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2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2, No. 1, pp. 66-76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18
Received 25 Jan 2018 Revised 01 Mar 2018 Accepted 19 Mar 2018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18.3.42.1.66

관람스포츠로서의 태권도 경기: 환경적 요인, 동기, 재방문의도 간의 관계 분석
조희태1 ; 강형길2
1난양공과대학교
2경남대학교

Taekwondo as a Spectator Spor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environmental factors, motivation, and revisit intention
Cho, Heetae1 ; Kang, Hyoung-Kil2
1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2Kyungnam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Kang, Hyoung-Kil Kyungnam University, Kyungnamdaehak-ro 7, Masanhappo-gu, Changwon, Korea Tel: 010-3844-9923, E-mail: hkilkang@kyungnam.ac.kr


Copyright Ⓒ 201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factors, motiva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taekwondo spectators based on an environmental psychology behavioral model and the cognitive-affective model.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aekwondo spectators, and the analyses of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stadium factor and motiv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revisit intentions of the taekwondo spectators.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stadium factor and motivation did not predict revisit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pported by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behavioral model but were not fully supported by the cognitive-affective model. It is, thu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to reexamine the cognitive-affective model with diverse samples.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in the discussion section.


Keywords: taekwondo, spectator sport, motivation, revisiting intention, spectator sport
키워드: 태권도, 환경적 요인, 동기, 재방문 의도, 관람스포츠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국기이며 세계인들이 참여하는 스포츠이다. 현재 태권도 유단자는 약 200개국 8천만 명 이상이며(Korea, n.d.),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다양한 태권도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 경기대회 시범종목으로 선정된 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올림픽 경기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치러진 이래,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까지 7회 연속 하계 올림픽 경기대회 정식종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것은 엘리트 종목으로서의 태권도의 위상을 나타낸다. 또한 태권도는 여가형 참여 스포츠로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미국에서만 25,000 여개의 태권도장이 있으며(신석호, 2014), 국내에는 총 9,695개의 태권도장이 운영되고 있다(국기원, n.d.).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은 다양한 아마추어 태권도 대회(세계 태권도 문화 엑스포, 전국장애인 한마음 태권도 대회, 전국대학 태권도 동아리 선수권 대회)에 참여하여 태권도를 여가 스포츠로서 즐긴다.

