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 No. 3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3, pp. 1-12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06 Jul 2021 Revised 05 Sep 2021 Accepted 17 Sep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9.45.3.1

축구의 매력에 빠진 그녀들: 대학여자축구 동아리 참여자 경험을 중심으로
김재운1 ; 박찬우2
1경인교육대학교 교수
2서울대학교 강사

The Women Who Fall in Love with Soccer: Focused on College Women Soccer Club Participant’s Experience
Kim, Chaewoon1 ; Park, Chanwoo2
1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Park, Chanwoo E-mail: ssamsuns@snu.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college women students from the recent noticeable growth of college women’s soccer club. To elaborate,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pleasures of college women students participating in college women’s soccer club and analyze the meaning of it.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 question, in-depth interview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against 13 participants who had been actively participating college women soccer club for more than 3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First, the college women students participating in college women’s soccer club were experiencing pleasure from the attributes of soccer. Second, the participants felt pleasure of soccer from the feeling of bonding, that is ‘us’, from soccer. Thir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leasure of soccer from playing soccer ‘among women’. Considering that previous studies of women soccer were mostly analyzed by leisure restriction, such result shows that this study offers multilateral view of women soccer.


Keywords: soccer, footballing pleasures, college women students, leisure culture
키워드: 축구, 즐거움, 여대생, 여가문화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5A2A01025765).


References
1. 강형길, 조희태(2014). 대학생의 신체 여가활동에서의 여가태도, 즐거움, 몰입경험에 대한 분석모형.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1), 33-42.
2. 강형길, 최민호(2015). 청소년의 강도별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와 즐거움, 시간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9(4), 56-70.
3. 강희엽, 이철원, 김형훈(2015). 축구 참여 여대생의 진지한 여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성취감의 관계. 여가학연구, 13(4), 39-56.
4. 고은하(2016). 스포츠문화의 문화적 전환과 여성스포츠.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37-42.
5. 고은하, 신동성, 이용식, 김혜자, 이용수, 김숙(2004). 여자축구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서울: 동원피엔지.
6. 구창모(2003). 여자축구선수의 성역할 정체감 연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6(2), 279-293.
7. 권기남, 권순용(2012). 여자축구선수들의 성 정체성 갈등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체육학회지, 51(3), 39-51.
8. 권세영, 임수원(2012). 감독 권력에 대한 대학 엘리트 여성축구선수의 순응.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5(4), 109-125.
9. 권세영, 임수원, 이원희(2012). 한국 여자축구 리그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에 관한 질적 접근. 한국체육학회지, 51(2), 63-76.
10. 김근국, 조현익, 원미애(2013). 신체활동 즐거움이 체육수업의 내적동기, 재미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4), 511-530.
11. 김동식, 장용규(2015). 여학생 체육활성화 담론의 전개 과정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2(4), 1-19.
12. 김민규, 김성대, 한동유(2020). 청소년 여자축구 선수들의 자기효능감, 중요타자의지지 및 진로결정수준 간 구조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9(1), 75-92.
13. 김수현(2010). 여성의 여가제약 및 여가제약협상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2), 167-178.
14. 김인형(2016). 보수적 스포츠에의 또 다른 도전: 여성야구인들의 갈등과 대응. 한국체육학회지, 55(2), 81-93.
15. 김한미(2011). 교육을 억압하는 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햇살 테니스회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4(2), 1-26.
16.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8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7. 송리라, 전성범, 이철원(2017). 라인댄스 참여 중장년 여성의 재미요인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3), 113-124.
18. 신문규(2016). 사회적 죽음과 생존, 냉소와 꿈 사이에서: K3 리그 축구선수 정체성의 구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9(3), 27-55.
19. 염두승, 김덕임(2009). 시니어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재미요인과 즐거움요인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8(3), 251-258.
20. 오지원(2021.09.04.). 골 때리는 노는 언니는 어떻게 대세가 됐나. YTN. 2021년 9월 4일 검색, https://star.ytn.co.kr/_sn/0117_202109040800016556
21. 이계윤, 김대욱(2014). 여자축구선수들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한국체육과학회지, 23(5), 527-535.
22. 이민지(2021.04.22.). ‘골 때리는 그녀들’ 경기 시작되자 시청률도 상승. Newsen. 2021년 9월 4일 검색. 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2108260656342410
23. 이창섭, 남상우, 여정권(2013). 고등학교 여학생의 신체활동 저해요인의 종합적 이해.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4), 57-76.
24. 장민기, 이근모, 장승현(2019). 대학여자축구동아리 성장기: 동아리 결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2(1), 35-46.
25. 장승현(2018). 그들은 왜 배구에 미치는가?: 교육대학교 내 배구동아리활동의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57(3), 29-40.
26. 장윤덕, 김영란(2019). 여자축구 선수들의 사회적 지지와 운동지속 간 경로에서 과제목표성향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2(4), 1-18.
27. 조은정(2011). 여자대학 축구동아리 선수의 하위문화적 특성.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8. 주간동아(2016.01.05.). 자발적 ‘아싸’(아웃사이더)가 넘쳐난다. 2020년 3월 2일 검색, https://weekly.donga.com/3/all/11/174944/1
29. 최지원, 이근모, 장승현(2020). 스포츠 클라이밍의 매력과 문화특성. 한국체육학회지, 59(6), 41-53.
30. 홍지은, 임용석(2018). 스포츠 속 구현된 젠더고정관념에 대한 소고: 성과 상반된 젠더유형 스포츠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6(2), 161-215.
31. 황성하(2016). 여자축구 선수의 성 역할 갈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학회지, 55(1), 61-73.
32. Clark, S., & Paechter, C. (2007). ‘Why can't girls play football?’Gender dynamics and the playground. Sport. education and society, 12(3), 261-276.
33. Creswell, J. W. (201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London: Sage.
34. Fendt, L. S., & Wilson, E. (2012). ‘I just push through the barriers because I live for surfing’: how women negotiate their constraints to surf tourism. Annals of Leisure Research, 15(1), 4-18.
35. Guba, E. G., & Lincoln, Y. S. (1994).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163-194), 105.
36. Mayeza, E. (2017). ‘Girls don’t play soccer’: Children policing gender on the playground in a township primary school in South Africa. Gender and education, 29(4), 476-494.
37. Pfister, G. (2015). Assessing the sociology of sport: On women and football.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50(4-5), 563-569.
38. Pielichaty, H. (2020). Pleasure and the Sanctuary Paradox: Experiences of girls and women playing soccer.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55(6), 788-806.
39. Scraton, S., Fasting, K., Pfister, G., & Bunuel, A. (1999). It's still a man's game? The experiences of top-level European women footballers.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34(2), 99-111.
40. Themen, K., & van Hooff, J. (2017). Kicking against tradition: women’s football, negotiating friendships and social spaces. Leisure studies, 36(4), 542-552.
41. Woodward, K. (2017). Women’s time? Time and temporality in women’s football. Sport in Society, 20(5-6), 689-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