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No. 1, pp. 105-117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2
Received 10 Feb 2022 Revised 13 Mar 2022 Accepted 21 Mar 2022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2.3.46.1.105

대학생의 여가경험과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데이트 폭력 가해성향에 미치는 영향
김현나1
1청암대학교 교수

The Effect of Leisure Experiences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he Tendency to Perpetrate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Kim, Hyunna1
1Cheongam College
Correspondence to : Kim, Hyun-Na E-mail: hyunna73@naver.com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leisure experiences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heir tendency to perpetrate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when looking at the degree of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most people thought it was serious problems, but they also thought it can be forgiven. It was analyzed that screaming, swearing, or hitting objects, rather than direct violence, were not recognized as serious violence.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sub-factor of dating violence in order to analyze leisure experiences and perpetrators of dating violence. Leisure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violence, but it was analyze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rol behavior,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eisure experiences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heir tendency to perpetrate dating viol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del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showed that leisure experiences are related to the perpetrators of dating violence,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leisure education to reduce the perception of violence and the tendency to violence as a preventive measure.


Keywords: leisure experiences, smartphone addiction, dating violence,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
키워드: 여가경험, 스마트폰중독, 데이트폭력, 데이트폭력가해성향척도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년도 청암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논문임.


References
1. 경찰청(2020). 2020 경찰백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0). 2020 스마트폰 과의존실태조사.
3. 김경주, 서광봉, 이철원(2013). 학교폭력 가해학생들의 문제행동 개선과정 탐색: 교회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7(1), 63-74.
4. 김동기(2009). 가정폭력 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16(6), 135-159.
5. 김동록, 김도선, 조윤오. (2021).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비행과의 관계.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0, 1-23.
6. 김예정(1993). 특속적인 이성교제에서의 갈등표출행동-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2), 127-139.
7. 김예정(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2): 피해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 187-202.
8. 김예정, 김득성. (1999). 데이팅관계에서 폭력집단의 특성과 신체적 폭력 발생의 맥락.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187-211.
9. 김정란(199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7, 1-15.
10. 김지범, 강정한, 김석호, 김창환, 박원호, 이윤석, 최슬기(2018). 한국종합사회조사, 2016.
11. 김태경(2017). 중학생의 여가스포츠 참여가 자존감과 사회성 및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2. 남현미(2003). 대학생 데이트 성폭력 실태와 가해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3.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14. 박계순, 최희남, 이도웅(1999). 스포츠댄스가 청소년기 자기존중감과 잠재적 일탈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8(2), 131-144.
15. 박미경, 김진주, 강균영. (2018). 융복합시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학교폭력 태도, 학교폭력 역할유형 간의 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2), 111-118.
16. 박범기(2021).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이 오프라인 비행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적질연구, 5(2), 31-51.
17. 박선숙(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교정복지연구, (38), 219-242.
18. 박은철(2021). 故황예진씨 CCTV, 사건당일 영상 참혹. cbs뉴스, 11월 4일.
19. 박종구(2012).여가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공격성과 사회재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논총, 24(2), 3-24.
20. 박종구(2017). 교도소 여가활동이 폭력성향의 감소, 사회적 기술함양,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관광학연구, 41(5), 205-220.
21. 박종구(2018). 군대 여가활동이 장병이 복무염증, 심리적 탈진과 폭력충동의 감소, 구타방지에 미치는 효과측정. 대한관광경영학회지, 33(3), 67-87.
22. 백운현(2010), 고등학교 청소년의 데이트 폭력의 경험과 데이트관계의 지각. 청소년학연구, 17(1), 1-32.
23. 서경현(2004).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가정 폭력 피해와 데이트 폭력간의 관계에 대한 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9(1), 147-162.
24. 서경현(2009). 이성관계에서 행해지는 데이트 폭력에 관한 연구의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699-727.
25. 서산성(2014). 스포츠 활동 참여가 중학생들의 사회성, 학교적응 및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6. 서희진(2003). 청소년의 스포츠참가와 또래관계 및 일탈행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2(3). 143-152.
27. 신나민, 안화실(2013). 청소년 사이버 폭력 현황 및 피해· 가해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26(4), 1-21.
28. 신소라, 김연수(2016).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데이트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피해자학 연구. 24(2), 5-32.