그러나 태권도는 관람스포츠로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조희태, 강형길, 2015). 스포츠 관람은 스트레스 해소(박은영, 2016)에 도움이 되며 자아실현 및 긍정적 성격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판규, 2006). 또한 스포츠 관람은 즐거움(박세혁, 2003)을 제공함과 동시에 정서(Madrigal, 2003), 웰빙 (Wang, Min, & Kim, 2013), 건강 (Inoue, Berg, & Chelladurai, 2015; Wann, Hackathorn, & Sherman, 2017), 자아 정체성(Ogden & Hilt, 2003), 자기표현(Funk, Ridinger, & Moorman, 2004)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특히 허진과 박세혁(2004)은 참여스포츠 참가자와 관람스포츠 참가자의 여가만족을 비교하였으며, 관람스포츠 참가자들이 참가스포츠 참가자들에 비해 여가만족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만족과 휴양적 만족에서 높은 값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관람스포츠가 개인의 삶의 질을 견인하는 중요한 여가활동이며, 여가학의 영역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여가학에서 관람스포츠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스포츠 관람객 대상의 다양한 여가학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덧붙여 태권도가 관람스포츠로 발전하는 것은 태권도의 보급, 수익 창출의 다변화 및 태권도 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가져올 동력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태권도 관람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태권도가 긍정적 여가활동의 일환인 관람스포츠로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대회 관람객들의 행동을 예측하는 가장 직접적인 변인인 의도(Ajzen, 1991)를 분석하여, 태권도 관람객의 재방문 의도(revisit intention)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태권도 관람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환경 심리 행동 모델(Mehrabian & Russell, 1974)과 인지적 감성적 모델(Mischel & Shoda, 1995)에 기반 하여 본 연구는 경기장요인과 관람동기요인 그리고 경기장 관람동기요인의 상호작용효과가 태권도 경기 관람객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인지적 감성적 모델에 의하면 인간의 개인적 특성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 형성되고 독특성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개인의 생각과 감정 그리고 그들이 원하는 것은 개인적 특성 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Mischel & Shoda, 1995). 또한 환경 심리 모델에 의하면 인간의 행동의도는 환경과 환경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해석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Mehrabian & Russell, 1974). 더불어 개인적 특성과 환경 요인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개인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다(Mischel & Shoda, 1995). 즉 인간의 행동의도는 개인적인 특성, 환경적 영향, 그리고 이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며, 태권도 관람객의 재방문의도는 관람객의 동기, 경기장의 환경적 요인, 그리고 동기와 환경적 요인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관람 스포츠에서 환경적 특성 요인은 서비스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환경적 특성 요인의 질적 수준은 관람객들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Dhurup, Mofoka, & Surujlal, 2010; Wakefield & Blodgett, 1994). 관람 스포츠에서의 환경적 특성은 경기장 시설 요인 및 경기장 분위기라 할 수 있다(Kelley & Turley, 2001; Westerbeek & Shilbury, 1999). 구체적으로, Wakefield와 Sloan(1995)은 5가지 경기장 요인(주차시설, 과밀감, 청결, 음식 서비스, 통제력)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태권도 대회의 환경적 특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기를 분석하고자 한다. 동기는 개인의 욕구가 활성화된 상태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목표 지향적 행동으로 이끈다(Mowen & Minor, 1998). Weiss와 Chaumeton(1992)에 따르면 스포츠 관람객의 동기는 개인이 가지는 차이 특성 요인으로서 행동과 의도를 예측한다. 즉 태권도 관람객의 동기는 그들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경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Trail과 James(2001)가 제시한 7가지 동기요인(성취감, 지식, 드라마, 해방감, 신체적 매력, 신체적 기술, 사회성)을 관람동기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상호작용효과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장 요인과 관람동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 하고자 한다. Mischel과 Shoda(1995)에 따르면 인간의 행동은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상호작용이란 하나의 특성이 다른 하나의 특성에 어떠한 작용을 함으로써 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복합적인 영향은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하지만 여가 및 스포츠 분야에서 개인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특성 요인간의 상호작용 효과와 재방문 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태권도 관람객의 행동을 심도 깊게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설과 연구 모형<그림1>은 다음과 같다.

H1: 경기장 요인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관람 동기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경기장 요인과 관람동기의 상호작용 효과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림 1. 
연구 모형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P시에서 치러진 세계대학태권도 선수권대회에서 실시되었으며, 자료 수집을 위하여 비확률 표본 추출법 중 판단 표본추출법(Babbie, 2007)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대회 개최기간인 6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468부(93.6%)의 설문지를 태권도 시합 관람객들로 부터 수거하였다. 응답내용이 불충분하거나 50%이상 누락된 설문지는 분석에서 제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418부의 응답이 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설문지에 응답한 인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면 남성이 73.7%(308명), 여성이 26.3%(110명)이고, 연령대는 20대 55.5%(232명), 30대 20.7%(87명), 40대 16.7%(70명), 50대 5.2%(21명), 60대 이상 1.9%(8명)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의 결혼 여부는 미혼이 64.3%(268명), 기혼이 8.4%(14명)으로 나타났으며 31.1%(131명)가 결혼여부의 문항에 응답하지 않았다. 설문 응답자들의 학력은 대학생(228명, 54.7%), 고졸(34명, 3.2%), 대졸(26명, 6.2%), 대학원생(9명, 2.2%), 대학원 졸(5명, 1.2%)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문 응답자 중 27.5%(116명)가 학력에 대하여 응답하지 않았다.

표 1. 
인구 통계학적 변인
구분 인원(명) %
성별 남성 308 73.7
여성 110 26.3
연령 20-29세 232 55.5
30-39세 87 20.7
40-49세 70 16.7
50-59세 21 5.2
60세 이상 8 1.9
결혼유무 미혼 268 64.3
기혼 14 3.4
기타 5 1.2
결측값 131 31.1
학력 고졸 34 8.2
대학생 228 54.7
대졸 26 6.2
대학원생 9 2.2
대학원 졸 5 1.2
결측값 116 27.5

