisure attitude, leisure capital, leisure consumption, leisure policy, leisure satisfaction
키워드: 여가태도, 여가자본, 여가소비, 여가정책, 여가만족

References
1. 강내원(2013). 세대집단의 매체이용과 사회자본이 제도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2030세대와 4050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3(4), 5-42.
2. 구희곤, 임수원(2008). 사관생도의 여가스포츠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2), 105-114.
3. 권현재, 박근수(2009). 모험관광 참가와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 376-387.
4. 김경식, 이루지(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424-433.
5. 김민규, 박수정(2018).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의 선진화를 위한 방안 제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2), 11-23.
6. 김선미, 김은하, 정여주(2019). 1인 가구의 여가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0(4), 765-780.
7. 김양례(2009). 여가활동 유형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행복한 삶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20(3), 553-566.
8. 김은수, 정득, 이종석(2020). 공공 여가시설 만족과 여가정책 만족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여가인식의 조절효과: 국민여가활동조사(2018)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4(2), 591-616.
9. 김정운, 이장주(2009).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 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2), 1-15.
10. 노용구(2007). 여가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0, 221-230.
11. 문화체육관광부(2018).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세종시: 문화체육관광부.
12. 문화체육관광부(2020).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세종시: 문화체육관광부.
13. 박병국(2001). 여가스포츠 참여가 여가만족 및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6, 1205-1214.
14. 박진경, 김민주(2011). 여가활동유형별 여가태도와 여가행동 간의 관계: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관광레저연구, 23(4), 387-406.
15. 박희봉, 이희창, 김동욱, 김철수, 박병래(2003). 한국인의 신뢰 수준 및 영향요인: 단체참여 및 개인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대인신뢰, 단체신뢰, 대중매체 신뢰. 한국정책학회보, 12(3), 199-225.
16. 서리나, 오치옥(2016). 일을 할 것인가, 여가를 즐길 것인가: 30대~50대 기혼자의 향후 일-여가 시간투자 의향의 영향요인 분석. 관광학연구, 40(8), 63-82.
17. 송성섭, 김용찬, 김민규(2015). 가족여가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연구: 야외레크리에이션 활동 대상자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3(4), 57-77.
18. 원세연(2021). 대한민국 달라진 국제 위상...지표로 살펴보니. 정책브리핑. Retrieved 2022.02.21., from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94061.
19. 원형중(2005). 우리나라 여성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여가정책.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9(3), 78-96.
20. 유은영, 진현정(2016).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26(7), 79-103.
21. 이명우, 홍윤미, 윤기웅(2016). 여가 활동이 국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30(2), 264-287.
22. 이수현(2017). 청년 여가정책의 필요성 연구: 청년세대의 여가자원 분포 특성 검토를 통하여. 여가학연구, 15(3), 69-71.
23. 이정순(2005). 관광활동, 관광ㆍ여가만족, 웰빙지각과의 관계. 관광연구, 19(3), 75-99.
24.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5. 장순용, 김송희(2003).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4, 17-30.
26. 전형상(2017). 노인 여가정책 수립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노인정책 분석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1), 553-571.
27. 정영금, 윤소영(2018). 1인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2(4), 1-15.
28. 정한경, 문승제(2014). 지각된 건강·여가·온라인커뮤니티활동에 의한 친구·가족관계 향상이 긍정적 국가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18, 653-666.
29. 조성수(2008). 노인의 레크리에이션 참가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30. 차재민(2018). 국민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에 관한 연구: 수정된 IPA를 활용하여. 관광레저연구, 30(5), 209-223.
31. 최성훈, 이연주(2005).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 분석: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체육학회지, 44(1), 567-575.
32. 최순화(2021a). 1인가구의 여가태도, 여가소비, 여가만족의 영향관계 분석: 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3(6), 151-165.
33. 최순화(2021b). 기혼여성 직장인의 문화예술 소비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여성경제연구, 18(3), 25-46.
34. 최순화, 최숙희(2012). 여가자본 연구와 정책과제: 3050 세대를 중심으로. 여성경제연구, 9(1), 177-193.
35. 한국학술지인용색인(2022). 관련 학술지 검색 결과. Retrieved 2022.01.31., from https://kci.go.kr.
36. 한진오, 정득, 이종석(2019).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여가정책만족의 매개효과. 여가학연구, 17(2), 61-85.
37. Ajzen, I., & Fishbein, M. (1977). Attitude-behavior relations: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84(5), 888-918.
38. Bagozzi, R. P., Yi, Y., & Phillips, L. W. (1991).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dministrative Science Quaterly, 36(3), 421-458.
39. Bourdieu, P. (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0.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 ed.).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1. Cronbach, L. J. (1951). Coefficient alph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ests. Psychometrika, 16(3), 297-334.
42. Dijkstra, T. K., & Henseler, J. (2015). Consistent partial least squares path modeling. MIS Quarterly, 39(2), 297-316.
43.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44. Geisser, S. (1974). A predictive approach to the random effect model. Biometrika, 61(1), 101-107.
45. Hair, J. F., Ringle, C. M., & Sarstedt, M. (2011). PLS-SEM: Indeed a silver bulle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9(2), 139-152.
46. Hair, J. F., Risher, J. J., Sarstedt, M., & Ringle, C. M. (2019). When to use and how to report the results of PLS-SEM. European Business Review, 31(1), 2-24.
47. Hair, J. F., Hult, G. T. M., Ringle, C. M., & Sarstedt, M. (2017).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48. Haworth, J., & Lewis, S. (2005). Work, leisure and well-being.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33(1), 67-79.
49. Henseler, J., Ringle, C. M., & Sarstedt, M. (2015). A new criterion for assessing discriminant validity in variance-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43(1), 115-135.
50. OECD (2020). Better life index. Paris: OECD Publishing.
51. Ragheb, M. G., & Griffith, C. A. (198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4), 295-306.
52. Ringle, C. M., Wende, S., & Becker, J. M. (2015). SmartPLS 3. Bönningstedt: SmartPLS GmbH.
53. Ryan, M. J., & Boifield, E. H. (1975). The Fishbein extended model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Sociological Review, 2(2), 118-136.
54. Spiers, A., & Walker, G. J. (2008). The effects of ethnicity and leisure satisfaction on happiness, peacefulness, and quality of life. Leisure Sciences, 3(1), 84-99.
55. Stone, M. (1974). Cross-validatory choice and assessment of statistical prediction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Methodological), 36(2), 111-133.
56. Werts, C. E., Linn, R. L., & Jöreskog, K. G. (1974). Intraclass reliability estimates: Testing structural assumption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4(1), 2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