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1, pp. 47-58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0
Received 10 Feb 2020 Revised 13 Mar 2020 Accepted 23 Mar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3.44.1.47

보드게임 참여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아라1 ; 박세혁2 ; 김선정3
1휴먼TR 연구소 실장
2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3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연구원

The Effects of Board Games on Self-esteem and Happiness for Children
Lee, Ahra1 ; Park, Se-Hyuk2 ; Kim, Sun-Jung3
1HumanTR Institute, Director
2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or
3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Sungshin University, Researcher
Correspondence to : Kim, Sun-Jung Sungshin University, 2, Bomun-ro 34da-gil, Seo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 E-mail: sjkim@sungshin.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board games on self-esteem and happiness for children who enjoy them for their leisure.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children were drawn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n=314). The experimental group (n=157) was recruited from after school board game programs,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general students who had not engaged in board games (n=157). Regression analyses and t-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tudy variables. Firs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board games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perceived happiness than their counterparts. Secon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board games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perceived self-esteem than their counterparts. Final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steem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prediction of happiness.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Keywords: Board games, children, self-esteem, happiness
키워드: 보드게임, 아동, 자아존중감, 행복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 및 보완한 것임.


References
1. 강귀형, 이헌종, 김선영(2019). 마한(馬韓) 역사고고학 콘텐츠를 통한 컬포츠(Culports) 활용 연구: 보드게임 소재를 중심으로. 고문화 93, 59-89.
2. 강민혜, 이정숙(2019). 집단게임놀이치료를 통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12(1), 37-5 6.
3. 강선숙, 오의경(2016). 독서교육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 및 독서태도에 대한 영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3), 235-253.
4. 김가연(2015). 협동미술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5. 김경애(2009). 보드게임 놀이 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3(1), 61-74.
6. 김보라, 손현동(2016). 보드게임 놀이 대집단 활동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26(3), 195-217.
7. 김수희(2014). 대인 돌봄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외로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8. 김영지, 유설희, 이민희, 김진호(2016).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VI.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9. 김윤정(2015).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풍토가 정서지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10. 박미숙(2018).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4), 395-402.
11. 박세혁(2016). 바둑 애호가들의 여가동기가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4, 435-442.
12. 박세혁, 이승로(2015). 바둑을 즐기는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관여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2, 327-334.
13. 박세혁, 한수아(2016). 바둑 애호가들의 여가몰입과 행복감의 관계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5, 191-200.
14. 박수연, 김효정(2019).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한 아동의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상품학연구, 37(5), 139-155.
15. 박정은, 황화춘, 이수천(2019).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보건과 복지, 21(1), 97-120.
16. 박혜영(2017). 여가활동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생활만족도 및 정서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대회, 83-92.
17. 서혜전, 노성향(2018). 아동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0(4), 55-70.
18. 성다겸, 김춘경(2015). 초등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6(4), 129-142.
19. 양영미, 이선영(2019). 아동의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 체육활동 참여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7(1), 5-21.
20. 오승태(2004). 보드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21. 이경혜(2018). 빈곤, 자율적 학습행동역량, 스마트폰 의존이 아동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형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 및 중고등학생의 비교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7(1), 5-21.
22. 이기범(2008).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의 행복감.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51-65.
23. 이명우, 홍윤미, 윤기웅(2016). 여가 활동이 국민행복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30(2), 264-287.
24. 이용주, 오갑진(201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12(9), 1213-1222.
25. 이원형(2003). 게임용어집: 정보통신부. 서울: 홍릉과학.