2. 연구도구

환경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Wakefield & Sloan(1995)이 개발한 경기장 요인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1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람객 동기를 측정하기 위해서 Trail과 James(2001)가 개발한 동기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27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재방문 의도는 3문항으로 이루어진 Carroll(2009)의 행동적 의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은 한글과 영어에 능통한 2인의 번역자가 개별적으로 번역을 한 다음 각각의 번역 결과를 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공통된 번역결과를 보일 때까지 재검토한 후 문항을 채택하였다(Reardon & Miller, 2012). 모든 문항은 7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1=전혀 그렇지 않다, 7=매우 그렇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여 측정 모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위하여 EQS 6.2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각각의 경기장 요인과 재방문의도의 관계, 관람동기와 재방문의도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경기장 요인과 관람동기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재방문 의도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측정 모형의 적합도 판단을 위하여 절대적합지수 및 증분적합지수를 이용하였다(Hu & Bentler, 1999). 본 연구에서는 robust 방법과 S-B χ2 (Satorra-Bentler’s scaling method)를 사용함으로서 정규분포 가정 사항의 충족을 판별하였고, Root Mean-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Standardized Root Mean-Square Residual(SRMR), Comparative Fit Index(CFI), Non-Normed Fit Index(NNFI) 적합지수들을 사용하여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Hu와 Bentler (1999)가 제시한 .06이하의 RMSEA, .08이하의 SRMR, 그리고 Kline(1998)이 제시한 .9 이상의 CFI, NNFI의 값들을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치 판단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수렴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분산추출지수(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를 확인 하였으며, 분산추출지수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의 제곱 값을 비교함으로서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념 신뢰도 값이 .7이상인지 확인하였다.


Ⅲ. 결과
1. 측정모형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S-B x2(df)= 155.77(86), SRMR=.047, RMSEA=.053, NNFI=.969, CFI=.975로 기준치를 만족하는 모형적합치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측정모형의 신뢰도와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각각의 구성개념의 내적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 값을 확인 한 결과 각각의 하위 요인의 개념 신뢰도(.878-.955)는 모두 .7이상의 값을 보였기에 내적 일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표 2>. 분산추출지수를 이용하여 수렴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각 요인의 분산추출지수값(.508-.878)이 모두 .5이상을 나타내었기에 수렴타당도를 가진다고 판단 할 수 있다<표 3>. 마지막으로 분산추출지수에 루트를 적용한 값과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 값을 비교한 결과 분산추출지수에 루트를 적용한 값이 더 크기에 변별타당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Fornell & Larcker, 1981).

표 2. 
측정모형 분석
문항 λ Rho⍺ AVE
경기장 요인 .919 .696
주차시설 .824
청결 .872
통제력 .885
음식 .802
과밀감 .783
관람 동기 .878 .508
성취감 .673
지식 .680
드라마 .707
해방감 .790
신체적 매력 .684
신체적 기술 .758
사회성 .689
재방문 의도 .955 .878
나는 다음에 이와 같은 행사에 관람객으로 참여할 의지가 있다. .975
나는 다음에 이와 같은 행사에 참여할 계획이있다. .948
나는 이와 같은 행사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885

표 3. 
변수간의 상관관계
(1) (2) (3)
(1) 경기장 요인 .834
(2) 관람 동기 .655* .713
(3) 재방문 의도 .265* .366* .937
*p<.05
기울인 값: 분산추출지수 값에 루트 적용한 값

2. 구조모형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S-B x2(df)= 205.82(99), SRMR=.052, RMSEA=.062, NNFI=.950, CFI=.959로 수용가능한 적합치를 보였다. 경로계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기장요인의 비표준화 경로계수를 확인한 결과 경기장 요인(H1: B=.225, z=3.879)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모든 경기장 하위요인과 재방문 의도는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관람 동기(H2: B=.754, z=10.242) 또한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관람동기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재방문 의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기장 요인과 관람동기 요인의 상호작용효과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H3: B=.066, z=.818)<그림2>.


