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1, pp. 59-70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0
Received 10 Feb 2020 Revised 02 Mar 2020 Accepted 19 Mar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3.44.1.59

K-Pop콘서트 체험요소(4Es) 및 여가만족 차이분석: 방문시 동행자, 관람횟수를 중심으로
박연지1 ; 김영재2
1중앙대학교 박사수료
2중앙대학교 교수

Analysis of Differences in Experience Factors(4Es) of K-Pop Concerts and Leisure Satisfaction: Focusing on Persons to Accompany During the Visit and the Frequency of Attendances
Park, Yeon-Ji1 ; Kim, Young-Jae2
1Chung-Ang University, Ph.D. Candidate
2Chung-Ang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 Kim, Young-Jae Chung-Ang University, Heukseok-ro 84, Dongjak-gu, Seoul, Korea Tel: +82-2-820-5382, Fax:+82-812-2729, E-mail: yjkim@cau.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experience factors(4Es) of K-Pop concerts and leisure satisfaction, this study targeted people who enjoy K-pop concerts as leisure activities. Prior to the study,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was explained to the participants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using the SNS-based online(Google) survey system were distributed to them. A total of 24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ub-factors of experience(4Es) when the participants were accompanied by others during K-Pop concerts, and only emotional and educational 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groups of people who attended K-Pop concerts by themselves had more entertainment and escapist experience factors than the group of those that attended K-Pop concerts with friends of the same sex, and emotional and educaitonal leisure satisfaction was found. Second, in relation to differences in experience factors(4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K-Pop concert attendances, entertainment, educational and escapist factors excepting esthetic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factors excepting physical 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Also, the group of people that attended K-Pop concerts more than three times had more entertainment and escapist experiences than the group of those that attended K-Pop concerts for the first time, and social and emotional leisure satisfaction was found.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based on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empirically research the attendance at K-pop concerts as a kind of leisure activities and develop an experience scale which reflects Pine & Gilmore's experience factors.


Keywords: K-Pop Concert, Leisure Satisfaction, Pine & Gilmore’s Experience Factors(4Es), Experience Economy
키워드: K-Pop 콘서트, 여가만족, 파인과길모어, 체험경제이론, 체험요소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A2A01049423).


