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 No. 2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2, pp. 73-86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09 May 2021 Revised 03 Jun 2021 Accepted 14 Jun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6.45.2.73

성인태권도 참여자의 여가제약, 회복탄력성 및 생활만족의 관계분석
이경중1 ; 이철원2 ; 김민정3
1연세대학교 박사과정
2연세대학교 교수
3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Constraints,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Adult Taekwondo Participation
Lee, Kyung-Jung1 ; Lee, Chul-Won2 ; Kim, Min-Jeong3
1Yonsei University
2Yonsei University
3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Correspondence to : Lee, Chul-Won E-mail: wakeford@yonsei.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constraints,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adult Taekwondo participants.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a total of 289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people participating in adult Taekwondo using a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among purposive sampling methods.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eisure constraints for adult Taekwondo participants have a negatively effect on resilience. Second, leisure constraints for adult Taekwondo participants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silience of adult Taekwondo participants have a positively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resilience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dult Taekwondo participan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validity of leisure constraints, resilience and the value of Taekwondo training for adults as leisure sports.


Keywords: Adult Taekwondo, Leisure Constraints, Resilience, Life Satisfaction
키워드: 성인태권도, 여가제약, 회복탄력성, 생활만족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20년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강희엽, 이철원, 조남흥(2014). 피트니스 참여자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진지한 여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3(6), 387-400.
2. 강희엽. (2018). 대학 태권도 동아리 참여자의 열정, 자아탄력성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7(1), 83-94.
3. 곽민석, 원도연(2013). 리조트 기업에서의 피그말리온 리더행동과 LMX 의 질, 직무수행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8(3), 33-51.
4. 곽성현(2004). 성인 태권도의 침체요인에 관한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5. 곽종형(2018). 노인세대의 여가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경영연구, 5(1), 205-227.
6. 국기원(2020). http://www.kukkiwon.or.kr
7. 김경식, 전형상, 김재운(2010). 한국인의 여가활동 제약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2), 205-215.
8. 김남영, 안종성, 정상훈, 성용석(2020). 엘리트 대학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케어링, 회복탄력성, 내적동기 및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22(4), 80-89.
9. 김동희(2003). 만성질환아의 극복력(resisience)측정도구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0. 김영길(2008).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14(1), 44-55.
11.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경기: 위즈덤하우스.
12. 김형진(2018). 골프 참여자의 여가제약타결전략과 회복탄력성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골프연구, 12(2), 41-55.
13. 박광범(2016). 대학태권도동아리 참가자의 참여동기, 여가몰입 및 운동지속수행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4. 박지아, 유성경(2003). 적응 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 애착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65-778.
15. 박지윤(2020). 중년 배드민턴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6. 박지혜(2011). 결손가정 청소년의 탄력성, 낙관성, 긍정적 환상과 심리사회적응 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17. 백원칠, 송은일(2010).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제약,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2(2), 1321-1330.
18. 사혜지, 한지훈(2021). 코로나 19와 여가제약: 위계적 여가제약 모델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60(1), 387-400.
19. 서지영(2002).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연성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 석부길(2006). 태권도 체육관의 성인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요인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1. 송원익(2004). 도시근로자의 여가참여형태 및 제약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2. 송원익, 여인성(2004). 대도시근로자의 여가제약이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4), 685-697.
23. 송원익, 황재욱, 오응수(2016). 대학생들의 여가제약과 스트레스 대처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1(3), 159-167.
24. 송은일, 김은정(2013). 대학 태권도선수의 여가활동 유형이 여가제약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8(4), 45-55.
25. 송은일, 정태성(2012). SNS의 참여정도와 성별에 따른 대학 태권도 품새 선수의 여가제약 및 여가만족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1(2), 147-157.
26. 심웅택(2009). 태권도장의 성인 수련생 확충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7. 안병욱(2019). 익스트림 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지지가 여가제약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화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2), 737-744.
28. 오상훈(2020). 청소년 태권도 선수의 회복탄력성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1(2), 217-233.
29. 오세숙, 김종순, 최원석(2011). 여가제약이 여가참여 정도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0(1), 285-295.
30. 윤원정(2017).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4), 1-19.
31. 윤지호, 신석민, 이혁기(2016). 초등학생 태권도 수련의 지각된 재미와 행동의도 간의 인과 관계: 대인적 여가제약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5(6), 23-35.
32. 이근춘, 송강영(2010). 민간경비원의 여가제약이 직무스트레스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4), 359-366.
33. 이광욱(2013). 베이비부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낙관서, 회복탄력성, 생활만족의 관계, NRF KRM(Korean Research Memory).
34. 이민석, 이지열, 사혜지(2019). 시니어 대상 여가이벤트 참여 액티브 시니어의 여가촉진,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및 생활만족의 관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7, 449-459.
35. 이영숙, 박경란(2009). 노인의 여가제약,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12.
36. 이완정(2002). 발달과정에서 위험요소에 노출된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보로효인 분석. 한국아동학회, 23(1), 1-16.
37. 이은석, 안찬우(2010).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49(4), 325-337.
38. 이재성(2021). 코로나19로 인한 여가관광 활동 제약으로 서울시민 대다수 코로나 블루 겪는다!. 서울관광재단.
39. 이철원(2005). 성인 태권도 수련의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스포츠리서치, 16(2), 367-374.
40. 임승현(2006) 레저스포츠 참여 노인의 웰빙과 삶의질.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대구.
41. 최석환, 김형진(2018). 골프 참여자의 여가제약협상전략과 장소애착심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3(2), 69-80.
42. 한태용, 정선영, 김수연(2016). 성인 태권도 수련생의 참여동기와 재미요인 및 운동지속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2), 301-311.
43. 홍은숙(2006). 탄력성의 개념적 이해와 교욱적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44.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
45. Anthony, E. J. (1987). Risk,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n overview. In E. J. Anthony & B. J. Cohler (Eds), The invulnerable child, New York:Guilford press.
4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47. Chekola, M. G. (1974). The concept of happines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48. Crawford, D. W., & Godbey, G. (1987).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Leisure Sciences, 9(2), 119-127.
49.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50. Fraser, M. W., Kirby, L. D., & Smokowski, P. R. (2004).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An ecological perspective, 2, 13-66.
51.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52. Hubbard. J., & Mannell, R. (2001). Testing competing models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process in a corporate employee recreation setting. Leisure Science, 23(3), 145-163.
53. Iwasaki, Y., Coyle, C. P., & Shank, J. W. (2010). Leisure as a Context for Active Living, Recovery, Health and Life Quality for Persons with Mental Illness in a Global Context.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5(4), 483-494.
54. Puhak, J. (2020, March 17). The gyms and fitness chains closed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And what some are offering instead. Fox News. https://www.foxnews.com/lifestyle/coronavirus-gym-fitness-chains-closed-pandemic.
55. Ragheb, M. G., & Griffith, C. A. (198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4), 295-306.
56. Reivich, K., & Shatte, A. (2002).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57. Samani, S., Jokar, B., & Sahragard, N. (2007). Effects of resilience on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ranian Journal of psychiatry and clinical psychology, 13(3), 290-295.
58. Smith, B. W., Dalen, J., Wiggins, K., Tooley, E., Christopher, P., & Bernard, J. (2008). The brief resilience scale: assessing the ability to bounce back.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5(3), 194-200.
59. Wustmann & Corina. (2004). Von den Starken der Kinder ausgehen. Das Konzept der Resilienz und seine Bedeutung fur das padagogische Handeln. Reinhardt, 10, 40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