그림 2. 
구조방정식 모형


Ⅳ. 논의

본 연구에서는 환경 심리 행동 모델(Mehrabian & Russell, 1974)과 인지적 감성적 모델(Mischel & Shoda, 1995)을 기반으로 경기장 요인과 관람 동기 요인, 그리고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가 태권도대회 관람객의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경기장 요인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경기장 하위요인(주차시설, 청결, 통제력, 음식, 과밀감)은 재방문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경기장 하위 요인의 적재치(loading)값과 표준편차오차(STD Error)값을 이용하여 매개효과(mediating effect)값과 표준편차에 대한 매개효과(mediating effect for STD Error)값을 구하여 각각의 하위요인과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재방문의도와 가장 높은 관계성을 보인 통제력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관람객의 폭력성과 공격성은 통제력 요인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며 관람객의 폭력성은 경기의 중요성이 커질수록 높아지고(Card & Dahl, 2011), 관람객이 팀 및 선수와 높은 동일감을 가질수록 공격성은 커진다(Wann, Peterson, Cothran, & Dykes, 1999). 만약 개인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관람객들이 인지한다면 참여 의도는 줄어들게 될 것이며(Qi, Gibson, & Zhang, 2009), 관람스포츠로서의 태권도가 발전하는데 걸림돌이 될 것이다. 나아가, 통제력은 관람객들의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더욱 중요한 요인이다. 이런 측면에서, 대회 주최 측에서는 충분한 경기장 보안요원의 확보,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및 안전교육 등과 같이 관람객의 안전에 중점을 둔 계획을 수립하여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경기장의 청결함은 관람객의 감정,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경기장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Dhurup & Mofoka, 2011; Wakefield & Sloan, 1995). 또한 서비스 환경이 소비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Marinucci, 2002). 스포츠 관람객들은 경기장의 위생적 측면을 중요시 여기며(Rosenquist, 2005), 특히 여성 관람객들의 관람 만족도가 경기장 청결 상태와의 관련성이 높다(Bakirtzoglou & Ioannou, 2017).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가 관람스포츠로서 발전하기 위해 경기장의 청결함이 필수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대회 주최 측에서는 청결관리를 위한 전문적 요원을 배치하고, 경기 전․후에 관람객이 자발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클린업 타임제를 실시하는 등의 다양한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한편, 주차시설, 과밀감, 음식 요인 역시 관람객의 재방문 의도와 유의한 관계성을 보이며관람객의 재방문 의도를 파악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첫째, 충분하지 못한 주차시설은 주차 혼잡을 발생시키며, 이것은 관람객들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한다(Bitner, 1992). 더불어 관람객들은 경기가 종료 된 후 겪게 될 혼잡함을 피하기 위해 시합이 끝나기 전에 경기장을 일찍 떠나게 되며, 이러한 경험들은 재방문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Wakefield & Sloan, 1995). 둘째, 시설의 협소함으로 인해 인지된 과밀감은 재방문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Wakefield & Blodgett, 1994; Wakefield & Sloan, 1995), 본 연구 또한 기존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이것은 사전조사를 통한 신중한 경기장 선택 및 동선의 설계가 태권도 경기를 개최하는데 있어 필요함을 나타낸다. 셋째, 본 연구에 따르면, 음식 서비스의 질적 향상은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Wakefield & Sloan, 1995) 수준 높은 음식서비스를 위한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종합해 볼 때, 태권도가 관람스포츠로 자리 잡기위해서 경기장 요인을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이 세워져야 한다. 더불어 타 스포츠 종목 시즌을 고려한 대회 시기 선정, 경기장의 접근성, 경기장 및 장애인 시설, 가족 단위 공간, 사회적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 또한 전략 수립 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관람 동기 요인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하위요인(성취감, 지식, 드라마, 해방감, 신체적 매력, 신체적 기술, 사회성)은 재방문 의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의 인식은 동기의 발현에 영향을 주며(Maslow, 1943), 동기는 소비자의 행동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Gnoth, 1997). 관람스포츠에서의 동기는 대리만족, 해방감, 스트레스 해소, 즐거움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다(Trail & James, 2001). 또한 스포츠 경기 관람을 통한 긍정적인 경험은 관람객들의 동기를 높이며 이는 스포츠 관람객의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동기에 대한 이해는 관람스포츠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조희태, 황선환, 2016; Cronin & Taylor, 1992; Fuchs & Weiermair, 2004). 태권도가 관람스포츠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잠재적 관람객들의 요구와 기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대회가 준비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대회가 개최되는 지역의 주민 특성을 파악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개최국의 국민성, 문화, 경제력 및 정치적 특성 등 관람객들의 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분석이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더 많은 관람객을 유치하기 위한 대회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태권도 관람의 차별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개인적 요인(관람동기)과 환경적 요인(경기장 요인)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감성적 모델(Mischel & Shoda, 1995)에 따르면 환경적, 개인적 특성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인간의 행동은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이는 개인적 특성 혹은 환경적 특성 중 하나의 특성이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있어 다른 하나의 특성의 개입이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속 연구에서 인지적 감성적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태권도 