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 No. 2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2, pp. 61-71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08 May 2021 Revised 03 Jun 2021 Accepted 24 Jun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6.45.2.61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운동참여의 조절효과
김미혜1 ; 박상현2 ; 신규리3
1이화여자대학교 강사
2연세대학교 강사
3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Withdrawal Among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Exercise
Kim, Mihye1 ; Park, Sanghyun2 ; Shin, Kyulee3
1Ewha Womans University
2Yonsei University
3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Correspondence to : Park, Sanghyun E-mail: dslionspark@gmail.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SD) and social withdrawal (SW) among adolescent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8 Korean Youth Panel Survey. A total of 2,590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0.0. First, SD (e.g., tolerance, withdrawal) positively affected SW. Second, exercise participation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SW, but also moderated the effects of SD (e.g., tolerance) and SW.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ercise particip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smartphone dependence and improving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Keywords: smartphone dependence, social withdrawal, exercise, adolescent
키워드: 스마트폰 의존, 사회적 위축, 운동참여, 청소년

References
1. 구현영(2009).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9(6), 818-828.
2. 김금순, 김은미(2015).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의존을 매개효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38(38), 33-57.
3. 김동일, 정여주, 이주영, 김명찬, 이윤희, 강은비, 금창민, 남지은(2012). 미디어 이용 대체·보완과 중독 :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0(1), 71-88.
4. 김미선(2017). 청소년의 자존감과 외로움이 사회적위축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경영연구, 4(2), 1-22.
5. 김선희, 김경연(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40(4), 156-166.
6. 김애경, 김성봉(2018).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휴대전화 의존과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5(8), 245-267.
7. 김옥희 이경자, 한연현(2017). 애착외상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의 관계: 부적정서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8(3), 95-114.
8. 김지영, 이혜경(2020). 휴대전화 의존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273-279.
9. 박경준, 김동환, 한재덕(2014). 초등학생의 방과후 운동, 스마트폰 중독,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2), 51-64.
10. 박은정, 이유리, 이성훈(2018).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31-56.
11. 박혜정, 홍상황(2014).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괴롭힘 피해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및 억제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5(3), 1-18.
12. 송은주(2006). 고등학생의 휴대폰 사용실태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5(3), 325-333.
13. 서석용, 천종문, 홍덕기(2021). 중학생들의 운동참여가 자기통제력, 스마트폰 과의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30(1), 305-318.
14. 선혁규, 백종수(2015). 스포츠 활동 참여가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중학생의 우울, 공격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1), 107-123.
15. 신근우, 김성일, 황영성(2019). 청소년의 태권도 수련이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807-818.
16. 신선미, 이소연(2017).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0(1), 49-64
17. 양춘호(2009). 초등학생의 운동참가정도와 인터넷 중독 및 비만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2), 1081-1091.
18. 여지영, 강석영, 김동현(2014). 초기 청소년의 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 외로움의 매개효과: SNS 집단과 게임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2(1), 47-69.
19. 위유라, 노충래(2014).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2), 203-227.
20. 유현주(2014). 초기 청소년의 학대경험, 우울, 공격성, 사회적 위축 및 휴대전화의존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21(12), 417-446.
21. 이상준(2015).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비교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7(2), 55-79.
22. 이시연(2014).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 비행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759-771.
23. 이영주, 박주현(2014). 이용 동기와 자기 통제력 및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2(8), 459-465.
24. 이해경(2008).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22(1), 133-157.
25. 전효선, 정혜영, 이주연(201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휴대폰 의존 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4), 53-62.
26. 천경민(2010). 중학생의 운동에 대한 기본적 심리욕구가 운동 몰입과 운동지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14(3), 469-487.
27. 최다혜, 이혜진(2017).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7(1), 87-103.
28. 최선우, 김승현(2015).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2(3), 365-383.
29. 최은영(2020).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와 스마트폰 의존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7(5), 433-459.
30.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1). 2020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31. Boone, E. M., & Leadbeater, B. J. (2006). Game on: Diminishing risks for depressive symptoms in early adolescence through positive involvement in team sport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6(1), 79-90.
32. Bowker, J. C., & Raja, R. (2011). Social withdrawal subtypes during early adolescence in India.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9(2), 201-212.
33. Dimech, A. S., & Seiler, R. (2011). Extra-curricular sport participation: A potential buffer against social anxiety symptoms in primary school children.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2(4), 347-354.
34. Enez Darcin, A., Kose, S., Noyan, C. O., Nurmedov, S., Yılmaz, O., & Dilbaz, N. (2016).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35(7), 520–525.
35. Findlay, L. C., & Coplan, R. J. (2008). Come out and play: Shyness in childhood and the benefits of organized sports participation.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 Revue canadienne des sciences du comportement, 40(3), 153–161.
36. Hane, A. A., Cheah, C., Rubin, K. H., & Fox, N. A. (2008). The role of maternal behavior in the relation between shyness and social reticence in early childhood and social withdrawal in middle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17(4), 795-811.
37. Katz, S. J., Conway, C. C., Hammen, C. L., Brennan, P. A., & Najman, J. M. (2011). Childhood social withdrawal, interpersonal impairment, and young adult depression: a mediational model.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9(8), 1227-1238.
38.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39. Pels, F., & Kleinert, J. (2016). Loneliness and physical activity: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9(1), 231-260.
40. Peper, E., & Harvey, R. (2018). Digital addiction: Increased loneliness, anxiety, and depression. NeuroRegulation, 5(1), 3-8.
41. Smith, K. A., Barstead, M. G., & Rubin, K. H. (2017).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as moder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6(4), 772-786.
42. Xie, H., Scott, J. L., & Caldwell, L. L. (2018). Urban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use of screen-based media during leisure time: A structural model. Frontiers in psychology, 8, 2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