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 No. 4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4, pp. 1-10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0
Received 27 Oct 2020 Revised 02 Dec 2020 Accepted 17 Dec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12.44.4.1

SNS 이용 인식, 여가만족 및 행복감의 관계
한지훈1 ; 사혜지2 ; 이민석3
1연세대학교 강사
2한국외국어대학교 특임강의교수
3연세대학교 대학원생

The relationship among SNS(Social Network Service) Percep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Han, Jee-Hoon1 ; Sa, Hye-Ji2 ; Lee, Min-Seok3
1Yonsei University
2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3Yonse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Sa, Hye Ji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07, Imun-ro, Dongdaemun-gu, Seoul, Korea E-mail: Hyeji40@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rs' perception of SNS,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 total of 26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during 6 days by Embrain online research compan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and AMOS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alid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NS users' perception of S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 on leisur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NS users' perception of SNS did not affect their happin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 satisfaction of SNS us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Keywords: SNS perception, Leisure Satisfaction, Happiness, Structural Equation Model
키워드: SNS 참여자, 여가만족, 행복감, 구조방정식모델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0년 제58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것을 수정・보완하여 작성됨


References
1. 강수택, 정철규(2015).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3), 145-156.
2. 권순재(2018). 여가활동으로서 SNS 이용동기가 여가만족과 여가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4), 83-94.
3. 김경달, 김현주, 배영(201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 의 피로감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26), 102-129.
4. 김귀순(2003). 여가인식, 태도, 참여 및 만족도간의 영향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부산.
5. 김범, 이영훈, 문건필(2020). 수영지도자의 코칭리더십이 여가만족, 자기효능감, 행복감 및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9, 311-323.
6. 김봉섭, 박시현(2014). 페이스북 이용자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2(1), 117-143.
7. 김종기, 김진성(20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정보화진흥원, 18(3), 25-49.
8. 김희정(1999). 여가인식이 여가기능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부산.
9. 문상정, 박상훈(2018). 노인의 여가경험과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죽음불안의 구조적 관계. Tourism Research, 43(4), 45-70.
10. 민귀홍, 이진균(2017). SNS 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상향비교경험에 의한 SNS 회피의 조절된 매개 효과. 광고연구, (112), 5-37.
11. 박세혁(2016). 바둑 애호가들의 여가동기가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4, 435-442.
12. 박인혜(2011). 야구동호인의 운동참여에 대한 목표성향, 재미요인, 여가만족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3), 105-115.
13. 사혜지, 이철원, 김민정(2018). 액티브 시니어 여성들의 여가만족, 스트레스 관련 성장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7(1), 369-378.
14. 소은혜(2020). 직장인의 근무와 여가와의 융합은 개인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SNS 의 자기과시성을 조절효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8(1), 63-81.
15. 안용훈(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이소비자 태도와 몰입, 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서울.
16. 양명환(1998). 스포츠 심리학: 볼링중독성향과 심리적 행복감.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37(4), 217-222.
17. 이병찬, 장영혜(2017). 여가활동으로서의 청소년 SNS 이용동기와 학교생활적응, 지속사용의사의 관계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6(1), 533-542.
18. 이은주(201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트위터-향후 연구의 방향과 과제. 언론정보연구. 48(1), 29-58.
19. 이혁, 이제홍(2013). 게이트볼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과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4(1), 575-584.
20. 임범규, 조광민, 석부길(2011). 야구 동호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몰입, 여가만족, 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의 경로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0(2), 127-144.
21. 장성운, 권순재(2016). 여가활동으로서 SNS 이용동기가 여가몰입, 여가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5(6), 595-606.
22. 전수현, 박세혁(2015). 여가서비스 자원봉사자들의 여가만족과 행복감의 관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2, 447-455.
23. 정병찬, 구장옥(2013). SNS 전달자 특성과 SNS 정보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구 동림경영연구), 48, 251-272.
24. 정일권, 유경한(2016). SNS 이용과 SNS 에 대한 긍· 부정적 인식의 관계. 정보사회와 미디어, 17(3), 1-26.
25. 조우제(2017). 여행기업의 SNS 품질과 고객만족, 구매의도 간 상관관계 연구: 하나· 모두투어의 SNS 사용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32(4), 117-132.
26. 허중욱, 김흥렬(2016).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도 결정요인. 관광연구저널, 30(3), 227-240.
27. 황성욱, 박재진(2011).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심리적 문제점 요인 분석. 광고연구, (91), 68-95.
28. 황윤미, 윤소영(2007).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분석: 1 인미디어 활용자의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4, 27-47.
29.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30. Beard, J. G., & Ragheb,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31. Boyd, D. M., & Ellison, N. 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32.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33.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34.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
35. Noh, Y. (2015). A Study on SNS Usage Motivations Affecting Flow: Focus on Facebook Users. The e-business Studies, 16(1), 287-304.
36.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logical theory.
37. Together, A. (2011). Why We Expect More from Technology and Less from Each Other. new york, basic books.
38. Van de Ven, A. H., & Ferry, D. L. (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39. Wang, M., & Wong, M. S. (2014). Happiness and leisure across countries: Evidence from international survey data.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5(1), 85-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