관람객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스포츠 대회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를 실시한다면 이론적 확장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결과를 통하여 태권도 대회 관람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태권도가 관람스포츠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태권도가 성공적인 관람스포츠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태권도 대회 관람객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태권도가 관람스포츠로서 발전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루어진 태권도 관련 연구는 대부분 엘리트 스포츠(김미량, 김병태, 2010; 김석일, 오은택, 2013), 태권도장 경영(박명국, 2015; 정충묵, 박형준, 한진욱, 2014), 참여스포츠(김민성, 김종필, 2010; 김영욱, 윤영선, 2010; 윤지호, 신석민, 이혁기, 2016)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관람스포츠로서의 태권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대회 관람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서 태권도가 관람스포츠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태권도 대회는 타 관람스포츠 종목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대회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이 체계적으로 수립되어 있지 않으며 관람객 수는 적은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태권도가 성공적인 관람스포츠 종목으로 성장하고 건전한 여가활동으로 자리 잡기 위해 태권도 대회 관람객들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국기원, (n.d.), 지역별 도장 통계, Retrieved from kps.kukkiwon.or.kr/index.do.
2. 김미량, 김병태, (2010), 태권도 선수가 지각하는 코치의 자율성 지지와 정신력의 관계에서 자기관리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무도학회지, 12(1), p147-157.
3. 김민성, 김종필, (2010),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참여동기와 수련만족이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1), p355-369.
4. 김석일, 오은택, (2013), 태권도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활력 및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2(1), p291-302.
5. 김영욱, 윤영선, (2010), 태권도 수련 노인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여가만족의 인과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1), p421-433.
6. 김판규, (2006),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스포츠 관람형태와 성격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7(2), p475-484.
7. 박명국, (2015), 태권도장의 관계마케팅 전략과 신뢰, 몰입 및 구매 후 행동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0(3), p101-115.
8. 박세혁, (2003), 프로야구 관중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관여도, 충성도, 재관람 의도 및 타인 추천의도 차이,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8(2), p375-393.
9. 박은영, (2016), 관람스포츠로서 경마경험이 일상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0(1), p95-120.
10. 신석호, (2014), 미국인은 왜 태권도에 열광하나, Retrieved from news.donga.com/Culture/more17/3/all/20140523/63717783/1.
11. 윤지호, 신석민, 이혁기, (2016), 초등학생 태권도 수련의 지각된 재미와 행동의도 간의 인과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5(6), p23-35.
12. 정충묵, 박형준, 한진욱, (2014), 태권도장 지도자의 감성지능, 친소비자행동, 고객지향성 및 서비스품질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3(4), p401-412.
13. 조희태, 강형길, (2015), 스포츠 환경 모델을 이용한 세계대학 태권도 대회 관람객의 행동분석 연구, 체육과학연구, 26(2), p281-291.
14. 조희태, 황선환, (2016), 프로야구 팬의 동기에 대한 이해: 추진-유인 이론,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4, p387-396.
15. 허진, 박세혁, (2004), 참여스포츠와 관람스포츠 소비자의 여가만족 차이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7, p43-52.
16.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p179-211.
17. Babbie, E., (2007),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1th ed.), Belmont, CA, Thomson.
18. Bakirtzoglou, P., & Ioannou, P., (2017), Femail fan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sportscape factors in Greek soccer super league, Sport Science, 10(1), p54-59.
19. Bitner, M. J., (1992),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rketing, 56, p57-71.
20. Card, D., & Dahl, G. B., (2011), Family violence and football: The effect of unexpected emotional cues on violent behavior,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6(1), p103-143.
21. Carroll, M. S., (2009),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perceived risk in collegiate spectator sport and assess its impact on sport consump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Gainsville.
22. Cronin Jr, J. J., & Taylor, S. A., (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The Journal of Marketing, 3, p55-68.
23. Fuchs, M., & Weiermair, K., (2004), Destination benchmarking: An indicator-system’s potential for exploring guest satisfac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42(3), p212-225.
24. Funk, D. C., Ridinger, L. L., & Moorman, A. M., (2004), Exploring origins of involvemen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ber motives and involvement with professional sport teams, Leisure Sciences, 26, p35-61.
