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No. 1, pp. 61-75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2
Received 10 Feb 2022 Revised 11 Mar 2022 Accepted 21 Mar 2022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2.3.46.1.61

여가, 스포츠, 미디어에 관한 신문사설의 내용적 프레임 분석
김종순1
1경기대학교 연구교수

A Content Frame Analysis on Newspaper Editorials of Leisure, Sports and Media
Kim, Jongsoon1
1Kyongg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Kim, Jongsoon E-mail: sdivertido@hanmail.net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rame of South Korean newspaper editorials dealing with leisure, sports and media.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set up between 2001 to 2020 and morphological analysis function offered by Big Kinds web site was utilized to assess search wo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year of the most editorials on leisure, sports and media was published was revealed 2018 and followed by 2010 and 2002 and the year of the least editorials published was 2007 by harnessing crossover analysis by year. Second, local newspaper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reporting on the frame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and media and ‘healthy leisure and online gambling’ and ‘media exposure of sports ev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two frames as a result of analyzing frames by the type of newspapers. Third, the main frame concerned with leisure was ‘healthy leisure and online gambling’ and the main frame of sports was ‘media exposure of sports events’ as a result of assessing leisure and sports keyword. Fourth, the digital keyword was the least as a result of analyzing frames on media, online and digital. It is expected that features of the frames presented by year, the type of media and by keyword would suggest an useful linkage between leisure, sports and media.


Keywords: leisure, sports, media, digital, online, newspaper editorials, frame analysis
키워드: 여가, 스포츠, 미디어, 디지털, 온라인, 신문사설, 프레임분석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0S1A5B5A16082842)


References
1. 강민석, 오경수(2007). 디지털미디어시대, 공공서비스콘텐츠 정책 방안.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 경향신문(2018. 1. 8). 네이버, 이번에는 연관검색어 조작했나. 경향신문.
3. 국민일보(2010). 게임산업 육성과 청소년 보호. 국민일보.
4. 국민일보(2013). 초·중·고교에서 스마트폰 사용 제한해야. 국민일보.
5. 국제신문(2020. 7. 27). 프로야구 관중 입장, 또 다른 감염 확산 요인 되지 않길. 국제신문.
6. 김기탁(2020).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에 따른 프로야구 관람문화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6), 138-150.
7. 김용희(2021). 미디어 산업계의 ESG확산과 대응 필요성. 미디어 이슈&트렌드, 46, 6-21.
8. 김종순, 오세숙, 연분홍(2018). 스포츠 VR(Virtual Reality) 콘텐츠의 신문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4), 119-130.
9. 김종환, 손진웅(2016). 미디어 노출을 통한 스포츠 승부조작의 미디어 프레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5(3), 149-159.
10. 김지영, 정영수(2020). 4차 산업혁명의 교육과 e스포츠 활용. 한국웰니스학회지, 15(2), 9-21.
11. 대전일보(2010). 게임 중독 폐해 더 이상 놔둘 일 아니다. 대전일보.
12. 대전일보(2012). 승부조작 근절 없이 프로스포츠 설 땅 없다. 대전일보.
13. 무등일보(2002. 3. 5). 제언-월드컵과 교통문화. 무등일보.
14. 무등일보(2018. 7. 8). 세계수영대회 D-1년 광주 브랜드 가치 높이자. 무등일보.
15. 무등일보(2019. 6. 13). 마스터즈참가자 8천명 수송대책 마련해야. 무등일보.
16. 문화일보(2002. 9.19). TV 가상광고 안된다. 문화일보.
17. 문화일보(2017. 10. 23). ‘뉴스 가치 조작’포털의 言論 왜곡 막을 立法 시급하다. 문화일보.
18. 문화체육관광부(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19. 매일경제(2010. 12. 17). 다채널·중간광고 허용은 곤란. 매일경제.
20. 매일신문(2002. 6. 1). 이태리, 축구도 지고 매너도 졌다. 매일신문.
21. 박성희, 김소희(2015). 여성스포츠 선수에 대한 미디어 보도 프레임: 성 역할 고정관념과 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4(3), 385-394.
22. 박현아, 이재진(2021). ‘게임 자율구제’에 대한 언론 보도의 프레임 분석: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의 자율규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21(4), 43-57.
23. 부산일보(2012. 2. 19). 죄책감 없이 확산되는 ‘스포츠 토토’ 도박. 부산일보.
24. 사혜지, 김민정, 이철원(2021). 비대면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재미, 스포츠몰입과 생활만족의 관계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5(2), 25-38.
25. 어수진(2021). 게임을 통한 메타버스(Metaverse) 속 사회심리적 특성 연구. KOCCA보고서, 2022. 1.
26. 양정애, 김아미, 박한철(2019). 미디어교육의 재구조화: 21세기 한국의 미디어교육 영역 및 구성.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7. 오현석 (2021.7.22.). 스마트TV, 이젠 필수⋯“2026년 TV시장 과반 점유할 것” SA 예측. IT비즈뉴스.
28. 윤준상, 오세윤(2022). 국내 디지털 콘텐츠·미디어 분야 주요 정책 현황 및 R&D 동향. 방송과 미디어. 27(1), 13-20.
29. 이동훈, 김원용(2012). 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 프레임 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30. 이희영, 김정기(2016).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뉴스프레임의 유형: 국내 117개 프레임 연구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60(4), 7-38.
31. 장미경, 민영(2021). COVID-19 백신 보도의 정치화와 극화: 주요 언론의 사설 분석. 과학기술학연구, 21(3), 139-173.
32. 장성구, 김인형(2017). 스포츠스타, 영웅으로의 비상과 추락: 홍명보 감독에 대한 신문프레임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0(1), 65-84.
33. 정영주, 홍종윤, 김하늘(2021). MCN 산업의 진화와 미디어 정책의 전환 과제: MCN과 레거시 미디어의 사업적 상호침투 관점에서. 한국방송학보, 35(3), 155-192.
34. 조원득, 이원정, 안명식(2015). 불법스포츠도박 뉴스프레임 방식과 관여도에 따른 스포츠토토의 공중관계성 차이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4(4), 789-807.
35. 중앙일보(2010). 스마트TV시대, 미디어도 글로벌 경쟁력 갖춰야. 중앙일보.
36. 충청투데이(2020. 7. 27). 프로 스포츠 입장 허용 방영수직 준수는 철저히. 충청투데이.
37. 한국갤럽(2021). 2012-2021 스마트폰 사용률 & 브랜드,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에 대한 조사.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217.
38. 황나리, 허진영(2020). 스포츠관련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만족과 브랜드태도, 정보태도와 미래스포츠 참여의도와의 영향력 검증. 한국웰니스학회지, 15(3), 89-102.
39. Lambert, C. M. (2018). Digital Sports Journalism. London: Routledge.
40. Iyengar, S. (1991).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1. Hobbs, R., & Frost, R. (1998). Instructional practices in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their impact on students’ learning. Atlantic Journal of Communication, 6(2), 123-148.
42. Nicholson, M. (2008). Sport and the Media: Managing the Nexus. UK: Elsevier Limited. 조남흥 역. (2010). 스포츠 미디어란 무엇인가. 서울: 이상미디어.
43. Price, V., Tewksbury, D., & Powers, E. (1997). Switching trains of thought: The impact of news frames on readers' cognitive responses. Communication research, 24(5), 481-506.
44. Valkenburg, P. M., Semetko, H. A., & De Vreese, C. H. (1999). The effects of news frames on readers' thoughts and recall. Communication research, 26(5), 550-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