26. 이유진, 황선환(2018). 가구소득과 여가시간에 따른 행복지수.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1), 86-96.
27. 이청, 문혁준(2016). 아동의 회복탄력성, 부모와의 애착, 학교생활 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5(4), 337-349.
28. 임지연(2004). 보드게임을 이용한 통합놀이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9. 정윤하(2007). 구조화된 보드게임이 초등학교 1학년 ADHD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30. 정혜원(2010).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몰입경험과 또래애 착의 역할.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31. 조영란(2018). 보드게임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대학원.
32. 조은정(2014). 역량지각이 아동·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45, 114-136.
33. 차배근, 차경옥(2015). 사회과학연구방법: 실증연구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4. 최민영(2015). 다문화가정 아동의 강강술래 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자기표현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5. 최아론, 이영순(2015). 어머니의 행복감과 초등학생 자녀의 행복감 관계에서 자녀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6(1), 337-351.
36. 최익선, 유병근, 변정혜, 라경숙, 송대진, 유영, 정지태, 이영미(2009). 천식 교육을 위한 가족용 보드게임의 개발 및 교육효과. 소아알레르기 호흡기, 19(2), 115-124.
37. 최혜윤, 김혜정(2014). 전래동요를 활용한 보드게임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16(1). 45-74.
38. 한국콘텐츠진흥원(2019). 2019 대한민국 게임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39. 한광현(2019).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환경신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3), 43-73.
40. 홍재화(2018). 보드게임 활동이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대학원.
41. 홍종관(2017). 행복을 위한 여가활동 및 향유하기의 역할에 관한 연구. 행복한부자연구, 6(2), 1-15.
42. Badura, P,. Geckova, A. M., Sigmundava, D., Dijk, J. P., & Reijeveld, S. A. (2015). When children play, they feel better: Organized activity participation and health in adolescents. BMC Public Health, 15, 1090.
43. Belair, M. A., Kohen, D. E., Kingsbury, M., & Colman, I. (2018).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ur an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Evidence from a population based sample of Canadianadolescents. BMJ Open, 8, e021119.
44. Bettini, A., Amore, E., Vagnoli, L., Maffei, F., & Martin, R., (2019). Acceptability and feasibility of a therapeutic board gam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the Italian version of Shop Talk. Supportive Care in Cancer, 27, 4479-4485.
45. Castillo, A., Elizabeth, S., Octelina, C., Alberto, R., Margarita, U., & Gonzalo, V. (2018). Assessment of a board game to teach nutrition concepts and physical activity to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hildren. Ciencia Ergo Sum, 25(2), 1-11.
46. Cheung, S., & McBride, C. (2017). Effectiveness of parent–child number board game playing in promoting Chinese kindergarteners’ numeracy skills and mathematics interes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8(5). 572-589.
47. Helliwell, J., Layard, R., & Sachs, J. (2018). World happiness report 2018, New York: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48. Jones, J., Tincher, L., Odeng-Otu, E., & Herdman,. M. (2015). An educational board game to assist PharmD students in learning autonomic nervous system pharmacology.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9(8), 1-9.
49. Kennedy, A., Semple, L., Alderson, K., Bouskill, V., Karasevich, J., Riske, B., & Gunst, S. (2017). Don't push your luck! educational family board (not bored) game for school age children living with chronic condition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35, 57-64.
50. Lyubomirsky, S., & Lepper, H.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51. Mostowfia, S., Mamaghanib, N., & Khorramar, M. (2016). Designing playful learning by using educational board game for children in the age range of 7-12: (A case study: Recycling and waste separation education board gam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 & Science Education, 11(12), 5453-5476.
52. Nunnally, J. (1978). Psychometric methods. New York: McGraw-Hill
53. Oren, A. (2008). The use of board games in child psychotherapy. Journal of Child Psychotherapy, 34(3), 364-383.
54. Park, S. H., & Kim, Y. S. (2018). Ways of coping with excessive academic stress among Korean adolescents during leisure time.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55.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56. Satsangi, R., & Bofferding, L. (2017). Improving the numerical knowledg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benefits of linear board games. Journal of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al Needs, 17, 218-226.
57. Wehrmeister, F. C., Buffairini, R., Wendt, A., Costa, C. S., Neves, R. G., Flores, T. R., & Menezes, A. M. (2018). Association between leisure-time activities and school failure in adolescents: The 1993 birth cohort. PLoS ONE, 13(11): e0205793.
58. Zasacka, Z. (2014). Teenagers and books: From daily reading to avoidance. EDUKACJA Quarterly, 131(6), 6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