References
1. 김계수, 강병서(2007).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 서울.
2. 김고은, 최막중(2019). 한국사회의 나홀로 여가 특성. 국토계획, 54(1), 18-29.
3. 김민하(2019.09.22.). K팝 사랑을 커버댄스공연으로 - UNSW K-Pop Society KPOP Core공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http://kofice.or.kr/c30correspondent/c30_correspondent_02_view.asp?seq=17490
4. 김솔내(2019). 연예인 팬의 팬 활동 동기에 따른 유형과 특성: Q방법론적 접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5. 김영재(2004). 한국형 여가만족척도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43(1), 291-299.
6. 김정은, 박희정(2018). 여가 생활로서 콘서트 참관객의 개인적 특성, 참가동기가 주관적 건강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2(7), 77-95.
7. 김지형(2016). 3D 홀로그램 콘서트의 체험요소와 기술이 체험즐거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Pine 과 Gidmore의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8. 김천규(2019.04.29.).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성공기원 콘서트 성료. 매일일보.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517961
9. 김태훈, 주영환(2019). 리조트 속성, 체험 즐거움, 경험 기억, 전반적 만족,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진흥연구, 7(2), 59-81.
10. 김하림(2019). 일본 K-pop 적극적 수용자의 수용특징과 소비행태에 대한 연구 케이팝 공연 관람자의 소비조사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1. 디지털타임즈(2019.07.15.). NIPA, 2만명 운집한 한류 콘서트에서 VR콘텐츠 체험 부스 성료.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71502109923005010&ref=naver
12. 류병덕(2016). PINE & GILMORE의 이론을 적용한 물고기마을 방문자에 대한 만족도 조사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대학원.
13. 류병덕, 이정열(2015). 물고기마을의 체험요소가 방문자의 즐거움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28(5), 2249-2276.
14. 문화체육관광부(2018). 2018 문화향수실태조사.
15. 박수경, 박지혜, 차태훈(2007). 체험 요소(4Es)가 체험 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76, 한국방송공고공사 광고연구소, 55-78.
16. 박연지, 김영재(2019). K-pop 스타 팬덤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융복합건강환경연구소지, 1(1), 1-16.
17. 배현주(2013). 성인여성의 아이돌 그룹 팬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8. 베르비기에 마티유, 조영한(2017). 케이팝(K-pop)의 한국 팬덤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81, 272-298.
19. 살여라(2019). 방탄소년단 팬덤활동이 심리적 행복감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 한·중 여성 팬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 신성아(2020.02.06.). 2019년 공연 예매자 72% 여성⋯ 연평균 9.4% 성장. 뉴데일리,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0/02/06/2020020600032.html
21. 용석홍, 박철호, 한수정(2019). 문화관광축제의 체험경제요소, 체험만족, 행동의도간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31(2), 151-172.
22. 윤소영(2015). 여가활동의 동반자 ‘한국의 사회 동향 2015’. 통계개발원, 213-217.
23. 이승엽(2001). 극장경영과 공연제작. 역사넷: 서울.
24. 이은경, 류은정, 김경희(2011).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적응 구조모형. 종양간호학회지, 11(2), 101-107.
25. 이은별(2019). 튀니지의 한류 팬덤 연구: 20대 여성 수용자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6. 이지원(2019). 케이팝이 만들어가는 인종과 젠더의 새로운 역동성 : 방탄소년단의 흑인 여성 팬덤 분석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7. 이헌율, 지혜민(2015). 팬덤 내의 계층 구별에 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30(4), 5-40.
28. 장동동, 민보영(2019).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한 테마파크 체험, 몰입, 러브마크,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간 영향 연구: 한·중관광객을 대상으로. MICE관광연구, 19(3), 133-151.
29. 전재홍, 김건휘(2018). 공연장의 물리적환경이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논문지, 12(5), 1-12.
30. 정석순, 이준엽(2011). 전시의 체험요소(4Es), 방문가치,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5(2), 175-193.
31. 정석순(2013). 전시 체험요소(4Es)와 여가만족과의 관계연구-트릭아트 전시장을 방문한 주부들을 대상으로. 이벤트컨벤션연구, 9(1), 75-90.
32. 정혜민(2017). 혼자 공연을 보는 관객(혼공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33. 최수빈, 이소현(2019). K-POP 주요 성공 요인 분석: 텍스트마이닝 기반 혼합 방법론.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529-534.
34. 최영덕, 정대영, 윤지환(2014). 농촌체험마을의 체험요소, 방문가치, 행동의도 간의 관계분석: 한반도 뗏목마을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6(3), 95-112.
35. 하동현(2009). 대구·경북 외래 관광객의 체험이 체험의 즐거움, 체험 만족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4(5), 359-380.
36. 한수정(2015). 박람회 체험요소(4Es), 즐거움, 만족, 재참가의도 간의 관계 연구 - 2015 하나투어 여행박람회 참가자를 대상으로. 무역전시연구, 10(2), 175-196.
37. 한숙영, 엄서호(2005). Pine과 Gilmore의 체험영역모델에 관한 검증. 관광연구, 29(2), 31-148.
38. Beard, J. G., & Ragheb,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39. Dirver, B. L., & Knopf, R. C. (1977). Personality, outdoor recreation, and expected consequences. Environment and Behavior, 9, 169-193.
40. Guinn, R. (1980). Elderly recreational vehicle tourists: Life satisfaction correlates of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 198-204.
41. Pine, B. J. Ⅱ and Gilmore, J. H.(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97-105.
42. Pine, B. J. Ⅱ and Gilmore, J. H.,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re & Every Business a Stag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