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 No. 2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2, pp. 13-20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02 May 2021 Revised 01 Jun 2021 Accepted 14 Jun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6.45.2.13

대학생의 여가촉진, 여가태도, 주관적 행복의 구조적 관계
서광봉1 ; 이성철2
1경민대학교 교수
2수원대학교 교수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isure Facilitator, Leisure Attitude, and Subjectiv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Suh, Kwang-Bong1 ; Lee, Seong-Cheol2
1Kyungmin University
2The University of Suwon
Correspondence to : Lee, Seong-Cheol E-mail: oblsc@suwon.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isure facilitator, leisure attitude, and subjectiv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A questionnaire with 306 university students was used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values were derived to analy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ulticollinearity between subfactors, and structural mode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research hypothesis. First, leisure facilitator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attitude. Second, the leisure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Third, leisure facilitator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In summary, Approaches should be made on how to promote leisure and improve attitudes, and a policy of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should be implemented from a more macroscopic view.


Keywords: leisure facilitator, leisure attitude, subjective happiness, university students
키워드: 여가촉진, 여가태도, 주관적 행복, 대학생

References
1. 강희엽, 이철원, 김민정(2013). 동계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촉진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7(2), 21-30.
2. 김경태(1996).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태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 김선미, 김은하, 정여주(2019). 1인 가구의 여가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0(4), 765-780.
4. 김정호(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5. 노수연(2012). 대학생들의 여가 태도, 운동재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생활만족 및 행복의 관계. 한국운동재활학회지, 8(3), 49-60.
6. 송영민, 이훈(2006). 여가촉진요인의 구조모형 분석. 관광레저연구, 18(2), 7-24.
7. 신규리, 박정열, 손영미(2018). 한국 직장인의 일-여가 갈등, 일-여가 촉진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성 연구. 여가문화학회, 16(4), 39-58.
8. 안병욱(2019).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4), 725-733.
9. 여지은(2016). 대학생의 여가가치관 형성과정 탐색. 여가학연구, 14(2), 37-52.
10. 윤소영, 박두용(2014).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학연구, 12(1), 149-173.
11. 이경주, 강은영(2010). 댄스스포츠 동호인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여가태도 및 여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3), 55-66.
12. 이문진, 황선환(2014). 여가시간이 증가하면 행복은?: 이스털린 역설의 여가학 적용.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2), 29-38.
13. 이민석, 이지열, 사혜지(2019). 시니어 대상 여가이벤트 참여 액티브 시니어의 여가촉진,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및 생활만족의 관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7, 449-459.
14. 임진선, 전태준, 이건희(2015). 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촉진,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생활만족간의 관계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9(2), 33-43.
15. 임진선, 조희태, 강형길(2015). 요트참여자의 여가촉진이 여가체험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9(1), 34-43.
16. 정효숙(2016). 베트남 다문화 가정의 여가태도가 심리적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0(1), 35-50.
17. 최현욱, 이민석(2018). 여가활동 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촉진, 여가태도 및 여가제약협상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4), 13-24.
18. 하숙례, 이근일(2014). 여가태도 및 여가정체성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2), 86-101.
19. 한학진(2014). 대학생의 여가활동참여 동기요인과 여가 및 학교생활만족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18(1), 353-373.
20.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9(1), 161-177.
21. 홍종관(2017). 행복을 위한 여가활동 및 향유하기의 역할에 관한 연구. 행복한 부자연구, 6(2), 1-15.
22. Bammel, G., & Burrus-Bammel, L. L. (1996). Leisure and human behavior.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8(2), 135-138.
23.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24. Ragheb, M. G., & Beard, J. G. (1982). Measuring leisure attitud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2), 155-167.
25. Raymore, L. A. (2002). Facilitators to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4(1), 3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