25. Dhurup, M., & Mofoka, M. A., (2011), A factor analytical study of the dimensions of sportscapes in selected soccer stadia in Gauteng, South Africa: spectator sports. African Journal for Physical Health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17(1), p156-171.
26. Dhurup, M., Mofoka, M. A., & Surujlal, J.,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tadium sportscape dimensions, desire to stay and future attendance, African Journal for Physical, Health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16(3), p475-490.
27.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p39-50.
28. Fuchs, M., & Weiermair, K., (2004), Destination benchmarking: An indicator-system’s potential for exploring guest satisfac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42, p212-225.
29. Gnoth, J., (1997), Tourism motivation and expectation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24(2), p283-304.
30.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p1-55.
31. Inoue, Y., Berg, B. K., & Chelladurai, P., (2015), Spectator sport and population health: A scoping study,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9(6), p705-725.
32. Kelley, S. W., & Turley, L. W., (2001),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at sporting even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4, p161-166.
33.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The Guilford Press.
34. Korea, (n.d.), Love of taekwondo spreading worldwide, Retrieved from http://www.korea.net/Government/Current-Affairs/Others?affairId=331.
35. Madrigal, R, (2003), Investigating an evolving leisure experienc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pectator effect during a live sporting eve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5, p23-48.
36. Marinucci, D., (2002), Cleanliness: a key part of service, Tire Business, 19(20), p6-7.
37. Maslow, A.,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1, p370-396.
38. Mehrabian, A., & Russell, J. A.,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Cambridge, MA, MIT Press.
39. Mischel, W., & Shoda, Y., (1995), A cognitive-affective system theory of personality: Reconceptualizing situations, dispositions, dynamics, and invariance in personality structure, Psychological Review, 102(2), p246-268.
40. Mowen, J. C., & Minor, M., (1998), Consumer behavior, (5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1. Ogden, D. C., & Hilt, M. L., (2003), Collective identity and basketball: An explanation for the decreasing number of African-Americans on America’s baseball diamond,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5, p213-227.
42. Qi, C. X., Gibson, H. J., & Zhang, J. J., (2009), Perceptions of risk and travel intentions: The case of China and the Beijing Olympic Games, Journal of Sport & Tourism, 14(1), p43-67.
43. Reardon, J., & Miller, C., (2012), The effect of response scale type on cross-cultural construct measures: An empirical example using Hall's concept of context,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29(1), p24-53.
44. Rosenquist, L.E.D., (2005), A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human-sanitation nexu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5(3), p335-346.
45. Trail, G. T., & James, J. D., (2001), The motivation scale for sport consumption: Assessment of the scale’s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Sport Behavior, 24, p108-127.
46. Wakefield, K. L., & Blodgett, J. G., (1994), The importance of servicescapes in leisure service settings,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10(6), p45-61.
47. Wakefield, K. L., & Sloan, H. J., (1995), The effects of team loyalty and selected stadium factors on spectator attendance, Journal of Sport Management, 9, p153-172.
48. Wang, T. R., Min, S. D., & Kim, S. K., (2013), Fulfillment of sport spectator motives: The mediation effect of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41(9), p1421-1433.
49. Wann, D. L., Hackathorn, J., & Sherman, M. R., (2017), Testing the team identification–social psychological health model: Mediational relationships among team identification, sport fandom, sense of belonging, and meaning in life,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1(2), p94-107.
50. Wann, D. L., Peterson, R. R., Cothran, C., & Dykes, M., (1999), Sport fan aggression and anonymity: The important of team identificat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7(6), p597-602.
51. Westerbeek, H. M., & Shilbury, D., (1999), Increasing the focus on “Place” in the marketing mix for facility dependent sport services, Sport Management Review, 2, p1-23.
52. Weiss, M. R., & Chaumeton, N., (1992), Motivational orientations in sport, In, T. S. Horn (Ed.), Advances in sport psychology, p61-99, Champaign, IL, Human Kinetics.