29. 양혜린, 김재엽, 류원정. (2021).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공격성이 부모 대상 폭력에 미치는 영향: 조건부 과정 모델링을 통한 도움요청 체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69-92.
30. 염건웅, 구상미, 김래은(2020). 남자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융합정보논문지, 10(9), 164-172.
31. 유선영(2000). 여대생의 가정폭력 피해와 이성교제폭력 피해간의 매개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32. 이선아(1994). 여가활동 참여여부 및 유형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33. 이세미(2013).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사회성,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관계. 건국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34. 이영숙(1998). 이성교제 중 발생한 폭력. 대한가정학회지, 36(4), 49-62.
35. 이윤영, 권순재, 강기희(2012).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가 스트레스와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4), 36-48.
36. 이정현(2022). 김병찬, 이석준 사건 이어 또 비극.가해자분리실패. 연합뉴스. 2월 15일.
37. 이지연, 오경자(2007). 아동기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폭력에 대한 태도와 분노 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2(4), 433-450.
38. 이치균(2007). 스포츠 참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심리적 특성 차이. 성균관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39. 임채영, 정소영, 이명신(2010). 대학생의 폭력인식이 데이트 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5, 147-179,
40. 조수영(2015). 청소년의 여가활동에서 비행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청소년문화포럼, 44, 97-124.
41. 조춘범(2017).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오프라인 비행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비행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5, 317-345.
42. 차현미(2018). 여대생의 데이트 폭력 피해경험 수준이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43. 최진오(2019).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가해 및 사이버불링 피해, 가해의 구조적 관계: 스마트폰과의존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 32(4), 53-78.
44. 하예지, 서미경(2014).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79-103.
45. 한국정보화진흥원(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46. 허준, 이윤호(2012).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비행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8(2), 213-240.
47. Arias, I. (1984). A social learning theory explication of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hysical aggression in intimate heterosexual relationships (spouse abuse, marital viol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48. Arias, I., & Johnson, P.(1989). Evaluations of physical aggression among intimate dyad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4(3), 298-307.
49. Carlson, B. E.(1987). Dating violence: A research review and comparison with spouse abuse. The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Work, 8(1), 16-23.
50. Cate, R. M., Henton, J. M., Kovel, J., Chistopher, F. S., & Lloyd, S.(1982). Premarital violence: A scoail psychological perpective. Journal of Family Issues, 3(1), 79-90.
51. DeMaris, A. (1987). The efficacy of a spouse abuse model in accounting for courtship violence. Journal of Family Issues, 8, 291-305.
52. Foo, L. & Margolin, G.(1995). A mutivariate investigation of dating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10, 351-377.
53. Henton, J., Cate, R., Kovel, J., Lloyd, S., & Christopher, S.(1983). Romance and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Issues. 4(3), 467-482.
54. Lloyd, S., Koval, J., & Cate, R.(1989). Conflict and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In M. A. Pirog-Good & J. E. Stets(eds.).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Emerging Social Issues. New York: Prager, 127-142.
55. Makepeace, J. M. (1981). Courtship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Family relations, 97-102.
56. Puig, A.(1984). Predomestic strife: A growing college counseling concern.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25, 268-269.
57. Riggs, D. S & O’leary, K. D.(1989). A theoretical model of courtship aggression. In Pirog-Good anc Stets(Eds.).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Prager Pub.
58. Riggs, D. S & O’leary, K. D.(1996). Aggression between heterosexual dating partners: An examination of a causal model of courtship aggressio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1, 519-540.
59. Ryan, R. M. (1995). Psychological needs and the facilitation of integrative processes. Journal of personality, 63(3), 397-427.
60. Sigelman, C. K., Berry, C. J., & Wiles, K. A. (1984). Violence in College Students' Dating Relationships 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4(6), 530-548.
61. Stets, J. E. (1992). Interactive processes in dating aggression: A national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65-177.
62. Straus, M. A., Hamby, S. L., Boney-MaCoy, S., & Sugarman, D.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 (CTS2):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Journal of Family Issues, 17, 283-316
63. Sugaman, D. B., & Hotailing, G. T.(1989). Dating violence: Prevalence, context, and risk markets, In M. A. Pirog-Good. & J. E. Stets,(Eds).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Emerging social issues, (pp. 3-30). New York Pra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